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자원공사, 인공지능(AI) 물관리 시대 앞장선다

  • 등록 2021.05.13 16:03:13
크게보기

-대전 연구원 AI연구소 개소로 물산업 분야 공공부문 디지털 전환 앞장
-사업 부문별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AI 딥러닝 통한 물관리 의사결정
-수질영향 예측 및 녹조 발생 알고리즘 분석 등 통한 업무효율 도모해

[환경포커스=대전] 한국수자원공사는 인공지능(AI) 물관리를 선도하고 기술 리딩을 통한 디지털 전환의 체계적인 발판을 마련코자 5월 12일 대전시 유성구 케이워터연구원에 ‘AI 연구소’를 개소하고 본격 업무에 들어간다.

 

이날 개소식에는 미국 애플社의 인공지능 연구소, 美 남일리노이대학 AI 연구실 등 해외 유수의 연구기관이 온라인으로 함께했다. 또한, 국토연구원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서울시 물연구원, 빅데이터서비스학회, 고려대학교 창의연구단 등 국내기관도 함께 온·오프라인 형태로 참석했다.

 

아울러, 개소식과 함께 한국수자원공사가 자체 개발한 물관리 시뮬레이션 패키지인 ‘K-series’를 AI 음성인식과 연동해시연하는 Lab(연구실) 개방행사와 ‘인공지능과 물관리’를 주제로 한 산·학·연 전문가 심포지엄이 진행됐다.

 

심포지엄에는 서울시 미래전략연구센터 차동훈 센터장, 한국원자력연구원 유용균 실장, UNIST 조경화 교수, 인천대 송창근 교수, 국토안전관리원 성주현 센터장, 트레저데이터 코리아 고영혁 대표 등이 참여하여, 물 인프라와 연계된 AI 기술의 공통 활용 및 협력을 주제로 발제와 토론이 이루어졌다.

 

 

한국수자원공사의 ‘AI 연구소’는 사업 부문별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발맞춰 최적의 AI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표로 한다. 외부 전문가와 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AI 필요수준과 現 역량 분석을 통해 기술 확보전략을 수립하여 체계적인 역량 개발에 나선다.

 

또한, 수량과수질 및 재해 대응 등 분야별로 산재한 문제해결 알고리즘과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등을 하나로 통합한 단일 AI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댐-유역 디지털트윈 시범사업 및 국가과제를 추진 중이며, 수질에 악영향을 주는 요소의 정수장 유입농도 예측 알고리즘, 국지적인 집중호우에 따른 도시지역 홍수에 대응하기 위한 ‘홍수 재해관리 고도화 시스템’ 개발 등을 우선 추진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한국수자원공사는 미국 애플社와 학계(美 남일리노이대, 日 교토대)의 AI 연구기관은 물론,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과학 기술정보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등과 공동 기술개발을 추진하는 등 물산업 분야의 AI 생태계 조성에도 적극 나설 예정이다.

 

박재현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이번 AI 연구소 출범은 한국수자원공사가 공공부문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이를 통해 더욱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물관리를 실현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신미령 기자 ecofocus1@naver.com
Copyright @2009 ecofocus.co.kr Corp. All rights reserved.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라10845| 등록/발행일 : 2005년 11월 1일 | 발행처 : 환경포커스 | 발행・편집인 : 신미령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5319 | 등록/발행일 : 2018년 07월 25일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신미령 | 기사배열책임자 : 신미령 | 제보메일 : e-focus@naver.com. 주 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53길21,B-502호(서초동) | 대표전화 : 02-2058-2258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환경포커스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