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8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온실가스정보센터 2017년 온실가스 배출량 전년 대비 2.4% 증가

- 전기‧열(860만 톤↑), 철강(610만 톤↑), 불소가스(310만 톤↑) 영향으로
- 원전 발전량 감소해도 석탄감축과 재생에너지 확대 통해 달성 가능 전망

[환경포커스=세종]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센터장 홍동곤)는 ‘국가 온실가스 통계관리위원회(위원장 박천규 환경부 차관)’ 심의를 거쳐 2017년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년 6억 9,257만 톤에서 1,657만 톤(2.4%↑) 증가한 7억 914만 톤CO2eq.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전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1,657만 톤↑)는 주로 전기‧열생산(860만 톤↑, 3.5%↑), 철강(610만 톤↑, 6.5%↑), 불소계 온실가스(310만 톤↑, 20.6%↑) 등 냉장 냉동 반도체 액정 등이 증가 발생했다고 전했다.

< 배출량 증가 원인 >

 

전기‧열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860만 톤↑)는 석탄(1,260만 톤↑) 및 가스(110만 톤↑) 부문의 증가가 원인이며(석유부문은 520만 톤 감소↓), 석탄의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한 이유는 현 정부에서 추진한 노후석탄 조기폐지정책에 따라 2017년 폐지‧전환 3기 525MW(서천 1‧2호기 400MW, 영동 1호기 125MW) 일부설비가 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전 정부에서 허가받았던 신설 6기 5,114MW(북평 1‧2호기 1,190MW, 신보령 1‧2호기 1,852MW, 삼척그린 2호기 1,022MW, 태안 10호기 1,050MW) (자료 : 2017년 한국전력통계) 설비가 신규 설치된 것이 주요원인으로 분석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발전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6년 대비 790만 톤 증가(3.3%↑)한 2억 4,620만 톤(전체 배출

량의 34.7%) 증가(2016년 대비 3.3%)는 경제성장이 주요 원인이며, 에너지전환 정책과는 무관하다고 하

면서 국내총생산(GDP)이 3.1% 증가(2016→2017)하는 경제성장에 따른 발전량 증가(2016년 대비 2.4%)가

발전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의 주요 원인이라고 덧붙였다,

 

또 나머지는 발전믹스 변경에 따른 증가 등이며, LNG 등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이 큰 석탄발전 비중이 증가(39.6 → 43.1%)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로드맵 수정안’과 에너지전환정책(원전·석탄 감축, 재생에너지 확대, 소비구조 혁신)은 정합성을 확보·유지하고 있으며,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는 원전 발전량이 감소하더라도 석탄감축과 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해 달성 가능하다고 했다.

 

철강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량(610만 톤↑)은 대부분 원료탄 사용 증가에 따른 배출증가(590만 톤↑)로 발생했다. 원료탄 사용이 증가한 이유는 철강제품의 수출회복에 따른 조강 생산량의 증가(3.6%↑) 영향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불소계 온실가스 소비 부문의 배출 증가(310만 톤↑)는 냉매가스(220만 톤↑) 및 공정가스(130만 톤↑) 부문의 배출량 증가로 인해 발생했다. 이는 냉방․냉장기 생산 증가에 따른 냉매 가스 수입량 증가(HFCs 49%↑), 반도체·디스플레이 호황에 따른 불소계 가스 구입 증가 영향으로 분석된다.

                                                                                                                                (단위 : 백만톤 CO2eq.)

 

분 야

2016

2017

2016년 대비

2017년 증감

총배출량

692.6

709.1

(100%)

16.6

(2.4%)

에너지

602.7

615.8

(86.8%)

13.1

(2.2%)

산업공정

52.8

56.0

(7.9%)

3.2

(6.0%)

농업

20.5

20.4

(2.9%)

-0.1

(-0.3%)

폐기물

16.5

16.8

(2.4%)

0.3

(2.0%)

 

< 분야별 배출량 및 배출원단위 >

 

분야별 온실가스 배출비중은 에너지 86.8%, 산업공정 7.9%, 농업 2.9%, 폐기물 2.4% 순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분야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86.8%에 해당하는 6억 1,580만 톤으로 전년 대비 2.2% 증가했다.

산업공정 분야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7.9%에 해당하는 5,600만 톤으로 전년 대비 6.0% 증가했다.

 

농업 분야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2.9%에 해당하는 2,040만 톤으로 전년 대비 0.3% 감소했다. 토지‧임업(LULUCF) 분야에서의 온실가스 흡수량은 4,160만 톤으로 전년 대비 5.3% 감소했다. 폐기물 분야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2.4%에 해당하는 1,680만 톤으로 전년 대비 2.0% 증가했다.

 

온실가스 배출 효율성을 나타내는 배출집약도를 살펴보면, ‘국내총생산(GDP) 10억 원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년 대비 0.7% 감소한 456톤/10억 원으로, 1990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1인당 배출량’은 2013년 13.8톤/명을 기록하고 2014년 이후 2016년까지 소폭 감소했으나, 2017년 13.8톤/명으로 전년 대비 2.1% 증가했다. 1인당 배출량(톤/인) : 13.6(’14년) → 13.6(’15년) → 13.5(’16년) → 13.8(’17년)

 

홍동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은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가 둔화되었지만, 2017년 온실가스 배출량이 다소 증가하여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가 전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2017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자료는 10월 8일부터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누리집(www.gir.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환경뉴스

더보기
부산시,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각종 대회 운영에 자원봉사자들이 혼신의 힘 다해 노력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지난 10월 17일부터 시 전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제106회 전국체육대회」에서 각종 대회 운영에 자원봉사자들이 혼신의 힘을 다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자원봉사자들은 지난 9월 23일 개최된 전국(장애인)체전 사전경기를 시작으로 대회 운영지원에 참여하고 있으며, 오는 11월 5일에 마치는 전국장애인체전까지 활동할 예정이다. 이번 대회에는 총 4,247명의 자원봉사자가 참여하며, 부산 전역 110개 경기장에서 ▲경기 운영지원 ▲개폐회식 지원 ▲종합상황실 운영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중이다. 주요 활동 분야는 ▲경기 운영지원(경기장 안내, 질서유지, 주차동선 안내, 의료·방역 지원, 도핑검사 지원, 경기 운영지원) ▲개폐회식 지원(의전지원, 입장 안내 및 기념품 배부, 출연진 안내 및 연출시설 통제,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내부 질서유지, 경기장 동선 안내, 선수단 입퇴장 지원) ▲환영행사 지원(해외동포선수단 환영만찬 지원, 선수단 환영행사 지원) ▲종합상황실 운영(대회 종합상황 유지·관리 및 안내소 운영) ▲홍보지원(언론보도 지원, 홍보관 운영지원) 등이다. 자원봉사자들은 투철한 봉사 정신과 책임감을 바탕으로 경기장을 찾은 관

정책

더보기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