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고온에 의한 안전사고와 농작물 폭염 피해 예방활동 강화

  • 등록 2021.07.21 10:42:41
크게보기

 

[환경포커스=인천] 인천광역시는 여름철 폭염 특보가 발효되고 무더위가 지속 될 것으로 예상돼 고온에 의한 안전사고와 농작물 폭염 피해 예방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폭염이 지속되면 작물은 생육부진으로 인해 수량 감소, 양분 결핍, 품질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가축은 식욕저하, 발육부진, 질병발생 등의 피해가 나타난다. 또한, 농업인 건강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고온에 대한 대처가 중요하다.

 

벼의 경우 논에 물이 충분할 경우 물 흘러대기를 실시하고, 증산 균형유지를 위해 조기 물떼기를 지양하며, 흡수가 억제되는 규산과 칼륨 비료를 더 공급해야 한다.

 

밭작물의 경우 스프링클러 가동 및 짚·풀 등으로 밭작물 뿌리 주위를 덮어 토양수분 증발과 지온상승을 억제하고 폭염 지속 시 고온성 해충의 발생이 증가하므로 사전에 방제해야 한다.

 

채소 등 노지작물은 흑색비닐 또는 차광막 등으로 이랑을 피복하고 비가림 재배포장은 차광막 설치로 토양수분 증발과 지온상승을 억제해 준다. 또한 햇빛데임(일소)과 석회결핍과 등을 빨리 따내어 다음 꽃이 잘 착과될 수 있도록 해준다.

 

과수의 경우 고온 시 과실 비대나 착색발현이 불량하므로 미세살수 장치를 가동하며 수관 상부에 차광망을 씌워준다. 햇빛데임(일소과) 증상이 많은 과원은 반사필름 까는 시기를 늦추거나 생략하고 봉지씌우기를 해준다.

 

특히, 폭염특보 시 가장 더운 낮 시간대(12~17시)에는 반드시 작업을 중단하고, 농약살포 및 하우스 작업 등은 고온에 의한 안전사고(열사병 등)의 우려가 있으므로 아침, 저녁 시원한 시간에 작업을 해야한다. 작업자는 나홀로 작업은 최대한 피하고 시원한 그늘에서 휴식시간을 짧게 자주 가지며 목이 마르지 않아도 평소보다 물을 자주 마셔야 한다.

 

조영덕 인천시 농업기술센터소장은 “여름철 폭염의 피해는 사전예방이 중요한 만큼 농작물 피해 예방 교육 및 홍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인균 기자 e-focus@naver.com
Copyright @2009 ecofocus.co.kr Corp. All rights reserved.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라10845| 등록/발행일 : 2005년 11월 1일 | 발행처 : 환경포커스 | 발행・편집인 : 신미령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5319 | 등록/발행일 : 2018년 07월 25일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신미령 | 기사배열책임자 : 신미령 | 제보메일 : e-focus@naver.com. 주 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53길21,B-502호(서초동) | 대표전화 : 02-2058-2258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환경포커스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