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6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대도시 이외 전기차 충전기 고장 울릉도 최고

  

[국정감사=국회] 기차 충전기 고장율이 지역별로 크게 차이나는 것으로 확인됐. 시도별로 전기차 충전기 중 사용 불가한 충전기 비율은 울릉도가 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송옥주 의원이 환경부가 운영하는 전기차 충전소 모니터링 사이트(https://www.ev.or.kr)에서 올해 928일 저녁 9시를 기준으로 시도별 전기충전기(완속, 급속 모두 포함)의 오류·고장 현황을 실시간 확인한 결과, 사용 불가한 충전기가 가장 많은 지역은 울릉도(85%)였고, 전라북도(37%), 울산광역시(26%), 경기도와 광주광역시(24%)가 뒤를 이었다. (표 참고)

의원은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지역별로 크게 차이나선 안 된다. 전기차 운전자가 국 어디서든 차질없이 충전할 수 있어야 안정적인 전기차 시대를 맞이할 수 있다 강조하며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사업은 환경부가 한국자동차환경협회에만 위탁하고 느슨하게 관리할 게 아니라, 차세대 국가 교통 인프라 구축 사업인 만큼 고장난 충전기가 신속하게 수리되도록 해야 한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송 의원은 특히 환경부 지침에 따른 ‘3시간 이내 수리가 가능하려면 지역별로 위탁수리 전문업체를 선정해서 고장 및 오류 정보가 수리를 담당하는 주체에 바로 전달되도록 체계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시도별 전기충전기 상태 현황표 (18.9.28 21:00)

구분

총계

사용 가능

사용 불가능

시범

운영

충전중

(A)

충전가능

(B)

소계

(A+B)

점검중/

운영중지

(C)

상태미확인

(오류)

(D)

소계

(C+D)

서울특별시

949

41 (4%)

768 (81%)

809 (85%)

46 (5%)

94 (10%)

140 (15%)

0 (0%)

부산광역시

280

16 (6%)

215 (77%)

231 (83%)

17 (6%)

32 (11%)

49 (17%)

0 (0%)

대구광역시

474

78 (17%)

286 (60%)

364 (77%)

9 (2%)

101 (21%)

110 (23%)

0 (0%)

울산광역시

137

2 (1%)

100 (73%)

102 (74%)

7 (5%)

28 (21%)

35 (26%)

0 (0%)

광주광역시

223

21 (9%)

146 (66%)

167 (75%)

18 (8%)

36 (16%)

54 (24%)

2 (1%)

대전광역시

125

6 (5%)

96 (77%)

102 (82%)

4 (3%)

19 (15%)

22 (18%)

0 (0%)

인천광역시

239

11 (4%)

188 (79%)

199 (83%)

7 (3%)

33 (14%)

40 (17%)

0 (0%)

세종특별자치시

44

5 (11%)

32 (73%)

37 (84%)

2 (5%)

5 (11%)

7 (16%)

0 (0%)

제주특별자치시

730

103 (14%)

508 (70%)

611 (84%)

25 (3%)

92 (13%)

117 (16%)

2 (0%)

경기도

1,456

68 (5%)

1,041 (71%)

1,109 (76%)

51 (4%)

292 (20%)

343 (24%)

4 (0%)

강원도

450

17 (4%)

367 (81%)

384 (85%)

22 (5%)

30 (7%)

52 (12%)

14 (3%)

충청남도

285

10 (4%)

234 (82%)

244 (86%)

12 (4%)

18 (6%)

30 (10%)

11 (4%)

충청북도

291

12 (4%)

241 (83%)

253 (87%)

11 (4%)

23 (8%)

34 (12%)

4 (1%)

전라북도

270

5 (2%)

163 (61%)

168 (63%)

28 (10%)

73 (27%)

101 (37%)

1 (0%)

전라남도

394

15 (4%)

326 (83%)

341 (87%)

23 (6%)

27 (7%)

50 (13%)

3 (0%)

경상북도

452

18 (4%)

356 (79%)

374 (83%)

19 (4%)

51 (11%)

70 (15%)

8 (2%)

경상남도

439

15 (3%)

362 (83%)

377 (86%)

15 (3%)

42 (10%)

57 (13%)

5 (1%)

울릉도

26

0 (%)

4 (15%)

4 (15%)

0 (0%)

22 (85%)

22 (85%)

0 (0%)

 

 


