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8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환경일반

환경부 장관, 제10차 OECD 환경장관회의 의장직 수행

전세계 녹색성장 확산 논의 주도

2930일 프랑스 파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본부에서 10OECD 환경장관회의가 개최되어 녹색성장 이행(Making Green Growth Deliver)’을 주제로 전세계 녹색성장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 졌다.

 

OECD 환경장관회의는 OECD 국가간 환경정책방향을 협의하는 최고위급 회의로서 1974년 제1차 회의가 개최된 이래, 3-5년의 주기로 총 9회의 회의 개최를 통하여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최적의 정책대안 제시와 효과적인 이행전략 마련, 각국의 경험 공유 등을 통해 국제환경질서 형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여 왔다

 

이번 10OECD 환경장관회의에는 OECD 34개 회원국과 러시아, 중국,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 주요 비회원국 정부대표단을 비롯하여 유엔지속개발 위원회(UNCSD), 세계무역기구(WTO), 세계은행, 글로벌녹색성장위원회(GGGI) 등 국제기구와 기타 산업계 관련 NGO 대표들이 참석하였다.

 

OECDSimon Upton 환경국장은 최근 발간된 ‘OECD 환경전망 2050(OECD Environment Outlook to 2050)’을 설명하면서, 2050년까지 경제 및 환경 추세에 대한 예측을 토대로 기후변화, , 생물 다양성, 환경보건 등의 분야에 대해 환경 전망 및 개선 대책을 제시하였다.

 

이와 관련, 각국 대표들은 환경문제에 대한 무대응의 비용이 환경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비용보다 훨씬 크다는 점에 공감하면서, 환경 과제의 해결을 위한 각 회원국의 정책적 경험과 지식을 나누는 토론을 진행하였다.

 

각국 대표들은 OECD2001년에 채택한 ‘21세기 첫 10년간 OECD 환경전략(OECD Environmental Strategy for the First Decade of the 21st Century)’ 이후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등에 대한 지식 향상, 환경에 대한 시민의식 향상, 국제탄소시장 신설 등 일부 진전된 분야도 있지만 시장가격이 환경비용을 충분히 내부화하지 못하는 점, 환경적으로 유해한 보조금, 자연자산의 저평가 등 미흡한 부분도 많은바, 향후 주요 환경과제에 대한 무대응이 오히려 막대한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21세기 첫 10년 동안의 OECD 환경전략 이행 검토에 관하여 OECD 각료급 이사회에 보내는 메세지(Message to the Council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Environment Strategy for the First Decade of the 21st Century)’를 채택하였다

 

또한, 각국 대표들은 녹색성장의 목표가 Rio+20의 주요 의제(녹색경제)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고 지속가능한 발전과 빈곤 퇴치를 도모하는 녹색성장으로의 전세계적 이행에 박차를 가하고 Rio+20에서 성과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하고 관련된 지원을 제공 한다는 “Rio+20에 환경장관들이 보내는 정책성명서(policy statement from the OECD Environment Policy Committee Ministerial Meeting on 29-30 March to the Rio+20 Conference)”를 채택하였다.

 

OECD는 그간 한국이 국제 사회에서 녹색성장 논의를 주도해 온 점을 높이 평가하여 유영숙 환경부 장관에게 이번 제10OECD 환경장관회의의 전체 의장(Chair)직 수행을 요청하였고, 이에 따라 유 장관은 전체 의장으로서 이번 회의의 논의를 주도하였다.

 

유 장관은 의장으로서 개회세션, 폐회세션, 세션5(3.30 워킹런치)을 주재하고, 부의장(5)이 진행하는 정규세션(세션1, 세션3, 세션4) 및 세션2(3.29 워킹런치)에는 일반 환경장관으로서 회의에 적극 참여 하였다.

