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포커스=국회] "기후위기의 심화로 폭염은 물 소비를 급증시키고 극심한 가뭄은 물 부족을 가속화하며 홍수는 상하수도 시설의 안정성을 위협하고 있어 당연하게 여겼던 깨끗한 물의 안정적인 공급조차 큰 과제가 되고 있다"고 국회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상하수도 발전정책' 토론회에서 김태선 의원은 표명했다.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17일 국회 대강당에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상하수도 발전정책' 주제의 토론회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가졌다.
이날 김 의원은 개회사에서 "특히 정수장의 70% 이상이 2030년까지 노후화되고 상수도 관로의 33.8%가 내용연수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돼 국민의 경제활동과 국가 지속 가능성을 위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하면서 "이제 생태계 보전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상하수도 시스템 개선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지만 예산 부족, 기술적 한계, 정책적 지원의 미비로 혁신적인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스마트 정수장과 IoT 기반의 스마트 하수도 시스템은 운영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 자립을 위한 해법이 될 것이다"고 하며 "상하수도의 지속 가능한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도출하기를 기대한다"고 중요성과 바램을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