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환경일반

생물자원관, 러시아와 두만강 생물자원 공동조사 추진

한반도 북부를 포함한 극동아시아 지역의 생물분류 및 계통,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상 변화 등의 연구에 새로운 지평이 열렸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이상팔, 이하 자원관’)118일부터 15일까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 있는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극동지부 생물학 및 토양과학연구소를 방문해 극동아시아 생물자원의 공동 연구에 대한 협력방안을 협의했다고 29일 밝혔다.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극동지부 생물학 및 토양과학연구소(Institute of Biology and Soil Science, 이하 ‘IBSS’)1800년대 후반부터 러시아 극동지역 생물자원 연구의 핵심으로 방대한 연구 자료를 보유하며 국제적으로 많은 생물자원 연구를 수행해온 기관이다.

 

국립생물자원관은 IBSS2008년 생물자원 연구 협력 및 교류 활성화를 위한 상호양해각서(MOU)를 체결했으며, 이번 방문을 통해 극동아시아 및 동북아지역의 생물자원 연구를 위한 양국 간 국제 협력방안을 함께 모색했다.

 

이번 협의 결과, 자원관은 IBSS에 소장돼 있는 1950년대 북한에서 반출된 조류표본 44점 등의 기준확증표본 정보를 파악하는 한편, 향후 생물자원 연구 및 공동조사를 위한 방안을 협의했다.

 

특히, 양 기관은 극동아시아 생물다양성 연구를 위해 중국과 북한과의 접경 지역인 프리모스키(연해주) 하산의 두만강 하류 지역 생물상을 30여명의 전문가를 투입해 공동 조사하고, 주요 생물종에 대해서는 서식지 보전을 위한 중장기적 공동연구를 실시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생물자원연구의 협력을 위해 2013년부터 한-러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심포지엄을 공동 개최하기로 뜻을 모았다.

 

또한, 자원관은 IBSS에서 소장중인 생물자원 관련 희귀도서 원본을 입수해 국내 연구를 위한 귀중한 문헌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입수한 도서 중 1776년도에 발간된 러시아 제국의 다양한 지역을 여행하다(Reise durch verschiedene Provinzen des Russischen Reichs)’18세기 최고의 독일 생물학자인 팔라스(Pallas)의 원기재문이 실려 있는 매우 희귀한 도서로 초기 생물분류학의 연구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다.

 

러시아에서 1986년부터 현재까지 시리즈(19권 중 18권 입수)로 발간된 러시아 극동지역 곤충의 분류학적 연구(Key to the insects of Russian Far East)’는 극동 러시아 지역의 곤충상 및 분류학적 연구 결과를 출판한 도서로서 동북아시아 지역의 곤충분류학 연구에 반드시 필요한 귀중한 문헌이다.

 

국립생물자원관 관계자는 이번 협의 내용이 실질적인 성과를 내며 한반도 북부를 포함한 극동아시아 지역 연구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국제적 연구기관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앞으로도 국외 유수의 생물자원 연구기관과 공동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환경뉴스

더보기
부산시,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취약계층 주거환경개선 기부금 전달식 개최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20일 오후 4시 30분 시청 국제의전실에서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취약계층 주거환경개선 기부금 전달식을 개최했다고 전했다. 전달식에는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 윤명규 주택도시보증공사 사장직무대행, 이수태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장, 이선주 부산지역자활센터협회장, 이상철 부산자활기업협동조합 이사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전달식에서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취약계층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사업비 1억 원을 기부했다. 기부금은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퇴원환자 등 취약계층이 시설이나 병원에 가지 않고 살던 곳에서 건강하고 행복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안녕한 하우스' 사업에 사용될 예정이다. 이 사업으로 돌봄이 필요한 퇴원환자 등 취약계층 가정에 ▲안전바 설치 ▲문턱 제거 ▲미끄럼 방지 ▲보조 손잡이 설치 ▲맞춤형 소독·방역 등을 지원한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국민의 주거 안정과 주택시장 발전을 위한 주택보증 전문기관으로, 다양한 사회공헌활동과 지역발전을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노후 사회복지시설 개보수 사업, 무주택 저소득층 주택임차자금 지원, 아동 응급의료서비스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공헌활동을 펼쳤다. 또

정책

더보기
우원식 의장, 빌 게이츠 게이츠 재단 이사장 접견
[환경포커스=국회] 우원식 국회의장은 21일 오후 집무실에서 빌 게이츠 게이츠 재단 이사장을 만나 글로벌 보건 문제에 대한 국제적 협력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우 의장은 이 자리에서 "기술 혁신을 통해 인류의 삶을 바꾸고, 기후위기와 질병, 불평등 같은 전 지구적 문제 해결에 앞장서고 있는 이사장을 직접 만나게 되어 매우 뜻깊다"며 "이사장의 방한과 국회 방문이 '모든 인간의 삶은 동등하다'는 인류애적 가치를 더욱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환영했다. 우 의장은 "코로나19 팬데믹은 인류에게 국경을 넘어서는 협력 없이는 어떤 위기도 극복할 수 없다는 교훈을 남겼다"며 "특히 기후변화와 신종 감염병,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의 한계는 기존 보건 체계만으로는 대응이 부족함을 보여주었고, 세계적 연대의 필요성을 일깨워줬다"고 말했다. 우 의장은 이어 "이러한 전 지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와 국제기구, 정부와 시민사회가 함께하는 새로운 형태의 파트너십이 시작돼야 한다"면서 "대한민국 역시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나갈 것이며, 국회도 ODA 확대와 국제보건 협력을 위해 실질적인 뒷받침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빌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단순한 소비재를 넘어 사회문제 해결하는 도구로 착한 굿즈의 표준 만든다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가 민간기업과 손잡고 만들어낸 굿즈가 단순한 소비재를 넘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 자리잡고 있다고 전했다. ‘서울라면’ ‘서울짜장’ 같은 먹거리부터 의류·액세서리까지, 서울굿즈는 서울 홍보에만 그치지 않고 판매 수익의 일부를 사회공헌에 환원하고, 현장에서 필요한 지원으로 연결하는 ‘착한 굿즈’의 표준을 만들어 가고 있다. 대표 사례는 풀무원과의 협업으로 2024년 출시된 ‘서울라면’이다. “바쁜 일상을 보내는 서울 사람들이 먹는 건강하고 매력적인 라면”이라는 슬로건과 함께 출발한 이 제품은 1년 반 만에 국내외 누적 판매 500만 봉을 돌파하며 서울 브랜드의 대중성을 입증했다. 올해 6월에는 서울의 상징 캐릭터 ‘해치’를 전면에 내세운 패키지 리뉴얼과 ‘푸드 QR’ 기술을 도입, 원재료·영양성분·포장재질까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성을 확보했다. 이 같은 신뢰성은 국내는 물론 미국, 멕시코, 싱가포르, 호주, 필리핀 등 해외 시장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서울라면’의 가치는 판매량으로만 측정되지 않는다. 풀무원은 ‘외로움 없는 서울’ 프로젝트의 핵심 거점인 ‘서울마음편의점’에 서울라면과 서울짜장 2만 2,048봉(3천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