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훈 의원 저수지 노후화․수질악화 문제 지적

  • 등록 2022.09.27 16:47:25
크게보기

- 전국 저수지 75% ‘50년’ 초과... 저수지 노후화 비율 ‘전남’ 가장 심각
- 저수지 수질 ‘나쁨’ 수준 이상 21.6%... 전년 대비 6.9%p 증가해
- 나쁨 수준 초과 저수지 비율, 대구, 인천, 전남, 경남, 광주

[환경포커스=국회]  저수지 노수화와 수질악화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신정훈 의원(더불어민주당·나주화순)이 한국농어촌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저수지 총 3,421개 중 2,572개(75.2%) 50년을 초과했다. 특히 ‘전남’의 경우 전체 저수지의 30.9%(1,056개)가 있는 상황에서 50년을 넘어선 저수지 비율 또한 34.3%(881개)로 저수지 노후화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표1].

 

저수지 노후화뿐만 아니라 저수지 수질도 점점 악화되고 있다. 전국 한국농어촌공사 관리 저수지 3,421개소 중 올 상반기 수질조사를 실시한 3,371개소 저수지 중 Ⅳ등급을 초과한 저수지는 21.6%(728개소)로 전년 대비 6.9%p 증가했다[표2]. 올해 상반기 저수지 수질악화가 심화됐다는 의미다.

하천 수질은 Ia등급에서 Ⅵ등급으로 나눈다. Ia등급은 간이정수 후 음용수로 이용할 수 있고, Ib․Ⅱ 등급은 정수 후 상수원수로 사용할 수 있으며, Ⅲ등급은 고도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정수처리 후 공업용수, Ⅳ등급은 고도 정수처리 후 공업용수, Ⅴ등급은 특수정수 후 공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다. Ⅵ등급은 사용 불가능 물을 의미한다.

 

올 상반기 상대적으로 대구(30.0%), 인천(29.4%), 전남(29.0%), 경남(27.5%), 광주(22.9%) 저수지 수질등급이 전국 평균에 비해 Ⅳ등급 초과 저수지 비율이 높았다[표3].

 

신정훈 의원은 “노후 저수지의 경우 많은 예산 투자에도 불구하고 저수지 수질 악화가 심화되고 있다”며, “노후 저수지에 대한 체계적인 유지관리․개선을 통해 최소 기준 설정과 성능 개선이 이뤄져야 하며, 수질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조치가 시행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신미령 기자 ecofocus1@naver.com
Copyright @2009 ecofocus.co.kr Corp. All rights reserved.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라10845| 등록/발행일 : 2005년 11월 1일 | 발행처 : 환경포커스 | 발행・편집인 : 신미령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5319 | 등록/발행일 : 2018년 07월 25일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신미령 | 기사배열책임자 : 신미령 | 제보메일 : e-focus@naver.com. 주 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53길21,B-502호(서초동) | 대표전화 : 02-2058-2258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환경포커스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