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공동주택 같이살림 프로젝트> 참여 20여개 단지 추가 모집

  • 등록 2020.08.04 08:37:48
크게보기

「공동주택 같이살림 프로젝트」참여단지 20개 추가 선발, 12일(수)까지 자치구로 신청
취약계층지원, 돌봄‧먹거리‧환경 등 생활문제 해결방안을 주민-지원기관 함께 마련
(1년차)주민자조모임→(2년차)사회적경제기업 설립→(3년차)수익 지역내 재투자
단지 당 최대 4천만원 지원, 성과 평가해 다음해 지원여부 결정
150세대 이상 단지 주민 5명 이상 모임 확보한 사회적경제기관이 자치구로 신청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아파트, 빌라와 같은 공동주택 주민들이 모여 단지 내 생활문제를 발굴하고 해결방안까지 마련하는「공동주택 같이살림 프로젝트」에 참여할 20여개 단지를 추가로 모집한다고 전했다.

 

올해 3월 21개 단지(신규 13개, 2년차 추진 8개)를 선발한데 이은 두 번째 모집이다. 모집마감일은 12일(수)이다. 이번에 선정된 공동주택 단지들의 사업기간은 9월~12월이며, 지원금은 단지당 최대 4,000만원이다. 시는 코로나19 장기화로 공동주택 내 취약계층이 늘고 있으며, 돌봄이나 먹거리 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업 단지를 추가로 선발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사업은 연차별 3단계로 진행된다. <1년차>주민 자조모임 구성, 서비스 모델 발굴 → <2년차>사회적경제기업 설립을 통한 경제공동체 형성 → <3년차>창출된 수익을 지역서비스에 재투자하는 선순환 방식이며, 궁극적인 목표는 지속가능한 사회적경제 모델 정착이다.

-1년차 : 단지별 상황과 특성을 반영해 생활문제를 발굴하고, 해결방법을 주도적으로 만들어 낼 주민 자조모임을 구성‧운영한다. 이 모든 과정에는 전문 역량을 갖춘 ‘코디네이터’를 투입, 주민모임 구성~실행~사업화에 이르기까지 내실 있는 운영을 지원한다.

-2년차 : 단지 내 유휴공간을 중심으로 주민 주도 사회적경제기업 설립을 지원한다. 1년차 사업으로 도출한 서비스를 상설화해 수익을 내는 ‘공동소비‧공동생산의 경제공동체’ 형성이 목표다.

-3년차 : 지역브랜드, 지역특화사업 같은 서비스 개발로 지속가능한 사회적경제 모델을 만든다. 주민이 사회적경제의 소비자-투자자-기업가로 참여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한다.

 

이번 공모는 150세대 이상 공동주택단지에 거주하는 5명 이상의 주민모임 1~2곳을 확보한 사회적경제기관이면 신청할 수 있다. 신청은 12일(수)까지 해당 자치구로 하면 된다.

 

지원기관의 역할은 주민 주도로 프로젝트가 실행될 수 있도록 기획과 사업화를 지원하는 역할이다. 자치구별로 활동하고 있는 ①사회적경제 중간지원조직 ②자치구를 기반으로 사업을 수행하는 사회적경제조직(기업, 당사자연합체 등) ③기타 공동주택 관련 사업 경험이 있는 비영리법인/비영리단체 등이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추가공모의 달라진 점은 그동안은 주민모임이 관할 자치구 담당부서로 신청하면, 구에서 지원기관을 별도로 선발해 매칭하는 방식이었으나 이번에는 신속한 추진을 위해 지원기관이 주민모임을 확보 한 후 신청하는 방식이다. 단, 참여는 원하나 공동주택단지를 확보하지 못했거나 기관을 선정하지 못한 주민모임이 있다면 서울시로 문의하면 단독으로 신청한 단지와 기관이 있을 경우엔 매칭해 줄 수도 있다.

 

또한 지난해 선발돼 1년차 사업을 추진했던 공동주택단지도 재신청할 수 있고, 현재 유사‧중복사업으로 공적자금 지원을 받고 있는 단지가 아니라면 참여가 가능하다.

 

「공동주택 같이살림 프로젝트」는 지난 ’19년, 11개 자치구 20개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시작했다. 총 24,546세대가 지역 내 사회적경제조직과 연계해 돌봄, 친환경 먹거리, 집밥, 집수리 같은 생활문제해결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했다. 2019년 참여한 20개 단지의 경우 1년차 사업 종료 후 사업지속성 및 주민주도성을 평가해 이 중 8개 단지는 현재 2년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참여주민 대상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1.2%가 프로젝트가 단지 내 생활문제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응답자 78%는 사회적경제 방식의 문제해결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사회적경제 인지도도 83.6%였다.(※조사기간 : '19.10.~11., 응답자 총 849명)

 

고광현 서울시 사회적경제담당관은 “공동주택 같이살림 프로젝트는 입주민이 겪고 있는 생활문제를 사회적경제 방식, 즉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호혜와 연대를 바탕으로 함께 해결책을 찾는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특히 코로나19 재난 상황으로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입은 취약계층 대상 사회적 가치 창출과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사업을 집중적으로 선정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이인균 기자 e-focus@naver.com
Copyright @2009 ecofocus.co.kr Corp. All rights reserved.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라10845| 등록/발행일 : 2005년 11월 1일 | 발행처 : 환경포커스 | 발행・편집인 : 신미령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5319 | 등록/발행일 : 2018년 07월 25일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신미령 | 기사배열책임자 : 신미령 | 제보메일 : e-focus@naver.com. 주 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53길21,B-502호(서초동) | 대표전화 : 02-2058-2258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환경포커스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