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강수량·강수일수 급감 등 이상기후 산불 급증

산불 발생 연중화·대형화되어 산불 인한 인명피해, 재산피해

[국정감사=국회] 건조특보 급증과 강수량·강수일수 급감 등 이상기후로 산불이 급증하고 하는데, 산림청 산불 재난 대비 예산은 줄어들고 있다고 한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오영훈 의원이 기상청·소방청·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전년 대비 강수량·강수일수는 큰폭으로 감소하고, 건조일수는 약 40% 증가해 산불 발생이 연중화·대형화되어 산불로 인한 인명피해, 재산피해가 급증하고 있으나 산림청의 산불재난예산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 건조특보 발령일수 및 강수량, 강수일수

 

최근10

2016

2017

건조특보 발령일수

평균 113

117

158

강수량

평균 1,296mm

1,273mm

968mm

일수

평균 114

109

100

     (자료출처: 기상청)

건조특보 발령일수가 2016117일에서 2017158일로 40% 급증하고, 강수량은 최근101300mm에서 20161273mm, 2017968mm로 급감, 강수일수 또한 114, 109, 100일로 급감해 심각한 기후변화를 나타냈다.

 

소방청의 최근 5년간 산불발생 현황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산불발생 건수는 1467건으로 증가추세에 있는데, 문제는 산불발생 건수는 예년과 크게 차이나지 않으나, 인명 및 재산피해, 피해면적이 심각하다는 점이다.

 

2013~2018.6 연도별 산불발생 현황

구분

산불건수

인명피해

재산피해

(천원)

피해면적

()

소계

사망

부상

총계

7,945

250

39

211

27,840,370

38,922,696

2013

1,122

46

5

41

2,633,995

2,793,392

2014

1,533

38

12

26

1,457,893

2,666,901

2015

1,736

34

4

30

1,950,944

8,655,318

2016

1,321

36

3

33

1,729,668

4,446,442

2017

1,467

54

9

45

12,378,126

13,667,302

2018.6

766

42

6

36

7,689,744

6,693,341

(자료출처: 소방청)

 

연도별 산불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2017년 산불로 인한 인명피해는 54명으로 2013년 이후 가장 많은 인명피해이며 재산피해는 123억원 이상으로 전년대비 7배로 증가했다. 또한 산불피해면적은 전년의 3배가 넘는 1366을 기록했다. 고온에 가뭄이 지속되어 장마가 있는 여름 7·8월 간 발생한 여름철 산불은 61건으로 지난해 3(최근 10년 평균 3.8)에 비해 20배 이상 늘어났다.

 

그러나 산림청은 기상청의 자료를 차용하며 산불 발생의 급격한 연중화·대형화의 문제를 인식하고 있음에도 개선사항은 단 몇줄에 불과해 재난발생 상황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특히 예산집행 현황에서는 산림재해방지 예산은 매년 줄어들고 있고 산불방지대책 예산 역시 크게 줄어들고 있었다.

 

 

 

산림재해방지 예산현황

 

세부사업명

예산 (백만원)

2015

사방사업

297,765

산림재해모니터링

5,115

산불방지대책

61,063

재해대책비

30,000

소계

393,943

2016

사방사업

286,407

산불방지대책

60,869

재해대책비

35,000

소계

382,276

2017

사방사업

232,872

산사태재난경계피난

968

산림재해일자리

87,397

재해대책비

35,000

산불방지대책

15,011

소계

371,248

2018

사방사업

179,547

산불방지대책

15,475

재해대책비

35,000

산사태재난경계피난

6,267

산림재해일자리

86,749

지진 및 해일 대응

13,304

소계

336,342

(자료출처: 산림청)

 

 

고온건조 현상은 산불만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동식물의 생명도 위협하고 있다. 올 여름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자는 4,000명 이상, 사망자는 50명에 달했고, 가축은 571만 마리(전년대비 56.5% 증가)이상이 폐사했다. 기상청에서는 올해 강원 산간지역의 연교차가 최대 70°C까지 벌어질 것으로 예상하며 식생의 급격한 변화, 농작물 피해 등 생태계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상기후는 국가가 관리해야 할 자연재해, 재난임을 보여줬다.

