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일부 유역의 홍수규모 최대 50% 증가 예측

  • 등록 2020.09.21 17:26:14
크게보기

-기후변화 대응 홍수대책’ 장래 강수량 및 홍수량 전망 발표
-2050년 홍수량은 11.8%, 유역에 따라 최대 50.4%까지 증가

[환경포커스=세종] 환경부는 올해 장마기간과 같은 대규모 홍수에 대비하기 위해 홍수방지대책을 수립 중에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장래의 강수량 및 홍수량의 증가정도‘를 전문가와 함께 최근 검토한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기후변화로 인한 장래의 강수량 및 홍수량의 증가정도‘ 예측에는 13개의 ’전지구 기후모델‘과 2개의 지역 기후모델이 이용되었으며, 온실가스 배출은 현재수준을 유지하는 시나리오(RCP 8.5)를 적용했다.

 

먼저 강수량의 경우 21세기 초(2011~2040년)·중(2041~2070년)·후반(2071~2100년)에 각각 3.7%, 9.2%, 17.7% 증가하는 것으로 미래강우량 변화는 기후모델에 따라 예측값에 차이가 발생, 이번에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채택한 29개 전지구기후모델 중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13개를 선정하여 수행한 결과 전망됐다.

 

특히 21세기 후반에는 특정연도 강수량이 41.3%까지도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또한 월별로는 9월의 증가폭이 가장 컸으며(24.3%), 11월은 감소(-0.6%)하여 계절적인 편차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댐과 하천제방 등 홍수방어시설의 설계 시 이용되는 홍수량을 예측한 결과, 2050년경에는 홍수량이 현재 대비 11.8%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됐으며  홍수량 증가는 유역별 편차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전망되었는데, 한강유역은 홍수량이 조금 감소(-9.5%)하는 반면 금강(20.7%), 낙동강(27%), 영산강(50.4%), 섬진강(29.6%) 유역의 홍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유역명

설계강우량* 증감율(%)

기본홍수량** 증감율(%)

RCP4.5

RCP8.5

RCP4.5

RCP8.5

전국

0.4

11.1

0.8

11.8

한강

-4.2

0.9

-9.7

-9.5

금강

-5.7

9.5

-0.4

20.7

낙동강

5.1

19.6

13.0

27.0

영산강

30.9

51.7

26.8

50.4

섬진강

26.3

32.4

22.4

29.6

장래 강수량 및 홍수량 증가에 따라 현재 100년 빈도로 설계된 댐과 하천제방 등의 치수안전도가 지점에 따라 최대 3.7년까지 급격히 낮아지는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가령 현재 100년에 한 번 범람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하천 제방이 미래에는 4년에 한 번 범람할 수 있다는 의미다.

 

환경부는 기후변화에 대한 검토와 함께 올해 강수량 및 강수규모에 대해서도 환경부, 기상청 등 다양한 기관의 자료를 토대로 세밀하게 분석했으며, 그 결과는  지난해 홍수기(6월 21~9월 20일) 이후 장마시작 전까지(2019년 9월 21일~2020년 6월 23일) 전국 면적 강수량*은 686㎜로 예년(520㎜)과 비교할 때 약 1.3배(132%)를 기록했다.

 

한편, 장마기간(6월 24일~8월 16일) 전국 면적 강수량은 840㎜로 예년(492㎜)에 비해 약 1.7배(171%)로 나타났다.

섬진강 유역은 1,069㎜로 예년에 비해 약 2배(192%)의 강수를 기록했고, 이는 이 일대 유역에 내린 역대 가장 많은 강수량이다.

지점강수량을 살펴보면 장마기간 최대 누적강수량을 기록한 곳은 강원도 인제 향로봉 지점으로, 연 강수량(1,300mm)의 1.7배에 달하는 2,164mm의 비가 채 두달이 되지 않은 기간 동안 내렸다.  또한 강우규모 분석결과, 남원과 광주지점 강수량은 24시간 기준 364㎜, 462㎜로 과거 최대치를 각각 54%, 22% 초과했으며, 이는 확률적으로 500년 빈도를 상회하는 강수규모다.

 

박재현 환경부 홍수대책기획단장은 “장래 홍수량의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 댐과 하천 및 도심하수도 등 홍수방어체계 전반을 자세하게 점검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함은 물론 홍수예보체계도 고도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미령 기자 ecofocus1@naver.com
Copyright @2009 ecofocus.co.kr Corp. All rights reserved.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라10845| 등록/발행일 : 2005년 11월 1일 | 발행처 : 환경포커스 | 발행・편집인 : 신미령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5319 | 등록/발행일 : 2018년 07월 25일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신미령 | 기사배열책임자 : 신미령 | 제보메일 : e-focus@naver.com. 주 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53길21,B-502호(서초동) | 대표전화 : 02-2058-2258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환경포커스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