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환경일반

북한산 10년 전 보다 두 배 더 많은 생물종 찾아냈다

2010년 자연자원조사 결과, 2,945종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엄홍우)2010년 북한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결과 20011차 조사 때 보다 1,526종이 많은 2,945종의 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조사결과 북한산에는 식물상 635, 포유류 17, 조류 98, 양서파충류 11, 어류 8, 육상곤충 1,658, 저서성대형척추동물 121, 진정거미류 102, 고등균류 213, 담수조류 82종 등 총 2,945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북한산의 생물종이 1차 조사에 비해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은 조사기간과 조사지역, 분야별 조사인원 확대에 따른 것이다.

특히 멸종위기야생동물 II급에 해당하는 삵, 독수리, 조롱이, 참매, 말똥가리, 새홀리기, 흰목물떼새, 까막딱따구리 등 11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알통다리뾰족맵시벌(가칭, Torbda uchidai Momoi), 끝무늬뾰족맵시벌(가칭, Aritranis ohgushii Uchida) 등 곤충 6종과 얼룩이가게거미(가칭, Iwogomoa dicranatus (Wang et al. 1990)), 일본꼬마거미(가칭, Lasaeola yoshidai (Ono, 1991)) 등 진정거미류 2종 등 미기록종 8종이 발견되었다.

또한 북한산국립공원의 경제적 가치에 대한 평가도 병행하였는데 총 자산가치는 92,000억 원이고, 연간 보존가치는 3,200 원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단은 금번 조사 결과를 자연생태계의 변화분석과 자원관리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정밀조사가 필요한 부분은 지속적으로 생물자원 모니터링을 실시할 계획이다.

공단 나공주 자원보전처장은 북한산의 자연경관과 계곡을 보호하기 위해 음식점이 즐비하던 북한동과 송추 마을을 공원입구로 이주하고, 계곡출입을 금지하는 특별보호구를 시행해 왔는데 이러한 노력이 종다양성에 나름대로 기여한 것이다.”라고 말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서울시, 경력단절 여성에게 다시 일할 기회 제공하는 <2025 서울우먼업 구직지원금> 참여자 신청 시작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2025 서울우먼업 구직지원금’ 3차 참여자 신청을 8월 19일 화요일부터 9월 4일 목요일까지 받는다고 전했다. ‘서울우먼업 구직지원금’은 경력단절 및 미취업여성의 경제활동 재진입을 지원하는 ‘서울우먼업 프로젝트’의 하나로, 오랜 경력단절로 떨어진 자신감을 회복하고 도전할 수 있는 용기를 얻을 수 있도록 구직 활동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2023년 첫 시행 이후 지금까지 총 6,501명이 구직지원금을 받았으며, 이 중 2,213명(34%)이 취‧창업에 성공해 경제활동에 복귀했다. ‘서울우먼업 프로젝트’는 서울시 저출생 대책인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의 하나로, 서울시의 대표 여성 일자리 지원사업이다. ▴경력단절 3040여성이 구직활동에 사용할 수 있는 ‘구직지원금’(30만 원×3개월) ▴3개월간 기업에서 일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인턴십’(생활임금×3개월) ▴인턴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기업에 지원하는 ‘고용장려금’(100만 원×3개월)으로 구성되어 있다. 3차 신청은 올해 마지막 신청으로, 550명을 모집한다. 앞서 1‧2차 신청에서는 2,489명이 선정되었다. 신청은 ‘서울우먼업프로젝트’ 누리집(swup.seo

정책

더보기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단순한 소비재를 넘어 사회문제 해결하는 도구로 착한 굿즈의 표준 만든다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가 민간기업과 손잡고 만들어낸 굿즈가 단순한 소비재를 넘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 자리잡고 있다고 전했다. ‘서울라면’ ‘서울짜장’ 같은 먹거리부터 의류·액세서리까지, 서울굿즈는 서울 홍보에만 그치지 않고 판매 수익의 일부를 사회공헌에 환원하고, 현장에서 필요한 지원으로 연결하는 ‘착한 굿즈’의 표준을 만들어 가고 있다. 대표 사례는 풀무원과의 협업으로 2024년 출시된 ‘서울라면’이다. “바쁜 일상을 보내는 서울 사람들이 먹는 건강하고 매력적인 라면”이라는 슬로건과 함께 출발한 이 제품은 1년 반 만에 국내외 누적 판매 500만 봉을 돌파하며 서울 브랜드의 대중성을 입증했다. 올해 6월에는 서울의 상징 캐릭터 ‘해치’를 전면에 내세운 패키지 리뉴얼과 ‘푸드 QR’ 기술을 도입, 원재료·영양성분·포장재질까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성을 확보했다. 이 같은 신뢰성은 국내는 물론 미국, 멕시코, 싱가포르, 호주, 필리핀 등 해외 시장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서울라면’의 가치는 판매량으로만 측정되지 않는다. 풀무원은 ‘외로움 없는 서울’ 프로젝트의 핵심 거점인 ‘서울마음편의점’에 서울라면과 서울짜장 2만 2,048봉(3천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