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 발생 막기 위해 하·폐수처리장 기술지원

  • 등록 2014.07.14 17:22:56
크게보기

낙동강 유역 19개 공공 하 · 폐수시설 대상 조류제거 기술지도,   총인 오염 부하량 낮추기 유도 등 녹조 저감과 발생억제 하기 위해서  낙동강 유역 우선 실시한 후, 녹조발생 추이를 감안하여 금강 등 3개 수계로 확대


한국환경공단(이사장 이시진)이 주요 수계 녹조 발생을 막기 위한 공공 하 · 폐수처리장의 기술지원에 나선다.  수질전문가로 구성된 기술지원팀을 구성, 15일부터 22일까지 2주간 우선적으로 녹조발생이 가장 심한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기술지원을 실시한다.
 
공단은 기술지원을 낙동강 유역 총 104개*(처리량 655만 톤)의 공공 하  폐수 처리장 중 일 처리용량 5만 톤 이상의 하수처리장 12개소, 일 처리용량 1만 톤 이상의 폐수처리장 7개소 등 총 19개 환경기초시설(566만 톤)을 대상으로 진행하며  일 처리용량 5만톤 이상 하폐수처리장 중 바다와 인접한 울산용암폐수,  부산동부하수처리장 등 14개소 제외하는데 이는 낙동강 유역 공공 하?폐수 처리시설용량 655만 톤 대비 약 87%에 해당하는 양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기술지원은 녹조 발생의 주원인인 영양염류(질소, 인)에 대한 오염부하량을 낮추는 것을 유도하는 기술지원 방식으로 진행되며  이 과정에서 질소, 인을 처리하는 고도처리시설의 운영 전반과 오염찌꺼기(슬러지) 처리시설에 대한 최적의 운전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공단의 수질모니터링시스템(수질TMS)을 통해 수질감시를 실시하고 있으며 수질기준을 초과한 하 · 폐수처리장에 대한 기술지원도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으로  낙동강 유역 녹조를 낮추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금강 등 3개 수계에 대해서도 향후 녹조발생 추이를 지켜보면서 필요할 경우 현장기술지원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공단은 올해 8월부터 총 6억 원의 예산을 투입, 하천의 조류?지천이 본류 녹조 발생에 미치는 영향분석 등 조류를 낮추기 위한 연구개발(R&D)에 착수한다.

 

공단 이시진 이사장은 “올해 계속된 가뭄과 고온현상에 따른 수온상승으로 녹조발생이 예년에 비해 빨라진 상황”이라며 “수변활동이 많아지고 먹는 물에 대한 국민의 걱정이 큰 만큼 공단에서도 계속해서 최선을 다해 녹조를 낮추기 위해 앞장 서겠다”고 밝혔다.

관리자 기자 ecomrs@hanmail.net
Copyright @2009 ecofocus.co.kr Corp. All rights reserved.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라10845| 등록/발행일 : 2005년 11월 1일 | 발행처 : 환경포커스 | 발행・편집인 : 신미령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5319 | 등록/발행일 : 2018년 07월 25일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신미령 | 기사배열책임자 : 신미령 | 제보메일 : e-focus@naver.com. 주 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53길21,B-502호(서초동) | 대표전화 : 02-2058-2258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환경포커스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