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야외활동을 위한 야생진드기 예방요령’ 안내서

  • 등록 2018.09.16 16:34:24
크게보기

[환경포커스=세종]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야생진드기 매개 질병에 대한 3대 예방수칙을 담은 안전한 야외활동을 위한 야생진드기 예방요령안내서를 917일부터 국립공원, 지자체 주민센터 등 전국에 배포한다.

 

 이번 안내서는 벌초, 성묘, 등산 등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추석을 앞두고, 야생진드기 매개 질병인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이하 SFTS)을 예방하기 위해 마련됐다.

  

 SFTS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야생진드기(작은소피참진드기)물려 감염되며, 생동물과 직접 접촉에 의해 감염된 사례는 보고된 바 없다. 지난해 SFTS 바이러스에 의한 사망자 수는 54명이며, 올해는 831일 잠정 통계 기준으로 28명에 이른다.

야생멧돼지 중 SFTS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 ’18.7.6, 7.18(국립환경과학원)

SFTS 연도별 환자(사망자) : ‘1579(21), ‘16165(19), ‘17272(54), ‘18151(28) (8.31 잠정통계, 질병관리본부)


안내서는 3 예방수칙과 함께 진드기에 물린 자국을 발견하거나 고열 등 의심 증상이 나타날 경우 대처요령 등을 수록했다.

 

 3대 예방수칙은 가리고 뿌리기 지키고 피하기 털고 씻기다. 야외 활동을 할 때에는 긴 옷을 입어 피부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벌레 기피제 등을 뿌리는 것이 좋다. 탐방로, 산책로 등 지정된 통행로를 지키고 야생동물 접촉을 피해야 하며, 외출 후에는 입었던 옷을 털어 내고 즉시 몸을 씻어야 한다.

 

 이 밖에 안내서는 반려동물도 작은소피진드기를 옮길 수 있기 때문에 함께 외출한 후에는 반려동물의 몸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꼼꼼히 살펴야 한다는 등의 관리요령도 담았다.

 

 이번 안내서는 917일부터 환경부(www.me.go.kr) 및 국립환경과학원(www.nier.go.kr) 누리집에도 그림파일(PDF) 형태로 전문을 받아 볼 수 있다.

 

정원화 국립환경과학원 생물안전연구팀장은 야외활동 시 진드기와 야생동물의 접촉을 줄이기 위한 3대 주요 행동수칙을 잘 준수하면 자칫 사망에 이를 수도 있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등 야생진드기 매개질병을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라며, “작은소피참진드기의 활동 시기는 4월부터 11월이며, 집중 발생 시기는 7월부터 10까지다라고 말했다.

 

신미령 기자 ecofocus1@naver.com
Copyright @2009 ecofocus.co.kr Corp. All rights reserved.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라10845| 등록/발행일 : 2005년 11월 1일 | 발행처 : 환경포커스 | 발행・편집인 : 신미령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5319 | 등록/발행일 : 2018년 07월 25일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신미령 | 기사배열책임자 : 신미령 | 제보메일 : e-focus@naver.com. 주 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53길21,B-502호(서초동) | 대표전화 : 02-2058-2258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환경포커스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