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5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위성곤 의원, “말로만 친환경농업, 수질개선부터 관심 가져야”

- 농업용 저수지 108곳 수질기준 초과 5년간 1,108억원 투입 불구, 수질은 오히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나
- 위 의원, “친환경 농업 활성화를 위해 수질개선이 중요한 만큼 개선에 힘써야”

[환경포커스=국회] 매년 수백억 예산 투입에도 불구하고 농업용 저수지 수질은 오히려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 농업을 위해서는 깨끗한 수질이 중요한 만큼 수질개선부터 관심 가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성곤 의원(더불어민주장, 제주 서귀포시)이 한국농어촌공사로부터 제출받은 ‘농업용 호소 수질관리 목표기준 4등급 초과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상반기 기준 농업용 저수지 총 975개소 중 11.1%에 달하는 108개소가 수질관리 목표 기준인 4등급에 부적합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농업용 저수지의 수질 관리목표 4등급인 경우 상당량의 오염물질로 인하여 용존산소가 소모되는 생태계로 여과, 침전, 활성탄 투입, 살균 등 고도의 정수처리 없이는 농업용수로 사용될 수 없는 수질을 말한다.

 

농식품부는 2007년부터 2026년까지 총 3,805억원을 투입해 ‘농업용수 수질개선 중장기대책’을 세우고 수질기준 초과 저수지 87개소를 선정하여 수질개선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4등급을 초과하는 저수지는 2016년 98개소에서 2020년 상반기 기준 108개소로 오히려 늘어났다.

 

위성곤 의원은 “수질개선 사업예산은 2016년 132억원에서 2020년 287억원으로 지난 5년동안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사업성과는 그에 못미치고 있어 점검이 요구된다.”고 하면서  “정부가 친환경농산물의 시장 전망을 2015년 1.3조원에서 2025년 4조로 크게 확대할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친환경농산물 인증의 필수요건인 농업용수의 수질개선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친환경농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수질개선부터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2007년 이후 수질개선사업이 완료된 저수지는 총 39곳으로 매년 2~4지구만 준공되었다. 목표대로 나머지 48지구에 대한 사업을 진행하려면 매년 8지구씩 준공이 필요한 상황이다.

 


환경뉴스

더보기
서울시, 발달장애 아동·청소년만을 위한 정신건강 지원시설 <노들아이존> 개관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24일 수요일 동작구 본동에 발달장애 특화 ‘노들아이존’을 개관한다고 전했다. 이로써 '06년 송파에 정서행동 장애 특화 아이존 첫 개관 이후 동작까지, 서울에 총 9개 아이존(발달장애 2․정서행동 장애 7)이 마련됐으며 ‘발달장애 특화’로는 종로에 이어 두 번째다. ‘아이존’은 정서행동 및 발달 장애 아동이 학교․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통합 재활치료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관으로, 지난달까지 8곳에서 총 31,436명(누적)이 이용했다. 주의력 결핍이나 과잉행동 등 ‘정서․행동장애 아동’은 심리상담과 행동 교정 중심 치료를, ‘발달장애 아동’에게는 언어․놀이․감각통합치료 등 맞춤형 치료를 제공한다. 이번에 문을 연 ‘노들아이존’은 지하 1층~지상 3층, 연면적 272.94㎡ 규모로 조성됐다. 언어․미술․놀이․음악치료, 심리검사 등 개별치료 프로그램과 교육․정서 지원 등 가족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치료실, 상담실 등을 갖추고 있다. 만 12세 이하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에게 ▴개별치료 ▴집단치료 ▴학교지원 ▴가족지원 등 최장 1년 6개월까지 통합 치료를 제공(월 9만3천 원 부담)하며, 취약계층은 증빙서류 제출 시 무료

정책

더보기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