-소규모 수도시설 67% 염소소독 불량시설, 45%는 총대장균에 노출
-심상정 의원, “염소소독 강화 및 노후시설 교체 통해 식수안전 소외계층 안전관리 강화해야.”
<국회=신미령> 지하수나 계곡물을 식수로 이용하는 소규모 수도시설 67%는 염소소독 불량시설이며, 45%는 병원성미생물에 노출되는 등 급수취약지역 다수가 식수안전 사각지대인 것으로 드러났다. 정의당 심상정 의원(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이 국립환경과학원으로부터 국정감사 자료로 제출받은 「갈수기 급수취약지역 병원성 미생물 안전관리 강화 최종 결과보고」에 따르면, 조사대상 급수취약지역 총 42개 중 28개는 염소소독 불량시설이고, 19개는 총대장균군이 검출되었고, 6곳에서는 대장균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갈수기 급수취약지역 병원성미생물 안전관리 조사결과 요약
권역 | 조사시설 | 인구수 | 총대장균군 검출시설 | 대장균 검출시설 | 염소소독 불량시설 |
수도권 | 10개 | 1,766명 | 3개 | 0개 | 7개 |
충청권 | 5개 | 538명 | 4개 | 2개 | 4개 |
영남권 | 20개 | 7,635명 | 7개 | 3개 | 9개 |
호남권 | 7개 | 700명 | 5개 | 1개 | 8개 |
계 | 42개 | 10,639명 | 19개 | 6개 | 28개 |
(출처: 국립환경과학원,「갈수기 급수취약지역 병원성미생물 안전관리 강화 최종결과 보고」, 국정감사 제출자료, (2015). 정리: 국회의원 심상정 의원실
※ 수도권?강원권?충청권?영남권?호남권 50개 시설 중 43개 시설을 조사했으나, 1개 지역(전남 완주군 삼례읍 신탁리)는 상수도가 보급된 지역으로 제외하였음.
※ 조사대상 42개 수도시설 중 1개 지역은 가수수(10가구)만 기재되어 1가구 당 2인 거주로 계산하였음.
이번 조사는 국립환경과학원과 4대강 물환경연구소가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은 시설 365개 중 과거 수질기준을 초과하거나 노후한 시설 43개를 대상으로 진행한 것이다. 조사기간은 갈수기인 3월 11일부터 5월 14일까지 두 달여에 걸쳐 이뤄졌다. 총대장균군, 대장균이 검출된 각 시설의 평균 가동기간은 37년이었으며, 20~29년 정수장은 2개, 30~39년 정수장은 12개, 40년 이상 가동한 정수장은 5개였다.
총대장균군과 대장균은 병원성미생물 측정지표다. 일반적으로 사람이나 동물의 배설물이나 영양이 풍부한 물, 부패한 식물로 인해 발생한다. 총대장균군과 대장균이 검출되었다는 것은 그 자체로 인체에 유해하진 않지만, 수인성 질병의 원인균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환경부는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제2조 (수질기준)에 따라 총대장균군과 대장균은 100ml에서 불검출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처럼 소규모 수도시설에서 병원성미생물이 검출되는 이유는 정수과정에서 소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67%나 되는 시설이 염소소독 불량으로 지적받았다. 조사대상 총 42개 시설 중 28개 시설에서 잔류염소가 검출되지 않은 것이다. 또한 보고서는 지하수관정이 대부분 마을부근과 논?밭 주변에 위치해서 오염에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조사대상 급수취약시설 거주인구를 추정해 본 결과 약 10,639명의 주민이 급수취약시설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염소소독 불량 지적 시설에는 약 4,572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었다. 병원성미생물 검출 수도시설에는 약 3,796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적으로 급수취약지역에는 수도시설 당 약 259명의 주민이, 염소소독불량시설에는 약 169명의 주민이, 병원성미생물 검출시설에는 약 210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는 것이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호남권은 8개 수도시설 중 8개 모두 염소소독 불량시설으로 지적받았으며, 충청권은 5개 중 4개, 수도권은 10개 중 7개, 영남권은 20개 중 9개 시설이 지적받았다. 병원성미생물 검출내역을 살펴보면, 충청권이 5개 중 4개로 검출률이 가장 높았으며, 호남권 8개 중 5개, 영남권 20개 중 7개, 수도권 10개 중 3개 순으로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심상정 국회의원은 “안전하고 깨끗한 물이용은 모든 국민이 누려야할 최소한의 복지이지만, 농?어촌?도서산간지역에 거주하는 많은 국민들이 식수안전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것이 안타까운 현실”이라고 지적하는 한편, “소규모 수도시설 10개 중 6~7개가 염소소독 불량시설로 지적받은 만큼 환경부와 지자체는 안전관리에 만전을 다하고, 노후 소규모 수도시설의 경우 국민의 환경복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교체해 식수안전으로부터 소외되는 계층이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