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1 (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종합뉴스

서울시, 봄철 산행 증가 추세에 따라 안전사고 예방 위해 <봄철 산악사고 안전대책> 추진

최근 3년간(’22~’24) 산악사고 통계 분석, 총 6,191건으로 연평균 2,064건 발생
북한산 산악사고 최다, 사고부상이 가장 많아… 5월말까지 안전대책 적극 추진
응급구조함 등 안전시설물 정비․점검, 조난사고 시 드론 및 소방헬기 활용 수색 및 이송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에서는 봄철을 맞아 등산 등 산행을 즐기는 시민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봄철 산악사고 안전대책’을 추진한다고 27일 목요일 전했다.

 

시 소방재난본부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산악사고 구조활동은 총 6,191건으로 연평균 2,064건이 발생했다. 지난해 구조활동은 2,062건으로 ’23년 대비 80건(3.7%)이 감소, ’21년 대비 75건(3.8%)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 원인별로는 사고부상이 3,159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조난 1,514건, 개인질환 844건 등의 순이다.

 

장소별로는 북한산이 1,296건으로 가장 많았고 도봉산 1,024건, 관악산 924건, 수락산 252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북한산 등 4곳의 구조활동이 전체 건수 대비 56.5%를 차지했다.

 

월별 구조활동 건수는 산행이 많은 10월(709건)과 5월(586건)이 1‧2순위를 차지하는 등 다른 달에 비해 구조 건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소방재난본부 및 산하 119특수구조단에서는 시민들이 보다 안전한 산행을 할 수 있도록 오는 4월 1일부터 ‘봄철 산악사고 안전대책’을 적극적으로 펼쳐나갈 계획이다.

 

이번 대책의 주요 추진사항은 ▸소방대원 등으로 구성된 ‘산악안전지킴이’ 운영 ▸응급구조함 및 긴급구조 위치표지판 등 안전시설물 정비‧점검 ▸조난자 등 발생 시 드론, 소방헬기 등 특수장비 활용 수색 및 긴급이송 ▸산악 안전사고 예방 캠페인 실시 등이다.

 

먼저 북한산 등 주요 등산로에 ‘산악 안전지킴이’ 및 ‘간이 응급의료소’를 설치 및 운영하는 등 봄철 본격적인 산행에 대비하여 촘촘한 안전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산악안전지킴이: 소방공무원, 의용소방대, 시민산악구조봉사대 등으로 구성하여 시민의 안전 산행을 지원

 

또한 등산로 등에 설치된 응급구조함(58개) 및 긴급구조 위치표지판(758개)을 점검․정비하고 설치 위치와 사용법, 산악사고 시 대처요령 등 홍보 및 안내를 위해 안전 캠페인도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119특수구조단 관계자에 따르면 “산의 특성 상 신고자가 자신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구조물 등이 없어 골든타임을 놓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라며 “스마트폰의 GPS시스템과 연계해 신고와 동시 위치까지 전송해주는 ‘119신고앱’을 설치하고 사용법을 익혀 두는 것도 산악사고 피해 예방에 큰 도움이 될 것” 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도 등산객 조난사고 발생 대비 북한산, 도봉산, 관악산 3곳에 설치된 산악구조대와 관할 소방서의 구조대는 24시간 출동태세를 갖추고 효과적인 조난자 수색을 위해 구조대원과 드론이 함께 구조활동에 임할 예정이며, 119항공대 소방헬기 3대도 긴급이송 상황에 대비할 방침이다.

 

권혁민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서울소방은 봄철을 맞아 산을 찾은 시민분들과의 안전동행을 위해 산악사고 안전대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라며 “시민분들께서도 산행 전 산악사고 안전수칙과 행동요령을 반드시 숙지해 주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서울시, 지하철 이용 중 불편한 점 24시간 내내 AI 챗봇 <또타24> 이용해 접수하세요
[환경포커스=서울] 서울교통공사는 서울 지하철 1~8호선 이용 중 불편한 점이 발생했을 때 별도로 고객센터에 연락하지 않고도 24시간 내내 간편하게 민원을 접수할 수 있는 창구인 AI 챗봇 ‘또타24’를 소개했다. 공사는 지하철 이용 시민들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지난해 1월부터 본격적으로 24시간 AI 기반 챗봇 민원 상담 서비스 ‘또타24’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작년 한 해만 43만 건이 넘는 민원을 챗봇으로 처리했다. 특히 냉‧난방 민원과 같은 간단한 민원의 경우, ‘또타24’를 활용하면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접수할 수 있어 많은 시민이 이용하고 있다. 챗봇 채팅창에 “더워요” 또는 “추워요”를 입력하면, 민원 접수 화면으로 이동한다. 이후 호선과 탑승 중인 열차의 칸 번호를 입력하는 간단한 절차만으로 민원이 자동 접수된다. 실제로 작년 한 해 공사에 접수된 전체 냉난방 민원의 38%에 달하는 36만 건의 냉‧난방 민원이 챗봇을 통해 접수됐다. 챗봇을 통해 민원이 처리되는 만큼 고객센터 직원들은 응급환자 발생‧소란자 발생 등 긴급한 민원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올해도 1월에서 5월까지 ‘또타24’는 126,747건의 민원을 처리했다. 이 중 냉‧난

정책

더보기

종합뉴스

더보기
부산시,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접근성 놉이기 위한 <저상버스 탑승 체험 및 실태조사> 하반기 활동 돌입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이용률과 접근성을 높이고자,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과 홍보단(서포터즈)이 함께 시민추진단을 구성해 저상버스에 직접 탑승하는 '저상버스 탑승 체험 및 실태조사' 상반기 활동을 마무리하고 하반기 활동에 돌입한다고 전했다. 시는 지난 3월 20일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 부산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 부산뇌병변복지관과 「2025년 저상버스 이용의 날(버스랑 배프 데이)」 운영사업 공동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시민추진단을 통해 ‘저상버스 탑승 체험 및 실태조사’를 하고 있다. 시민추진단은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총 65회에 걸쳐 부산 시내를 운행하는 저상버스를 타고 탑승 환경에 대한 실태 조사를 했으며, 하반기에는 100회 이상 저상버스 탑승 체험을 할 계획이다. 시민추진단은 휠체어 이용 장애인과 홍보단(서포터즈) 26명으로 구성되고, 4인이 한 조로 저상버스를 체험하며 운전기사와 승객들에게 교통약자의 이동권에 관한 관심을 유도한다. 조사 내용으로 ▲버스정류장 내 운행 시간표상 저상버스 운행 표시 여부 ▲버스정류장 앞 보도 연석 높이와 보도 폭 ▲휠체어 탑승 후 저상버스 출발 시간까지 걸리는 시간 ▲운전기사와 승객 태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