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4 (금)

  • 맑음동두천 10.3℃
  • 맑음강릉 12.0℃
  • 맑음서울 11.2℃
  • 맑음대전 10.7℃
  • 맑음대구 13.6℃
  • 맑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0℃
  • 맑음부산 14.9℃
  • 맑음고창 10.6℃
  • 맑음제주 14.3℃
  • 맑음강화 7.5℃
  • 맑음보은 8.5℃
  • 맑음금산 9.5℃
  • 맑음강진군 12.3℃
  • 맑음경주시 13.1℃
  • 맑음거제 10.5℃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오피니언/인물

조경태 의원 독도 문제, 더 이상 양보는 없다.

-독도에 대한 대한민국의 수호 의지를 보여줘야 할 것

[환경포커스=국회] 일본 도쿄올림픽조직위원회가 올림픽 홈페이지에 독도를 일본 영토로 표시하며 논란이 일고 있다.

 

조경태 국민의 힘 의원(부산 사하을)은 우리 정부의 항의에도 일본은 지도 시정 요구는 수용할 수 없다는 공식 입장을 내놓았다. 일본의 뻔뻔함도 화가 나지만 우리 정부의 무능한 대응이 일본의 도발을 부추기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고 하며 이미 일본은 2019년 7월부터 올림픽 홈페이지에 독도를 일본땅으로 표시해 놓았다.

 

또 올 3월에도 성화 봉송 경로를 담은 지도에서 독도를 일본 영토로 표시했으며 일본이 국제 스포츠 대회까지 동원해서 독도를 일본땅으로 둔갑시키고 있지만, 우리 정부는 일본 정부의 눈치만 보고 있습다고 했다.

 

조 의원은 지난 2018년 평창올림픽때 한반도기에 독도를 표기하자 일본은 즉각 항의를 표명했다. 당시 스가 총리까지 나서서 한반도기에서 독도를 빼라고 요구하자 우리 정부는 기다렸다는 듯이 독도를 빼버렸다.

 

당시 수많은 국민들과 시민단체들이 정부의 어처구니없는 대응에 항의하는 사태까지 발생했지만 심지어 평창올림픽조직위원회까지 나서서 한반도기에 독도가 빠지는 것은 전례라며 해명까지 했다. 하지만 이 또한 거짓으로 밝혀지며 일본 눈치 본다고 국민들까지 우롱하냐는 비난이 쏟아졌다.

 

친일청산이 지상과제인양 외치는 정부지만 실상은 일본의 눈치만 보고 있는 것으로 독도가 대한민국의 고유 영토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문재인정부의 모호한 대응은 독도가 분쟁지역임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처럼 비춰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제 문정부는 더 이상 일본의 눈치가 아니라 우리 국민들의 눈치를 살피기 바라며 독도가 일본땅이라는 주장은 우리 영토에 대한 침략행위나 다름없다. 독도에 대한 일본의 야심이 1이라도 남아 있다면 올림픽 보이콧 뿐 만 아니라 모든 외교적 수단을 동원해서 독도에 대한 대한민국의 수호 의지를 보여줘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정책

더보기
자연자본공시 이행기반 마련과 역량 제고를 위한 논의 본격화
[환경포커스=수도권] 기후에너지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유호)은 대한상공회의소와 함께 11월 10일 오후 2시부터 대한상공회의소(서울시 중구 소재)에서 국내 기업의 자연자본공시 확산과 역량 강화를 위한 ‘제1차 자연자본공시 지원연합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자연자본공시’는 기업이 자연과 관련된 위험과 기회를 평가 분석하여 투자자, 시민사회 등에 공개하는 제도다. 국제사회는 생물다양성 감소와 생태계서비스 손실이 경제와 금융 안정성은 물론 인류의 삶 전반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친다는 인식 아래 기업이 자연자본의 가치와 의존성을 명확히 파악하고 이를 투명하게 공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2021년 6월 설립된 ‘자연 관련 재무정보 공개협의체(TNFD)’는 국제사회의 자연자본공시 체계를 주도하고 있으며, 기후공시에 이어 자연자본공시가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공시 체계에 새로운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기업의 자연자본공시 확산과 참여 확대, 이해관계자 대상 전문성 강화, 국제사회와의 연대강화를 위해 지난 3월 한국 자연자본공시 지원연합을 결성했다. 국립생물자원관과 대한상공회의소가 공동으로 운영을 맡고 있으며, 현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겨울철 한파로 인한 수도계량기 동파 예방 위해 <수도계량기 동파대책> 본격 시행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겨울철 한파로 인한 수도계량기 동파 예방을 위해 11월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 ‘수도계량기 동파대책’을 본격 시행한다고 전했다. 지난 겨울, 동파 발생을 전년 대비 33% 줄인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는 ‘보온 강화’와 ‘시민 참여’ 두 축으로 이중 예방체계를 구축해 동파 피해 최소화에 나선다. 시는 지난 겨울 발생한 수도계량기 동파 2,046건 중 97%가 보온 미비나 장기 부재 가구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올해 △동파 취약지역 8,300곳의 계량기함 보온덮개 두께를 8mm로 두껍게 보강하고, △동파에 강한 디지털계량기 1만개를 확보하는 등 맞춤형 보온 대책을 강화할 계획이다. 올해부터 보온성능이 우수하나 분리배출이 불가한 발포형(PE) 보온덮개를 대체하기 위해 분리배출이 가능하며 가격 경쟁력이 높은 에어캡형(8mm) 보온덮개 8,300개를 시험 설치하여 보온성능을 검증할 예정이다. 디지털계량기는 계량기 지시부에 물이 차지 않아 일반 계량기에 비해 동파발생률이 낮은 계량기로 동파가 발생하였거나 취약지역에 설치할 계획이다. 특히 복도식 공동주택 등 수도계량기 동파 취약지역에는 수도계량기함 보온재와 보온덮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