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7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송옥주 의원, 올해 발생 부유폐기물 11.4만 톤, 평년 발생량 2배

- 올해 발생 부유폐기물 114,029톤 중 104,754톤(92%) 수거 완료
- ‘10~‘19년간 연평균 발생 부유폐기물은 50,890톤 수준

[환경포커스=국회]  송옥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더불어민주당, 화성갑)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9월 24일까지 올 한 해에 발생한 부유폐기물은 11만 톤에 달했다. 최근 10년간 연평균 발생 부유폐기물 5만 9천 톤의 2배에 달하는 양이라고 한다.

올해 여름 장마철은 유난히 길고 많은 비를 내렸으며 기상청에 따르면, 중부지방 54일, 제주도 49일 등 최장기간 장맛비가 이어졌는데, 장마철 기간 전국 강수량은 686.9mm로 기상 관측이 시작된 1973년 이후 2번째로 많은 강수량이었다. 특히, 8월 초 일부 지역에 내린 폭우는 심각했다. 안성 일죽면과 춘천 남이섬에는 1시간 동안 강수량이 각각 104mm(8월 2일 기록), 116mm(8월 3일 기록)로 소위 ‘물폭탄’이 쏟아졌다. 여기에 5호 태풍 ‘장미’와 8호 태풍 ‘바비’까지 한반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때, 집중호우와 태풍으로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발생했는데, 하천이 범람하고 주거가 침수되는 과정에서 막대한 양의 부유 폐기물이 발생했다고 이어갔다.

 

송옥주 위원장(더불어민주당, 화성갑)이 환경부에게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9월 24일 기준, 올 한 해에 발생한 부유폐기물은 114,029톤으로 댐과 보에서는 총 69,696톤의 부유폐기물이 발생했으며 한강유역에 위치한 충주댐이 12,800톤으로 가장 많은 부유폐기물이 발생했고, 소양강댐이 11,200톤, 금강유역 대청댐이 10,816톤으로 많은 부유폐기물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하천과 하구에서는 총 44,333톤의 부유폐기물이 발생했는데, 전남 14,114톤, 경남 8,155톤, 세종충남 5,103톤 순으로 많은 부유폐기물이 발생했다고도 전했다.

 

11만 4천 톤에 달하는 부유폐기물량의 많고 적음은 연간 수거한 부유폐기물양과 비교하면 알 수 있으며 환경부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년간(2010년부터 2019년까지)연간 수거한 부유폐기물양 평균이 50,890톤인 것으로 확인됐다. 불과 9개월간의 부유폐기물 발생량이 평년 12개월간 발생한 부유폐기물양의 2배 수준에 달하는 것이다. 2017년의 경우, 한 해 동안 발생한 부유폐기물(4만 4천 톤)이 올해 9개월간 충주댐(12,800톤), 소양강댐(11,200톤), 대청댐(10,816톤), 임하댐(8,480톤) 4개 댐에서 발생한 부유폐기물 발생 규모(43,296톤)와 비슷해지는 것이라고 했다.

 

환경부는 이처럼 급격하게 늘어난 부유폐기물을 90% 이상 수거했다고 밝혔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댐과 보에서 62,392톤의 부유폐기물을 수거했고(90%), 하천과 하구에서는 42,362톤(96%)의 부유폐기물 수거를 마친 것으로 확인됐다.

 

송옥주 위원장은 “장마철 집중호우로 인해 많은 양의 부유 폐기물이 발생했다. 상수원 수질 악화 등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서는 부유폐기물 처리가 매우 중요하다”라고 하며, “잔여 부유 폐기물 처리를 비롯해 아직 마치지 못한 수해복구가 원활하게 매듭지어질 수 있도록 국회 환경노동위원장으로서 지원과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