환경뉴스

더보기
서울시, 추석 명절 전후 불법 대부행위 기승 예상에 따라 전통시장 주변 집중 단속 실시
2025. 9. 3.(수) 석간용 이 보도자료는 2025년 9월 3일 오전 06:00부터 보도할 수 있습니다.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올 추석 명절 전후에 단기 급전이 필요한 시장 상인을 대상으로 초단기 고금리 일수 대출 등 불법 대부행위가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되어 11월 말까지 전통시장 주변 불법 대부행위에 대한 집중 단속 및 수사를 벌인다고 전했다. 최근 주요 금융사 신용대출 한도가 낮아져 대부업체의 신용대출 신청 건수가 크게 증가하고 대부업계까지 대출 승인율을 낮추면서 급전이 필요한 전통시장 및 골목상권의 영세 자영업자 등에 대한 불법 대출 행위가 기승을 부릴 수 있어 단속 및 수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서울시 소속 민생사법경찰국 수사관들을 투입하고 25개 자치구 등 관련 부서와 전통시장 상인들 간의 협조를 통해 단속의 실효성을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2025년 1월 개정된 대부업법이 2025년 7월 22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강화된 피해자 구제 및 처벌기준에 따라 강력하게 단속하고 ‘불법사금융 피해신고 안내문’을 배부하여 불법사금융으로 인한 저소득·저신용자 등 금융취약계층의 피해 예방에도 적극적인 노력을 기할 예정이다. 이번 주요 수사대상은 ▲불

정책

더보기
국회 기후위기 특별위원회, 아고라 에네르기벤데와 간담회 개
[환경포커스=국회] 국회 기후위기 특별위원회(위원장 위성곤)는 9월 4일(목) 오전 10시 30분 국회 다목적영상회의실에서 아고라 에네르기벤데(Agora Energiewende)와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아고라 에네르기벤데는 2012년 설립된 독일 소재 비영리 민간 싱크탱크로, 독일·유럽 및 전 세계의 기후중립 달성을 위한 전략을 개발하고 있다. 이번 간담회에는 케빈 투 중국사무소 총괄, 저우 양 중국사무소 전력부문 담당 및 염광희 선임연구원이 참여하였다. 위성곤 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탄소 중립이 국가 생존 전략을 좌우하는 핵심 과제이며, 특히 에너지 전환은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과제”라 강조하였다. 또 “한국의 경우 전력계통 제약과 규제 등 여러 가지 한계로 인해 재생에너지 보급 속도가 기대만큼 빠르지 않았으나, 향후 시장개편과 제도개선으로 에너지 전환에 속도를 낼 것”이라 밝히면서, 한국과 중국이 서로의 정책 경험을 공유하고 협력하여 재생에너지 보급을 더욱 확대하기를 희망하였다. 이어 케빈 투 중국사무소 총괄은 중국의 에너지·기후 정책 전환 상황을 설명하면서, 중국은 재생에너지 급속 확산과 산업의 전기화 진전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이 정점을 보이는 신호가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5,000여 개 업소를 대상으로 <추석 성수식품 유통‧판매 집중 점검> 실시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가 추석 명절을 앞두고 시민이 안심하고 식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5,000여 개 업소를 대상으로 ‘추석 성수식품 유통‧판매 집중 점검’을 내달 2일까지 실시한다고 전했다. 농수축산물 및 가공식품은 9.3 ~9.12, 원산지 점검은 9.15. ~ 10.2까지 진행된다. 최근 고온다습한 날씨가 이어지며 식중독 발생 위험이 증가하고, 부적합 식품*의 회수․폐기 사례가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이에 시는 추석을 앞둔 소비자들의 식품 안전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이번 점검을 추진하게 됐다. 이번 점검은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서울시, 자치구,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이 참여하는 민관 합동 방식으로 진행된다. 위생점검 대상은 축산물(포장육 등), 건강기능식품(홍삼 등), 과일, 나물, 생선, 떡, 한과, 참기름 등 명절 제수 또는 선물용으로 수요가 급증하는 품목을 취급하는 제조·판매업소와 전·튀김·횟집 등 식중독 발생 우려가 높은 음식점 등 총 1,150개소다. 백화점, 대형마트, 전통시장 등 시민이 많이 찾는 장소를 우선적으로 선정한다. 주요 점검 사항은 ▴무등록 식품 제조·판매 ▴소비기한 경과제품의 보관·판매 ▴식품의 비위생적 취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