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웅의원 '댐관리 조사위원회 공정성, 객관성 상실해

  • 등록 2020.10.07 16:56:37
크게보기

- 댐조사위·사전조사팀 위원이 환경부·수자원공사로부터 49개의 연구용역을 한 사실 확인
- 댐 조사위 환경부 소속 각종 위원회 이름 올린 인사 5명 유역물관리위원회 위원 1명 등 단골인사 포함

[환경포커스=국회] 국정감사=  올해 7~8월 집중호우 당시 발생한 댐 방류 피해 책임 규명을 위해 환경부가 주관하여 40일만에 출범한 ‘댐관리조사위원회(조사위)’가 피해지역 주민대표 참여도 없고, 이미 친정부 행보를 보이고 있는 인사들로 구성되어 공정성과 객관성을 잃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웅 국민의힘 국회의원(서울 송파구갑,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이 환경부로터 제출받은 ‘댐 조사위원 정부연구용역 참여 및 위원회 참여 현황’자료 분석에 의하면 조사위원 11명은 환경부와 수자원공사가 발주한 연구용역 49건에 참여했고, 6명은 유역물관리위원회 등 환경부 소속 각종 위원회에서 이미 활동하고 있는 단골 인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위원장인 대진대 장석환 교수는 12년도에 민주통합당 예비후보였으며, 지난해 대통령으로부터 표창장 수상, 여당 의원이 주도하는 ‘국회물포럼’에도 여러 차례 참여한 이력을 가진 인사라는 지적이며  또한 조사위원 중에는 의약관리학과 전공자와 변호사도 포함되었는데 이는 환경부에서 제시한 ‘댐, 수리, 수문, 하천, 기상 분야 10년 이상 연구와 실무경험이 있는 전문가’란 추천 기준에도 맞지 않는다. 그리고 건축과 토목전공자만 18명으로 다수를 차지하여 전문성에 있어 편중되었다는 지적이다.

 

현재 피해지역 주민들은 댐 운영·관리의 총괄적 책임이 있는 환경부가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한 것에 대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수자원공사가 댐 운용을 하고 있지만, 방류량, 방류 기간 등은 환경부 소속기관인 홍수통제소의 승인·통제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도둑이 도둑을 조사하는 격’이라는 것이다.

 

김웅 의원은 “환경부 장관은 지역주민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겠다 밝혔으면서도 셀프 기준을 정하여 지역주민을 철저히 배제하였고, 親文·친환경부 인사로만 구성하여 독립성·객관성을 모두 상실시켰다”며 “이미 답정너(‘답은 정해져 있고 너는 대답만 하면 돼.’) 조사위원회는 구성부터 신뢰를 잃었기 때문에 이번 수해의 원인과 책임을 정확하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댐관리 조사위원회를 당장 해체하고 감사원 감사를 청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미령 기자 ecofocus1@naver.com
Copyright @2009 ecofocus.co.kr Corp. All rights reserved.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라10845| 등록/발행일 : 2005년 11월 1일 | 발행처 : 환경포커스 | 발행・편집인 : 신미령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5319 | 등록/발행일 : 2018년 07월 25일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신미령 | 기사배열책임자 : 신미령 | 제보메일 : e-focus@naver.com. 주 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53길21,B-502호(서초동) | 대표전화 : 02-2058-2258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환경포커스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