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개방 모니터링 지역과 협력 탄력 추진

  • 등록 2018.08.29 22:17:07
크게보기


 

[포커스=세종]정부는 지난해 6월부터 4대강 16개 보 중 10개 보를 단계적으로 개방하여 그 영향을 관찰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보 처리방안을 마련 중이다.

 

보 개방 이후 모니터링 중간 결과(6.29 보도자료 참고), 물 흐름이 회복되어 조류 농도가 감소하고 모래톱이 회복되는 등 4대강 자연성 회복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보 개방 이전에 취수양수장 등을 개선하고, 관계기관·지자체·지역주민 등으로 구성된 민관협의체의 논의 결과를 반영하여 단계적으로 보를 개방하는 한편, 필요시 수위를 탄력적으로 조정하는 등 물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다각적인 조치를 취해 나가고 있다.

 

공주보는 올해 115일부터 단계적으로 개방하여 315일부터 수위를 4.35m로 유지하여 왔으나, 공주시 및 지역사회는 백제문화제를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공주보 수위를 높여 달라고 요구하였다.

 

824일 금강수계 보 개방 민관 협의체의 논의 결과, 4대강 사업 이전부터 해오던 백제문화제의 부교 및 유등 등을 위해 올해에 한하여 공주대교~백제큰다리 구간의 수심을 확보하기로 하였다.

     

827일부터 28일까지 대전 지역의 집중강우 이후 홍수가 감소한 829일 오전 10시부터 공주보 수위를 올리기 시작하였다.

 

94일까지 점차적으로 공주보 수위를 EL.8.1m까지 회복하여 94일부터 26일까지 이 수위를 유지하고, 백제문화제가 종료된 927부터 30일까지 다시 단계적으로 보를 개방할 계획이다.

 

이번 공주보 수위 회복은 올해에 한한 것이며, 내년도 백제문화제는 지자체 등과의 논의를 거쳐 다양한 대안을 마련하기로 하였다.

 

환경부는 공주보의 한시적 수위 회복 및 재 저하시 수질, 수생태계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분야별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올해 백제문화제 종료 이후 생태계 변화 등 모니터링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 817일 환경부에 ‘4대강 자연성 회복을 위한 조사·평가단(단장 홍정기)’이 정식 출범함에 따라, 보 모니터링 종합정보시스템(water.nier.go.kr)을 통해 관련 정보를 91일부터 투명하게 공개하고,

 

보 개방 모니터링 자료(수질, 생태계, 수자원 이용 등)에 대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평가를 거쳐 16개 보의 처리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신미령 기자 ecofocus1@naver.com
Copyright @2009 ecofocus.co.kr Corp. All rights reserved.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라10845| 등록/발행일 : 2005년 11월 1일 | 발행처 : 환경포커스 | 발행・편집인 : 신미령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5319 | 등록/발행일 : 2018년 07월 25일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신미령 | 기사배열책임자 : 신미령 | 제보메일 : e-focus@naver.com. 주 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53길21,B-502호(서초동) | 대표전화 : 02-2058-2258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환경포커스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