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도소 수용자 자생식물 복원사업에 국방부도 동참

  • 등록 2013.03.13 14:06:03
크게보기

교도소 내에서 자생식물을 복원하는 사업이 군까지 확대된다.

 

환경부는 2012년 법무부와 공동으로 추진한 자생식물 복원 파트너십시범사업이 성공적 추진됨에 따라 참여기관과 증식대상 식물을 확대한 2013년도 사업계획을 수립해 14일 발표했다.

 

사업계획에 따르면, 2013년 참여기관은 기존의 서울청주소년원과 영월순천교도소 등 4곳에서 광주소년원과 국방부 소속 육군교도소까지 총 6곳으로 확대된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13일 경기도 이천시 육군교도소에서 자생식물 식재 행사를 개최하고 올해 자생식물 복원 파트너십시작을 알릴 예정이다.

 

증식대상 자생식물은 2012년도 2752,000여개체에서 2013년 멸종위기식물 급인 풍란 등 3215만여개체로 확대된다.

 

환경부는 올해 2012년에 이어 수용시설별로 전담기관을 지정하는 1:1 맞춤지원서비스를 계속 실시하며 풍란, 나도풍란 등 멸종위기식물2종과 분홍장구채, 섬현삼, 넓은잎제비꽃 등 멸종위기식물 11종 등 증식이 까다로운 멸종위기식물 총 1225,600여개체를 증식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매발톱, 할미꽃, 해국 등 자생식물 20126,000여개체를 증식할 예정이다.

 

또한, 환경부는 2013자생식물 복원 파트너십의 재배지 6곳을 국가야생식물종자은행(국립생물자원관)의 종자 채취를 위한 밭(채종포)으로 활용함으로써 자생식물 종자의 대량 확보와 이에 따른 멸종위기식물의 보존, 자생식물 자원화 등 국가 생물자원 보전과 활용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환경부 관계자는 교도소는 특성상 보안이 철저해 멸종위기식물과 희귀식물 등의 채종포로 활용하기에 매우 우수한 조건을 갖췄다.”특히 2013년은 사업 참여기관이 전국적으로 분포해 있어 우리나라 대부분의 자생식물(북방계, 남방계 식물 등)을 증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환경부는 2012자생식물 복원 파트너십시범사업을 통해 증식한 자생식물을 중심으로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에 환경정원을 조성하고 전시회, 판매회 등 개최하며 수용자의 자긍심과 자생식물 중요성에 대한 국민 인식도를 높일 계획이다.

 

이와 함께 환경정원에서는 최근 생물자원 보전과 관련한 국제적 동향과 우리나라 생물자원보전 정책, ‘자생식물 복원 파트너십의미 등에 대한 영상물도 상영할 예정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2012년 시범사업에서는 멸종위기식물 88,220개체를 증식했고, 이중 단양쑥부쟁이 등 4종은 2011년 국내 증식량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성과를 올렸다.”앞으로도 전문기관 외에서 멸종위기식물을 대량 증식함으로써 국가 생물유전자원 보전의 새로운 전기를 열고, 자생식물 증식과 보급 과정을 통해 수용자의 정서적 안정과 재활의욕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관리자 기자 ecomrs@hanmail.net
Copyright @2009 ecofocus.co.kr Corp. All rights reserved.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라10845| 등록/발행일 : 2005년 11월 1일 | 발행처 : 환경포커스 | 발행・편집인 : 신미령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5319 | 등록/발행일 : 2018년 07월 25일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신미령 | 기사배열책임자 : 신미령 | 제보메일 : e-focus@naver.com. 주 소 :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옛14길 31-8(성내동) | 대표전화 : 02-2058-2258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환경포커스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