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종 복원 컨트롤타워, 2017년 출범

  • 등록 2013.11.13 14:42:19
크게보기

반달가슴곰, 산양, 여우 등 멸종위기종에 대한 증식·복원사업이 국립멸종위기종복원센터 건립과 함께 한 단계 도약한다.

 

환경부(장관 윤성규)는 각종 개발과 경제성장 과정에서 개체수가 현저하게 감소한 야생동식물에 대한 멸종위기종 증식·복원사업의 그간 성과와 국립멸종위기종복원센터 건립계획을 14일 발표했다.

 

멸종위기종 증식복원사업은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을 제고하고 생태계 건강성을 회복하기 위해 20066월 국가 차원에서 종합계획을 수립했으며, 수정과 보완을 거쳐 현재 36종에 대해 증식복원과 조사연구를 실시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지리산에 방사한 반달가슴곰은 사업 초기에 개체 희생이 있었으나 현재는 야생에서의 안정적인 출산 증가 등에 따라 29마리가 자연에 적응하고 있다.

 

산양은 매년 폭설과 불법 엽구 등의 요인으로 고립된 개체들을 치료해 야생에 다시 돌려보내고 있으며, 20069마리뿐이었던 월악산 산양은 현재는 43마리까지 증식했다.

 

여우는 지난해에 이어 지난 9월 야생성이 우수한 6마리를 소백산에 방사했으며 방사개체들은 현재 건강하게 소백산을 뛰놀고 있다.

 

그 외 황새, 따오기 등의 조류와 장수하늘소, 붉은점모시나비 등 곤충류, 꼬치동자개, 감돌고기 등의 어류, 노랑만병초, 미선나무 등의 식물복원에도 성공했다.

 

또한, 환경부는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건강성 확보를 위한 종복원사업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국립멸종위기종복원센터를 건립할 계획이다.

 

국립멸종위기종복원센터는 선진 외국에서 오래전부터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종 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을 벤치마킹한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을 총괄 관리하고 지원하는 기관이다.

 

그동안 종복원사업이 국공립기관, 지방자치단체, 민간연구소 등에서 개별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이를 내실 있게 추진하기 위한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있어 추진됐다.

 

종복원센터는 국가차원의 종복원계획 수립부터 핵심종 확보, 증식복원연구, 기존 종복원기관과의 협업에 이르기까지 전문연구기관으로서 폭 넓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건립이 완료되면 멸종위기 급인 스라소니, 사향노루, 나도풍란과 급인 금개구리 등의 동식물에 대한 증식복원이 이뤄질 예정이다.

 

201112월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사업추진의 타당성을 인정받아 사업을 추진해 온 환경부는 올해부터 총 사업비 841억 원을 들여 2016년까지 경북 영양에 복원센터를 건립한다.

 

최근 기획재정부와 총사업비 협의가 완료됨에 따라 올해 안에 설계용역 발주 등을 거쳐 내년부터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국비 841억 원이 투입되는 국립멸종위기종복원센터에는 약 258(78만평)의 부지에 증식복원연구시설, 자연적응연구시설, 지원시설 등이 설치된다.

 

연면적 33,887인 증식복원연구시설에는 각 분류별 연구실, 증식실, 검역실 등을 배치한다.

 

120의 자연적응연구시설에는 각 분류군별로 증식된 개체의 자연적응을 돕기 위한 야외 훈련(방사), 야외서식지 등이 조성될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러한 정부의 멸종위기종과 관련한 사업들은 생물자원이 국가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시대에 발맞춰 생물주권을 확보하고 우리 국토의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라며 생물자원전쟁시대로 비유되는 21세기에 생물주권국가로서 생물다양성을 확대하기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관리자 기자 ecomrs@hanmail.net
Copyright @2009 ecofocus.co.kr Corp. All rights reserved.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라10845| 등록/발행일 : 2005년 11월 1일 | 발행처 : 환경포커스 | 발행・편집인 : 신미령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5319 | 등록/발행일 : 2018년 07월 25일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신미령 | 기사배열책임자 : 신미령 | 제보메일 : e-focus@naver.com. 주 소 :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옛14길 31-8(성내동) | 대표전화 : 02-2058-2258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환경포커스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