 

세션1(환경에 대해 우리는 어떤 진전을 이루었고, 미래는 어떤가?)에서는 정치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우리나라는 20088저탄소 녹색성장을 새로운 국가비전으로 선포한 후 대통령 직속 녹색성장위원회를 중심으로 환경부 등 관계부처가 유기적으로 녹색성장정책을 추진하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세션3(환경전망2050-녹색성장 정책에 대한 긴급한 요청)에서 환경적 문제 해결과 더불어 경제적 목표를 달성하는 녹색성장 정책의 사례로 녹색생활 실천시(가정에서 전기·수도·가스 사용량 감소, 환경 친화적 제품 구입, 대중교통 이용) 포인트를 제공하는 그린카드와 물 부족 및 홍수 대비, 수질 및 수생태계 개선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4대강 살리기 사업 등을 설명하였다.

 

또한, 유장관은 회의 기간 중 헝가리 지역개발부 장관(Sandor Fazekas)와 양자회담을 통해 환경협력양해각서(MOU)를 체결하여 양국간 환경협력을 강화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미국 EPA 청장(Lisa P. Jackson), EU 환경집행위원(Janez Potocnik), 영국 환경식량농업부 장관(Caroline Spelman) 등 주요 국가와의 양자회담을 통해 4대강 살리기 사업, 온실가스 목표 관리제 등 우리의 녹색성장 정책을 설명하고, IPBES 사무국 유치 등 주요 사항에 대한 협조를 요청하였다.


환경뉴스

더보기
인천시, 시민 불편 최소화를 목표로 겨울철 자연재난 대응 종합대책 본격 시행
[환경포커스=인천] 인천광역시는 오는 11월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 겨울철 자연재난 대책기간으로 정하고, 현장 중심 사전대비 체계 구축을 통한 시민 불편 최소화를 목표로 겨울철 자연재난 대응 종합대책을 본격 시행한다고 전했다. 인천시는 대설과 한파 등 겨울철 자연재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인명 피해 예방을 최우선으로 두고, 재해 취약지역 체계적 관리와 선제적 대응을 위한 소통·협업체계 구축 및 시민 참여를 위한 홍보 강화를 기본 방향으로 삼았다. 이에 따라, 겨울철 대설에 대비해 ▲제설 취약 지역 104개소 ▲결빙 취약 구간 106개소 ▲적설 취약 시설물 79개소를 집중 관리할 방침이다. 대설 및 도로 결빙으로 인한 시민 교통 불편을 줄이기 위해 사전 제설제 살포, 교통 통제 등 철저한 안전 관리와 맞춤형 제설 대책을 추진한다. 또한, 재난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재난문자 등 기상특보를 신속히 전파하고, 농촌·산간지역의 제설 작업에 지역자율방재단 등 민간 봉사인력을 적극 투입해 현장 대응력을 높일 계획이다. 한파로 인한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독거노인, 노숙인, 쪽방 주민, 저소득 한부모 가족 등 고위험군 대상자를 중심으로 안전 확

정책

더보기

종합뉴스

더보기
주뭄바이 총영사관, 인도 최대 환경기술 전시회 ‘이팟(IFAT) 2025’ 현장 상담회 개최
[환경포커스=서울] 유동완 주뭄바이 대한민국 총영사는 지난 14일부터 16일까지 인도 뭄바이 국제전시장(BEC)에서 열린 인도 최대 환경기술 전시회 ‘이팟(IFAT) 인도 2025’ 현장을 방문해 한국 기업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방문은 인도 환경산업의 성장세 속에서 한국 기업의 현지 진출을 지원하고, 양국 간 협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외교 활동의 일환이다. ‘IFAT 인도’는 독일 메쎄뮌헨이 주최하는 글로벌 환경기술·수처리·폐기물 전시회 시리즈로, 인도에서는 2013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지멘스(Siemens), 베올리아(Veolia), 그룬트포스(Grundfos), 윌로(Wilo) 등 500여개 글로벌 기업이 참가해 물·폐기물·재활용·에너지 전환 분야의 첨단 기술을 선보였다. 유 총영사는 한국관을 비롯해 주요 부스를 둘러보며 한국 기업들의 현지 비즈니스 활동을 격려했다. 그는 “인도는 도시 인프라와 제조업 기반의 빠른 성장에 힘입어 환경기술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시장”이라며 “한국 기업들이 기술력과 신뢰를 바탕으로 현지 프로젝트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총영사관 차원의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한국에서는 한국환경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