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1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대도시 이외 전기차 충전기 고장 울릉도 최고

  

[국정감사=국회] 기차 충전기 고장율이 지역별로 크게 차이나는 것으로 확인됐. 시도별로 전기차 충전기 중 사용 불가한 충전기 비율은 울릉도가 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송옥주 의원이 환경부가 운영하는 전기차 충전소 모니터링 사이트(https://www.ev.or.kr)에서 올해 928일 저녁 9시를 기준으로 시도별 전기충전기(완속, 급속 모두 포함)의 오류·고장 현황을 실시간 확인한 결과, 사용 불가한 충전기가 가장 많은 지역은 울릉도(85%)였고, 전라북도(37%), 울산광역시(26%), 경기도와 광주광역시(24%)가 뒤를 이었다. (표 참고)

의원은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지역별로 크게 차이나선 안 된다. 전기차 운전자가 국 어디서든 차질없이 충전할 수 있어야 안정적인 전기차 시대를 맞이할 수 있다 강조하며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사업은 환경부가 한국자동차환경협회에만 위탁하고 느슨하게 관리할 게 아니라, 차세대 국가 교통 인프라 구축 사업인 만큼 고장난 충전기가 신속하게 수리되도록 해야 한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송 의원은 특히 환경부 지침에 따른 ‘3시간 이내 수리가 가능하려면 지역별로 위탁수리 전문업체를 선정해서 고장 및 오류 정보가 수리를 담당하는 주체에 바로 전달되도록 체계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시도별 전기충전기 상태 현황표 (18.9.28 21:00)

구분

총계

사용 가능

사용 불가능

시범

운영

충전중

(A)

충전가능

(B)

소계

(A+B)

점검중/

운영중지

(C)

상태미확인

(오류)

(D)

소계

(C+D)

서울특별시

949

41 (4%)

768 (81%)

809 (85%)

46 (5%)

94 (10%)

140 (15%)

0 (0%)

부산광역시

280

16 (6%)

215 (77%)

231 (83%)

17 (6%)

32 (11%)

49 (17%)

0 (0%)

대구광역시

474

78 (17%)

286 (60%)

364 (77%)

9 (2%)

101 (21%)

110 (23%)

0 (0%)

울산광역시

137

2 (1%)

100 (73%)

102 (74%)

7 (5%)

28 (21%)

35 (26%)

0 (0%)

광주광역시

223

21 (9%)

146 (66%)

167 (75%)

18 (8%)

36 (16%)

54 (24%)

2 (1%)

대전광역시

125

6 (5%)

96 (77%)

102 (82%)

4 (3%)

19 (15%)

22 (18%)

0 (0%)

인천광역시

239

11 (4%)

188 (79%)

199 (83%)

7 (3%)

33 (14%)

40 (17%)

0 (0%)

세종특별자치시

44

5 (11%)

32 (73%)

37 (84%)

2 (5%)

5 (11%)

7 (16%)

0 (0%)

제주특별자치시

730

103 (14%)

508 (70%)

611 (84%)

25 (3%)

92 (13%)

117 (16%)

2 (0%)

경기도

1,456

68 (5%)

1,041 (71%)

1,109 (76%)

51 (4%)

292 (20%)

343 (24%)

4 (0%)

강원도

450

17 (4%)

367 (81%)

384 (85%)

22 (5%)

30 (7%)

52 (12%)

14 (3%)

충청남도

285

10 (4%)

234 (82%)

244 (86%)

12 (4%)

18 (6%)

30 (10%)

11 (4%)

충청북도

291

12 (4%)

241 (83%)

253 (87%)

11 (4%)

23 (8%)

34 (12%)

4 (1%)

전라북도

270

5 (2%)

163 (61%)

168 (63%)

28 (10%)

73 (27%)

101 (37%)

1 (0%)

전라남도

394

15 (4%)

326 (83%)

341 (87%)

23 (6%)

27 (7%)

50 (13%)

3 (0%)

경상북도

452

18 (4%)

356 (79%)

374 (83%)

19 (4%)

51 (11%)

70 (15%)

8 (2%)

경상남도

439

15 (3%)

362 (83%)

377 (86%)

15 (3%)

42 (10%)

57 (13%)

5 (1%)

울릉도

26

0 (%)

4 (15%)

4 (15%)

0 (0%)

22 (85%)

22 (85%)

0 (0%)

 

 


