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불개미보다 12배 강한 ‘맹독성 미국산 독거미’도 국내 상륙

  • 등록 2018.09.21 16:18:57
크게보기

[환경포커스=국회] 최근 주거지역에서 붉은불개미떼가 발견되어 국민의 우려가 커진 가운데, 붉은불개미보다 12배 강한 독을 지닌 맹독성 미국산 독거미도 국내 내륙지방에서 발견돼 당국의 방역망에 구멍이 뚫렸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용득 의원은, 지난 91일 대구의 군부대 내부 미국산 군수물자 하역 과정에서 과부거미속(Latrodectus)’으로 추정되는 외래종 거미 1마리가 발견되었다면서 1장의 사진을 공개했다. 그리고 이 거미의 종류가 주로 북아메리카에서 서식하는 서부과부거미(L.hesperus)’ 암컷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발견된 거미는 전체적으로 빛나는 검은색의 몸체에 구형의 배 아랫 부분에 붉은색의 모래시계 무늬가 특징으로, 영화 스파이더맨에 나오는 거미와 유사한 모습을 가지고 있다.


이 거미는 주로 야외의 돌 밑, 나무조각 밑, 지하실 등의 어둡고 습한 곳에서 주로 서식하며 기온이 낮은 지역에서는 집안에서 발견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름철에 약 200~300개의 알을 포함한 수 개의 알집을 만들기 때문에 번식력이 매우 강하고, 공격적인 성격에 신경독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거미에 물릴 경우 떨림, 경련, 호흡 곤란 등을 유발하고, 드물게 질식으로 인한 사망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이 거미의 독이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명시하고 있다(2015, WHO ICD-10-CM / ICD 국제질별사인분류)


일본의 경우에는 1995년 과부거미속의 붉은등과부거미(L.hasseltii) 유입이 오사카에서 최초 보고된 이후, 전체 31종의 과부거미속 거미들에 대해서 특정외래 생물로 지정하여 수입, 유통, 방출, 사육 등이 금지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과부거미속에 포함된 L.hasseltii, L.tredecimguttatus 2종을 ‘166월부터 위해우려종으로 지정 관리 중에 있지만, 이번에 유입이 확인된 서부과부거미(L.hesperus)’는 위해우려종에서 빠져있다.

이용득 의원은 이번 독거미의 확인으로 우리나라의 위해우려종에 대한 검역시스템의 총제적 부실이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고 하면서, “이 거미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붉은불개미보다 반수치사량(LD50)’12배 높은 맹독성 독거미인데, 국내 유입 시 국내 환경에 적응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서 조속한 사실 공개와 조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미령 기자 ecofocus1@naver.com
Copyright @2009 ecofocus.co.kr Corp. All rights reserved.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라10845| 등록/발행일 : 2005년 11월 1일 | 발행처 : 환경포커스 | 발행・편집인 : 신미령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5319 | 등록/발행일 : 2018년 07월 25일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신미령 | 기사배열책임자 : 신미령 | 제보메일 : e-focus@naver.com. 주 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53길21,B-502호(서초동) | 대표전화 : 02-2058-2258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환경포커스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