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4 (금)

  • 맑음동두천 8.3℃
  • 맑음강릉 10.5℃
  • 맑음서울 10.3℃
  • 맑음대전 9.7℃
  • 맑음대구 12.2℃
  • 맑음울산 11.7℃
  • 맑음광주 11.4℃
  • 맑음부산 14.6℃
  • 맑음고창 8.8℃
  • 맑음제주 13.9℃
  • 맑음강화 6.3℃
  • 맑음보은 7.8℃
  • 맑음금산 8.1℃
  • 맑음강진군 11.4℃
  • 맑음경주시 9.9℃
  • 맑음거제 9.8℃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오피니언/인물

김선교 국회의원 최근 5년, 원산지 표시 위반으로 적발된 업소 17,398개소!

- 지역별 원산지 단속율 대구, 광주, 경기 순, 과태료는 경기, 강원, 경남 순으로 많아!
- 김 의원, “원산지 의무표시 위반 철저히 단속해 먹거리에 대한 국민적 신뢰 높여야!”

[환경포커스=국회] 미래통합당 김선교 의원(경기 여주양평)이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으로부터 제출받은최근 5년간(2016~2020.5) 지역별 원산지 단속 및 조치 현황을 분석한 결과, 농산품의 원산지를 거짓으로 표시하거나 표시하지 않아(미표시) 적발된 업소는 총 17,398개소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최근 5년간, 원산지 단속 및 조치 현황

 

구 분

조사업소

거짓표시

(A)

미표시

합계 및 적발율

(A+B)

위반업소

(B)

과태료

(단위:천원)

2016

256,546

2,905

1,378

314,985

4,283

1.7%

2017

230,380

2,522

1,429

401,674

3,951

1.7%

2018

280,228

2,453

1,464

380,741

3,917

1.4%

2019

275,163

2,396

1,608

438,582

4,004

1.5%

2020.5

64,225

643

600

143,635

1,243

1.9%

합계

1,106,542

10,919

6,479

1,679,617

17,398

1.6%

자료: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원산지를 거짓으로 표시하여 단속된 현황은 20162,905개소에서 20172,522개소, 20182,453개소, 20192,396개소, 20205월 기준 643개소 감소추세를 보였으나, 원산지를 미표시하여 적발된 건수는 20161,378개소, 20171,429개소, 20181,608개소, 20191,608개소, 20205월 기준 600개소로 증가추세를 보였으며, 원산지 표시 위반에 따른 총 과태료도 167,9617천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업소 대비 연간 적발율은 20161.7%, 20171.7%에서 20181.4%로 낮아졌으나 지난해 1.5%로 증가한 후, 올해 5월 기준 1.9%의 적발률로 가장 높았다.

 

최근 5년간, 지역별 원산지 단속율

 

시도별

조사업소

2016

2017

2018

2019

2020.5

합계

단속율

서울

64,099

443

384

341

413

125

1,706

2.7%

부산

48,235

175

199

205

187

71

837

1.7%

대구

17,937

200

192

158

135

61

746

4.2%

인천

22,525

121

117

114

113

35

500

2.2%

광주

19,887

196

159

156

191

38

740

3.7%

대전

28,577

150

155

164

163

56

688

2.4%

울산

19,831

70

74

72

74

25

315

1.6%

세종

9,743

48

40

41

29

14

172

1.8%

경기

111,560

596

534

578

556

140

2,404

2.2%

강원

93,872

303

297

315

318

59

1,292

1.4%

충북

78,283

260

256

272

283

91

1,162

1.5%

충남

125,453

221

234

236

268

88

1,047

0.8%

전북

87,131

316

251

242

257

103

1,169

1.3%

전남

114,882

388

386

273

253

105

1,405

1.2%

경북

113,385

367

307

339

343

69

1,425

1.3%

경남

124,279

363

315

349

345

137

1,509

1.2%

제주

26,863

66

51

62

76

26

281

1.0%

합계

1,106,542

4,283

3,951

3,917

4,004

1,243

17,398

1.6%

자료: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최근 5년간의 지역별 원산지 단속현황을 살펴보면, 경기도가 2,404개소로 가장 많았으나, 조사업소 대비 단속율은 대구 4.2%, 광주 3.7%, 서울 2.7%, 대전 2.4% 순으로 조사됐다.

