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환경정책자금 1,350억 원 융자, 이렇게 달라져요

  • 등록 2013.01.03 12:15:36
크게보기

융자 예산 증액, 참여기업의 범위와 기회 확대, 영세소기업 우대

환경 중소기업을 위한 환경정책 융자금이 20131,350억 원으로 늘어난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하 기술원’)은 환경부와 함께 2013년 환경정책자금 규모를 확정하고,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세부 운영방안을 개선해 31일 발표했다.

 

기술원에 따르면, 2013년 환경중소기업들에게 융자할 수 있는 환경정책자금 전체 규모는 2012년보다 200억 원 증액된 1,350억 원으로 집계됐다.

 

세부 사업별로는 재활용산업육성자금이 730억원, 환경개선자금은 480억 원으로 2012년에 비해 각각 80억 원씩 증액됐으며, 환경산업육성자금은 140억 원으로 40억원 늘었다.

 

이를 통해 환경산업 분야의 생산 확대 및 고용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012년의 경우에는 시설투자 15개 업체 기준, 5.6명의 고용 증가 및 111% 생산량 증대의 성과를 거뒀다.

 

무엇보다 2013년 정책자금 융자제도는 기업의 참여를 확대하고 특히, 영세소기업을 우대하는 방향으로 개선된다.

 

먼저, 시설자금에 대한 융자신청 접수가 연중 2(하반기 각 1)로 늘어나, 하반기에 시설 확대를 계획하는 업체들에게도 융자금 신청 기회를 보장하게 됐다.

 

, 시설자금을 제외한 운전자금은 현행과 같이 1월에 일괄 접수한다.

 

아울러 산업단지 관리기관 등 공동체의 목적으로 설립된 기업의 경우 중소기업의 규모를 초과하더라도 정책자금을 신청할 수 있도록 신청 범위를 확대했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등의 정부기관은 융자신청에서 제외된다.

 

이와 함께 정책자금의 우선 심사 대상인 영세소기업의 기준을 종업원 수 20인 미만에서 10인 미만으로 조정함으로써 정책자금이 절실히 필요한 영세소기업을 실질적으로 우대한다.

 

기술원은 또한, 시설자금의 지원 대상 범위를 대폭 확대하고 융자금 신청 제한 업체의 제약도 완화하는 등 경제위기 속에서 환경산업체의 기업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다각적인 개선을 꾀했다.

 

특히, 환경산업육성자금에 2억 원의 유통판매자금을 신설해 녹색매장에 대한 융자를 지원함으로써, 녹색 소비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했다.

 

향후에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환경오염을 극복할 수 있도록, 공기조화기 냉매배출방지 및 회수시설, 사업장 폐석면 철거비용 등에 대한 융자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환경산업기술원은 20131월 초에 환경정책자금 융자신청 공고를 내고 상반기 접수를 시작할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인터넷 융자관리시스템(http://loan.keiti.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리자 기자 ecomrs@hanmail.net
Copyright @2009 ecofocus.co.kr Corp. All rights reserved.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라10845| 등록/발행일 : 2005년 11월 1일 | 발행처 : 환경포커스 | 발행・편집인 : 신미령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5319 | 등록/발행일 : 2018년 07월 25일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신미령 | 기사배열책임자 : 신미령 | 제보메일 : e-focus@naver.com. 주 소 :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옛14길 31-8(성내동) | 대표전화 : 02-2058-2258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환경포커스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