환경뉴스

더보기
부산시, 저출생 대응 캠페인 당신처럼 애지중지 <제2회 아이가 행복입니다. 부산> 개최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24일과 25일 양일간 영화의전당 하늘연극장 및 야외광장에서 저출생 대응 캠페인 당신처럼 애지중지 '제2회 아이가 행복입니다. 부산'을 개최했다고 전했다. ‘아이가 행복입니다. 부산’은 부산시와 언론사, 부산 지역의 영유아, 부모, 단체 등 시민이 함께하는 ‘함께육아’ 인식개선과 저출생·육아 문제 소통을 위한 저출생 대응 캠페인 및 공감 프로젝트이다. 작년에 이어 두 번째 개최된 행사로 시와 조선일보사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한국마사회, 국립해양박물관, 대한적십자사 등 여러 유관기관과 시민 5천여 명이 함께했다. 이번 행사는 '온 부산이 당신처럼 애지중지',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도시 부산'의 메시지를 담아 ▲개막식 ▲전문가 초청강연 및 공연 ▲실내외 체험 프로그램 ▲'정책 공감존' 등으로 다채롭게 구성됐다. 개막식은 10월 24일 오후 1시 30분 하늘연극장에서 ‘국공립어린이집 영유아&교사 합창대회’ 우승팀의 여는(오프닝) 공연을 시작으로, 개회선언·환영사·축사, 시상식 순으로 개최됐다. 박형준 시장을 비롯해 시민, 다자녀가정 및 출산친화기업 등 3백여 명이 참석해 개막을 축하했다. 강연 프로그램으로는 ▲대한민국 최고의

정책

더보기
우원식 국회의장, 에너지전환포럼 ‘2025 에너지전환의밤’ 참석
[환경포커스=국회] 우원식 국회의장은 29일 오후 여의도 루나미엘레 컨벤션홀에서 열린 에너지전환포럼 ‘2025 에너지전환의 밤’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우 의장은 “2018년 창립된 포럼이 어느덧 7년, 사회·정치 환경 변화들이 있었지만 포럼이 꾸준히 활동을 이어오면서 산업 현장, 학계, 정책, 시민사회 속에서 우리 사회의 변화, 에너지전환의 큰 흐름을 이끌어왔다”고 평가했다. 우 의장은 “‘기후국회’를 표방하는 22대 국회는 기후위기 문제를 해결하기 한 노력을 적극 추진 중”이라며 “여야 갈등 속에서도 입법권을 가진 기후특위를 발족시켰고, 해상풍력법, 전력망확충법을 통과시켰다”고 말했다. 이어 “국회라는 기관 차원에서는, 공공부문보다 10년 빠른 2035년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비전을 선언하고, 구체적 로드맵을 마련해 추진 중”이라고 덧붙였다. 우 의장은 이어 “기후위기 대응이 선언으로 그치지 않고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해야 할 일이 많다”며 “유엔 기후변화협약에 제출할 국가 온실가스감축목표(NDC) 확정을 앞두고, 정부가 최종 의견수렴 단계에 돌입한 상황이고, 국회도 헌법불합치 상태의 「탄소중립기본법」을 내년 2월까지 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종합뉴스

더보기
부산시, 생태관광 콘텐츠 낙동강 생태탐방선 화명 노선에 <노을투어> 신규 노선 도입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와 부산관광공사는 부산의 대표 생태관광 콘텐츠인 낙동강 생태탐방선 화명 노선에 '노을투어' 신규 노선을 도입하고 오는 11월 5일부터 16일까지 약 2주간 무료로 시범 운항한다고 전했다. ‘노을투어’는 화명 선착장을 중심으로 운항하는 석양 주제(테마) 코스다. 이번 무료 시범 운항은 시민과 관광객이 낙동강의 황금빛 일몰의 매력을 체험할 수 있는 이벤트로 마련됐다. '노을투어' 생태탐방선은 마지막 회차인 오후 5시에 화명 선착장을 출발해, ▲대동화명대교 ▲구포대교 등 주요 조망 명소를 연결하는 낙동강 일몰 감상코스 약 8킬로미터(km) 구간을 40분 동안 운항한다. 낙동강 생태탐방선 투어는 인근 주요 관광지인 ▲화명생태공원 ▲부산어촌민속관 ▲기후변화체험교육관 ▲금빛노을 브릿지 ▲구포시장 ▲낙동강하류 철새도래지 탐방센터 ▲삼락생태공원 등과 연계해 낙동강 일대를 하루 일정으로 즐길 수 있는 생태·감성형 관광 코스다. '노을투어'는 시민 누구나 사전 예약을 통해 무료로 참여할 수 있으며, 낙동강생태탐방선 을숙도사무소(☎051-294-2131, 2135)로 전화하여 참여하면 된다. 이번 무료 시범 운항 기간에 탑승객이 탐방선 인증사진 또는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