최근 5년간, 지역별 원산지 단속 및 과태료 현황

(단위: 천원)

시도별

2016

2017

2018

2019

2020.5

합계

서울

25,137

37,926

24,907

46,974

14,592

149,536

부산

11,848

18,735

16,454

13,262

11,835

72,134

대구

13,635

11,351

17,121

14,439

6,734

63,280

인천

11,527

11,119

8,595

10,300

1,700

43,241

광주

12,510

14,024

12,464

20,382

1,850

61,230

대전

8,240

12,017

11,423

15,466

6,930

54,076

울산

6,794

8,350

4,080

6,298

2,550

28,072

세종

4,422

2,370

4,369

3,857

600

15,618

경기

47,612

68,721

52,569

74,579

28,327

271,808

강원

32,949

40,528

52,542

60,570

7,930

194,519

충북

19,886

41,492

43,919

33,942

8,200

147,439

충남

11,318

24,116

18,601

25,297

8,414

87,746

전북

14,159

6,800

14,280

21,586

8,270

65,095

전남

22,777

37,025

21,345

16,083

8,440

105,670

경북

23,124

30,225

28,010

30,294

6,179

117,832

경남

38,922

31,650

35,792

39,116

17,834

163,314

제주

10,125

5,225

14,270

6,137

3,250

39,007

합계

314,985

401,674

380,741

438,582

143,635

1,679,617

자료: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지역별 과태료는 최근 5년간 경기도가 27,1808천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강원도가 19,4519천원, 경상남도 16,3314천원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김선교 의원은 원산지를 표시하는 목적은 투명한 유통 질서를 확립해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를 보호하는 것에 있다라고 하며, “최근 안심 먹거리에 대한 국민적 인식 수준과 관심이 높아진 만큼, 원산지를 거짓 표시하거나 표시 의무절차를 위반한 행위를 철저히 단속해 먹거리에 대한 국민적 신뢰를 높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원산지를 거짓으로 표시하여 적발된 경우, 7년 이하의 징역이나 1억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게 되고, 원산지를 미표시 했을 경우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게 된다.


환경뉴스

더보기

정책

더보기
자연자본공시 이행기반 마련과 역량 제고를 위한 논의 본격화
[환경포커스=수도권] 기후에너지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유호)은 대한상공회의소와 함께 11월 10일 오후 2시부터 대한상공회의소(서울시 중구 소재)에서 국내 기업의 자연자본공시 확산과 역량 강화를 위한 ‘제1차 자연자본공시 지원연합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자연자본공시’는 기업이 자연과 관련된 위험과 기회를 평가 분석하여 투자자, 시민사회 등에 공개하는 제도다. 국제사회는 생물다양성 감소와 생태계서비스 손실이 경제와 금융 안정성은 물론 인류의 삶 전반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친다는 인식 아래 기업이 자연자본의 가치와 의존성을 명확히 파악하고 이를 투명하게 공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2021년 6월 설립된 ‘자연 관련 재무정보 공개협의체(TNFD)’는 국제사회의 자연자본공시 체계를 주도하고 있으며, 기후공시에 이어 자연자본공시가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공시 체계에 새로운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기업의 자연자본공시 확산과 참여 확대, 이해관계자 대상 전문성 강화, 국제사회와의 연대강화를 위해 지난 3월 한국 자연자본공시 지원연합을 결성했다. 국립생물자원관과 대한상공회의소가 공동으로 운영을 맡고 있으며, 현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겨울철 한파로 인한 수도계량기 동파 예방 위해 <수도계량기 동파대책> 본격 시행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겨울철 한파로 인한 수도계량기 동파 예방을 위해 11월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 ‘수도계량기 동파대책’을 본격 시행한다고 전했다. 지난 겨울, 동파 발생을 전년 대비 33% 줄인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는 ‘보온 강화’와 ‘시민 참여’ 두 축으로 이중 예방체계를 구축해 동파 피해 최소화에 나선다. 시는 지난 겨울 발생한 수도계량기 동파 2,046건 중 97%가 보온 미비나 장기 부재 가구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올해 △동파 취약지역 8,300곳의 계량기함 보온덮개 두께를 8mm로 두껍게 보강하고, △동파에 강한 디지털계량기 1만개를 확보하는 등 맞춤형 보온 대책을 강화할 계획이다. 올해부터 보온성능이 우수하나 분리배출이 불가한 발포형(PE) 보온덮개를 대체하기 위해 분리배출이 가능하며 가격 경쟁력이 높은 에어캡형(8mm) 보온덮개 8,300개를 시험 설치하여 보온성능을 검증할 예정이다. 디지털계량기는 계량기 지시부에 물이 차지 않아 일반 계량기에 비해 동파발생률이 낮은 계량기로 동파가 발생하였거나 취약지역에 설치할 계획이다. 특히 복도식 공동주택 등 수도계량기 동파 취약지역에는 수도계량기함 보온재와 보온덮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