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환경일반

우리동네 하천에 어떤 생물이? 스마트폰에서 확인하세요

우리나라 하천의 수생태계 현황과 정보를 총망라해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하 ’)이 개발됐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김삼권)은 국내 960개 주요 하천에 서식하는 생물상과 물리적 환경 등 수생태계 현황과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앱 ! ! 수생태 정보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 ! 수생태 정보는 하천 건강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지원에 활용하기 위해 매년 주요하천의 수생태계 현황을 조사하는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2012년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작됐다.

 

앱 초기화면은 각 생물상의 조사 방법을 사진과 함께 수록해 수생태계 조사 경험이 없는 초보자들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구성됐으며, 참고문헌과 홈페이지를 등록해 보다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행정구역과 수계별로 내가 사는 지역의 하천 등 원하는 지점을 선택해 볼 수 있다.

 

각 지점별 정보는 지도에 표기된 수질 및 기본정보와 함께 상단의 자세히를 선택하면 확인할 수 있으며 유역 면적, 수질 현황, 가볼만한 곳, 건강성 평가 정보, 출현 생물종의 특징 관련 내용이 제공된다.

 

이와 함께 검색 화면에서 수생태 사전을 선택한 후 키워드를 입력하면 원하는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는 용어 검색 기능도 제공된다.

 

이 앱은 26일 안드로이드와 아이폰용이 동시에 출시되며, 앱스토어에서 무료로 내려 받을 수 있어 스마트폰을 소지하면 누구나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우리나라 하천 생태계 현황을 손쉽게 접할 수 있다.

 

전문가들이 사용할만한 전문 지식이지만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춰 개발됐기 때문에 학생과 교사들이 수생태계 관련 교육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수생태계 분야로는 국내 최초로 관련 앱이 개발된 만큼 관심을 가진 보다 많은 학생들이 이 앱을 활용할 수 있도록 업무협약을 맺은 서울시 교육청과 협력해 학교와의 교류를 강화해나갈 것이라며 “7월 중순경에는 초··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생태계 조사 현장 체험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환경뉴스

더보기
서울시, 경력단절 여성에게 다시 일할 기회 제공하는 <2025 서울우먼업 구직지원금> 참여자 신청 시작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2025 서울우먼업 구직지원금’ 3차 참여자 신청을 8월 19일 화요일부터 9월 4일 목요일까지 받는다고 전했다. ‘서울우먼업 구직지원금’은 경력단절 및 미취업여성의 경제활동 재진입을 지원하는 ‘서울우먼업 프로젝트’의 하나로, 오랜 경력단절로 떨어진 자신감을 회복하고 도전할 수 있는 용기를 얻을 수 있도록 구직 활동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2023년 첫 시행 이후 지금까지 총 6,501명이 구직지원금을 받았으며, 이 중 2,213명(34%)이 취‧창업에 성공해 경제활동에 복귀했다. ‘서울우먼업 프로젝트’는 서울시 저출생 대책인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의 하나로, 서울시의 대표 여성 일자리 지원사업이다. ▴경력단절 3040여성이 구직활동에 사용할 수 있는 ‘구직지원금’(30만 원×3개월) ▴3개월간 기업에서 일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인턴십’(생활임금×3개월) ▴인턴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기업에 지원하는 ‘고용장려금’(100만 원×3개월)으로 구성되어 있다. 3차 신청은 올해 마지막 신청으로, 550명을 모집한다. 앞서 1‧2차 신청에서는 2,489명이 선정되었다. 신청은 ‘서울우먼업프로젝트’ 누리집(swup.seo

정책

더보기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단순한 소비재를 넘어 사회문제 해결하는 도구로 착한 굿즈의 표준 만든다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가 민간기업과 손잡고 만들어낸 굿즈가 단순한 소비재를 넘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 자리잡고 있다고 전했다. ‘서울라면’ ‘서울짜장’ 같은 먹거리부터 의류·액세서리까지, 서울굿즈는 서울 홍보에만 그치지 않고 판매 수익의 일부를 사회공헌에 환원하고, 현장에서 필요한 지원으로 연결하는 ‘착한 굿즈’의 표준을 만들어 가고 있다. 대표 사례는 풀무원과의 협업으로 2024년 출시된 ‘서울라면’이다. “바쁜 일상을 보내는 서울 사람들이 먹는 건강하고 매력적인 라면”이라는 슬로건과 함께 출발한 이 제품은 1년 반 만에 국내외 누적 판매 500만 봉을 돌파하며 서울 브랜드의 대중성을 입증했다. 올해 6월에는 서울의 상징 캐릭터 ‘해치’를 전면에 내세운 패키지 리뉴얼과 ‘푸드 QR’ 기술을 도입, 원재료·영양성분·포장재질까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성을 확보했다. 이 같은 신뢰성은 국내는 물론 미국, 멕시코, 싱가포르, 호주, 필리핀 등 해외 시장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서울라면’의 가치는 판매량으로만 측정되지 않는다. 풀무원은 ‘외로움 없는 서울’ 프로젝트의 핵심 거점인 ‘서울마음편의점’에 서울라면과 서울짜장 2만 2,048봉(3천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