 

이에 대해 오영훈 의원은 이상기후로 인한 산불이 인간과 동식물의 생명과 재산을 앗아가고 있는데 정부가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한 것 같다이상기후와 산불 재난 예산을 대폭 확대해 대비를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고 관계부처에 요구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서울시, 외국인들의 서울생활 편의 높이기 위해 <외국인 서울생활 도우미120> 위촉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 120다산콜재단(이하 ‘재단’)은 7월 21일 월요일 외국인들의 서울생활 편의를 높이기 위해 ‘외국인 서울생활 도우미120’을 위촉하였다고 전했다.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경험을 지닌 ▲럭키(아비셰크 굽타, 인도) ▲라힐(아마도바 라힐, 아제르바이잔) ▲마포 로르(카메룬계 프랑스인)가 120다산콜재단 운영자문으로 위촉되어, 외국인에게 필요한 정보 지원과 서울생활 도우미로 활동한다. ‘120다산콜재단’은 “서울시 민원을 전화 한 통화로 해결한다”는 슬로건을 내걸고 120다산콜센터로 출범하여 종합적·전문적 시정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여 시민 만족 및 소통 편의성 제고에 힘써오고 있다. 120다산콜재단은 현재 총 5개 국어(영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몽골어)의 외국어 상담을 운영하고 있다. 교통 정보, 수도 요금, 지방세, 민원 신고, 정책 문의 등 서울시와 자치구 행정에 대한 전문적인 상담을 제공한다. 또한, 상담 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삼자 간 통역 서비스도 지원하고 있어 외국인들의 생활 전반의 소통을 한층 원활하게 돕고 있다. 최근 120다산콜로 인입된 외국어 상담건수는 10,110건(’25. 1. ~ ’25. 6. 기준)으로

정책

더보기
“새로운 문명의 전환, 환경부가 앞장서야”
[환경포커스=세종] 김성환 신임 환경부 장관이 7월 22일 취임 직후 기자단과의 첫 상견례를 통해 환경부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뚜렷한 방향성을 제시했다. 그는 “환경부는 규제 부서가 아니라 탈탄소 사회로의 문명 전환을 안내하는 선도 부서가 돼야 한다”고 강조하며, 향후 5년간의 기후 정책 비전을 상세히 밝혔다. 김 장관은 취임사를 통해 현재의 기후위기를 단순한 환경 문제가 아닌 문명의 붕괴와 직결된 위협으로 규정했다. “현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연 3ppm씩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지구의 안전한 한계선을 넘어서고 있다”며 “2℃ 상승을 넘어서면 생명체의 15~20%가 멸종하고, 3℃를 넘으면 인류 문명이 붕괴한다는 것이 과학의 경고”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제는 산업, 수송, 건물, 농업 등 사회 모든 부문이 구조적으로 변화해야 할 때”라며, 특히 석탄과 석유, LNG 등 화석연료를 원천적으로 줄이는 탈탄소 전략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기자단과의 상견례 자리에서는 정부 조직 개편과 탈탄소 실천의 모범 사례로서 환경부 내부의 변화도 직접 언급했다. 김 장관은 “환경부가 전기차 보급을 담당하는 부서인데, 실제 우리 공무원들이 전기차를 얼마나 타고 있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뚝섬역 운동 커뮤니티 공간 <핏 스테이션> 내 샤워시설 무료로 개방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두 번째 지하철 혁신프로젝트 역사인 2호선 뚝섬역 운동 커뮤니티 공간 ‘핏 스테이션(Fit Station)’ 내 샤워시설을 7월 18일 금요일부터 11월까지, 러닝·자전거 등 운동을 즐긴 시민들이 더위를 식힐 수 있도록 무료로 개방한다고 전했다. 뚝섬역 핏스테이션은 그룹 트레이닝 전문 브랜드인 좋은습관PT 스튜디오(이하 ‘좋은습관PT’)가 운영 중으로, 최대 30명까지 그룹 PT를 할 수 있는 널찍한 운동공간에서 인근 직장인과 젊은 세대를 대상으로 활발한 커뮤니티 기반의 건강 활동을 이끌고 있다. 서울시는 좋은습관 PT와 함께, 기존에 핏스테이션 이용자만 사용할 수 있었던 샤워시설을 시범적으로 무료 개방하여 운동을 즐긴 시민 누구나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핏 스테이션’ 내 샤워실은 남·녀 구분되어 각각 5개의 샤워부스를 갖추고 있으며, 탈의 공간과 함께 수건, 드라이기 등 기본 편의물품이 구비되어 있다. 남·녀 각 5개의 샤워부스 중 일부를 무료 개방하여 시범사업에 활용한다. 탈의실 내 보관함 외에도 월 1만원으로 장기 보관함을 이용할 수 있어,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서울시는 뚝섬역 ‘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