환경뉴스

더보기
서울시, 공공시설 활용한 <더 아름다운 결혼식장> 61개소로 대폭 확충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가 예비부부가 결혼식을 하고싶을 정도로 좋은 곳이지만, 공공시설이라서 결혼식을 올리기 어려웠던 공간들을 시민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서울시 대표 '더 아름다운 결혼식장’으로 지원한다고 전했다. 서울시는 지난 6월 공공시설을 활용한 「더 아름다운 결혼식」 확대 지원 계획을 발표하고, 당초 25개소였던 서울시 공공예식장을 61개소로 대폭 늘려 7월부터 확대 시행하고 있다. ‘공공시설을 활용한 「더 아름다운 결혼식」 확대 지원’ 사업은 그동안 운영 성과를 토대로 인기가 높은 한옥뷰, 공원뷰, 정원뷰, 고풍스러운 분위기의 공간을 대폭 확대하고, 새로이 한강뷰, 남산뷰 등을 추가하여 매력적인 서울의 공공시설을 예식장으로 개방하고 결혼식을 종합 지원하는 사업이다. '23년부터 지금까지 총 239쌍('23년 29쌍, '24년 106쌍, '25년 상반기 104쌍)이 결혼식을 올렸고, 올 하반기에는 120쌍, 내년 예식도 272쌍이 예약을 마친 상태이다. 특히 7월 1일 신규 오픈한 곳은 99쌍이 예약한 상태이다. 인기 장소로는 실내웨딩홀 1호점 ‘피움서울’, 더힐스 남산 웨딩홀, 한강루프탑 순이다. 예비부부들의 ‘더 아름다운 결혼식장’을 찾는 가장

정책

더보기
김성환 환경부 장관, “세종보 상시개방은 개인 의견…철거 여부는 공론화 필요”
[환경포커스=세종]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8월 4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기자실에서 비공식 티타임 형식으로 간담회를 갖고, 4대강 재자연화, 국립공원 케이블카, NDC(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탈탄소 산업정책 등 주요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김 장관은 세종보 상시개방 논란에 대해 “환경부 장관으로서 상시개방이 바람직하다는 개인 의견을 밝힌 것”이라며, “철거 여부는 공론화를 거쳐 결정할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동시에 “세종보 농성 중인 시민과 약속한 것도 ‘상시개방’이며, 철거 결정은 내가 단독으로 할 수 없다고 충분히 설명했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4대강 재자연화 정책에 대해 “이는 대통령의 공약사항이고, 문재인 정부에서 약속했던 내용을 이행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금강과 영산강의 5개 보 현장을 모두 둘러본 상태”라고 설명했다. 문재인 정부 당시 세종보·공주보 철거, 백제보 상시개방 방침에 대해 “환경부 장관이 개방 여부도 말 못하면 뭘 말하라는 것이냐”며 직설적인 언급도 덧붙였다. 다만 철거 등 추가 조치는 “절차와 공론화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국무회의 중 산불 대응을 위한 임도(산불진화도로) 설치 발언과 관련해 “해당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집중호우로 큰 피해 입은 경기도 가평군 상면 봉수리 일대에바로봉사단 80여 명 파견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8월 1일 금요일, 지난 7월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경기도 가평군 상면 봉수리 일대에 80여 명 규모의 서울시 바로봉사단을 파견해 농작물 피해 복구를 위한 자원봉사 활동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이번 서울시 바로봉사단은 서울시자원봉사센터를 비롯하여, 외국인주민봉사단 21명(서울외국인주민센터 협조), 대한적십자사 서울지사 소속 구호 전문요원 37명 등 총 80여명으로 구성되었으며, 7.25.(금) 1차 충남 예산 수해지역 봉사단 파견(116명)에 이은 2차 파견이다. 외국인주민봉사단은서울외국인주민센터의 협조를 통해 총 9개국 21명(통역 인력 포함)의 서울 거주 외국인주민을 자원 받아 구성됐다.(베트남 5명, 우즈베키스탄 3명, 방글라데시 2명, 필리핀 2명, 독일·멕시코·미얀마·인도·중국 각 1명) 외국인주민봉사단은 1차 충남 예산 수해지역에도 25명 참여하였으며, 지난 4월 경북 산불 피해복구 봉사에도 70여 명이 참여한 바 있다. 봉사단은 경기 가평군 상면 봉수리 일대에서 침수 농경지 토사 제거 및 폐기물 정리 등에 힘을 쏟으며 무더운 날씨 속에서도 구슬땀을 흘렸다. 집중호우로 토사물이 덮인 농경지에서 삽으로 토사물을 마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