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자원공사, 국내 최대규모 활성탄 재생시설 도입

  • 등록 2022.10.20 17:17:09
크게보기

10월 20일 한국수자원공사 덕소정수장에서 국내 최대규모 활성탄 재생시설(48㎥/일) 착공식 개최
2023년 완공, 활성탄 수급 리스크 저감 통해 고품질 수돗물 생산 안정성 확보 및 온실가스 저감(연간 약 2,800톤)

 

[환경포커스=수도권]  10월 20일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한 한국수자원공사 덕소정수장에서 국내 최대규모로 설치되는 입상활성탄 재생시설의 착공행사를 개최했다.

 

환경부 산하 한국수자원공사(사장 박재현)는 박재현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을 비롯한 조희송 한강유역환경청장 등 약 80명의 내외빈이 참석하였다고 밝혔다.

 

활성탄은 고도정수처리시설*에서 수돗물을 만들 때 최종 여과 과정에서 사용되며, 미세한 구멍이 수돗물의 냄새물질 등 미량유해물질을 흡착하는 역할을 한다. 고도정수처리시설은 일반정수처리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맛․냄새 물질, 미량유해물질 등의 처리를 위해 활성탄 공정 등을 추가해 처리하는 시설을 말한다. 

 

석탄을 원료로 제조되는 활성탄은 현재 중국에서 전량 수입하여 국내 60개소 정수장에서 연간 약 4만4천㎥을 사용 중이다.  정부는 활성탄을 긴급수급조절물자로 지정 관리 중으로, 이에 한국수자원공사와 조달청은 활성탄 비축사업 업무협약(‘22.7월)을 체결하는 등 활성탄 수급 취약성 극복을 위해 노력해 왔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이번 사업을 시작으로 활성탄 교체 방식을 신탄 구매방식에서 기존 활성탄 재생방식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 역시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의 안정적인 활성탄 수급을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한국수자원공사는 국내 최대 규모(48㎥/일) 입상활성탄 재생시설을 약 420억 원을 투입하여 오는 2023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시설을 통해 재생된 활성탄은 덕소, 성남 및 고양정수장을 포함하여 한강유역 등에 위치하는 10개 광역상수도 정수장에 공급될 예정이며, 연간 11,669㎥의 활성탄을 재생할 예정이다.  또한, 향후 전국의 광역상수도 정수장의 활성탄을 재생할 수 있도록 낙동강, 금강, 영·섬유역에도 순차적으로 사업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박재현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이번 활성탄 관련 사업은 안전하고 깨끗한 물공급을 위한 필수 물질인 활성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의미가 크다”라고 하며, “철저한 공정관리 및 안전관리를 통해 선진적인 시설이 건설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신미령 기자 ecofocus1@naver.com
Copyright @2009 ecofocus.co.kr Corp. All rights reserved.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라10845| 등록/발행일 : 2005년 11월 1일 | 발행처 : 환경포커스 | 발행・편집인 : 신미령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5319 | 등록/발행일 : 2018년 07월 25일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신미령 | 기사배열책임자 : 신미령 | 제보메일 : e-focus@naver.com. 주 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53길21,B-502호(서초동) | 대표전화 : 02-2058-2258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환경포커스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