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6 (일)

  • 맑음동두천 3.5℃
  • 맑음강릉 7.2℃
  • 맑음서울 8.0℃
  • 맑음대전 5.5℃
  • 맑음대구 5.3℃
  • 맑음울산 9.0℃
  • 맑음광주 9.0℃
  • 맑음부산 12.0℃
  • 맑음고창 4.8℃
  • 맑음제주 12.3℃
  • 구름조금강화 5.1℃
  • 구름조금보은 2.5℃
  • 맑음금산 3.1℃
  • 맑음강진군 4.9℃
  • 맑음경주시 4.5℃
  • 맑음거제 8.9℃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올 한해 서울시에서 생산한 꿀은 2,365ℓ으로, 금액으로 환산하면 1억 5천만 원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청 서소문별관에서 201255통으로 시작한 도시양봉사업은 현재 60배가 넘는 285통 규모로 성장했다. 올 한해 서울시에서 생산한 꿀은 2,365으로, 금액으로 환산하면 15천만 원 상당이다.

 

공영 양봉장과 민간단체 어반비즈서울에서 관리하는 명동유네스코 회관 옥상을 비롯해 60배가 넘는 32개소 285통을 두고 있다.

 

양봉은 도심 생태계의 복원 척도가 된다. 꿀벌의 수가 증가할수록 꽃의 발화율도 증가하며 열매도 많이 맺을 수 있다. 그에 따라 곤충과 소형 새들이 도시로 다수 유입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도시의 생태계를 복원의 효과가 크다.

 

시는 도시양봉을 질 좋은 벌꿀을 안전하게 채취하고, 양봉문화가 확대될 수 있도록 관심 있는 시민을 대상으로 교육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교육내용은 어린이와 성인의 눈높이에 맞게 구성되어 있으며, 꿀벌의 생태, 꿀벌 관찰, 채밀, 벌꿀을 이용한 제품 만들기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시양봉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각 지역에서 수확된 꿀들로 니 트리를 조성하고 양봉 관련 교육자료와 양봉도구 등 전시 행사도 진행했다.

 

불과 6년 만에 60배로 성장한 서울의 도시양봉 발전과정과 성공사례 143개국의 농업인, 목축인 7천여 명이 모이는 제12회 세계슬로푸드페스티벌(Terra Madres Salone del Gusto)에 소개된다.


세계슬로푸드페스티벌(Terra Madre): 슬로푸드국제협회가 피에몬테주, 토리노시와 함께 주관하는 제12회 세계슬로푸드페스티벌로 세계 각지의 농업인, 목축인 등 143개국의 행사 관계자 7,000명과 전시인 900여명이 참가하여 먹거리 시장 및 토론회 등 다양한 컨퍼런스 프로그램 진행된다.


꿀벌 생태계 구축을 통해 친환경 도시를 만들어 나가는 활동을 하고 있는 소셜벤처기업인 어반비즈서울의 박진 대표가 발표자로 참석한다.

 

이번 페스티벌은 920()~24()까지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개최되며, ‘서울시의 도시양봉 사례는 도시양봉에 관한연구(City bees - A look at urban beekeeping)를 주제로 한 포럼(22)에서 소개된다.


미국, 일본, 인도네시아의 도시양봉가 및 연구원, 이탈리아 볼로냐 대학 등 각 나라의 도시양봉관련 활동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의 도시양봉 현황, 도시에서 생산된 다양한 꿀, 양봉산물을 활용한 다양한 사례 등을 소개한다.


양봉산물: , 로열젤리, 화분, 프로폴리스, 밀랍 등 꿀벌이 식물에서 꿀과 화분 등을 모아 생체에서 분비하는 물질.

 

시는 이번 포럼이 세계 도시들의 양봉 사례 공유, 꿀벌의 가치 인식으로 인한 도시환경 개선 등 도시양봉의 지속적인 확산과 발전을 위한 세계 도시 간 공유의 장이 되고, 서울의 도시양봉 방향 설정에 기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송임봉 서울시 도시농업과장은 천만인구의 대도시 서울에서 성장하는 도시양봉 사례를 전 세계에 공유하고, 도심 생태계 복원의 척도인 도시양봉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 밝혔다.

 


환경뉴스

더보기

정책

더보기
자연자본공시 이행기반 마련과 역량 제고를 위한 논의 본격화
[환경포커스=수도권] 기후에너지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유호)은 대한상공회의소와 함께 11월 10일 오후 2시부터 대한상공회의소(서울시 중구 소재)에서 국내 기업의 자연자본공시 확산과 역량 강화를 위한 ‘제1차 자연자본공시 지원연합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자연자본공시’는 기업이 자연과 관련된 위험과 기회를 평가 분석하여 투자자, 시민사회 등에 공개하는 제도다. 국제사회는 생물다양성 감소와 생태계서비스 손실이 경제와 금융 안정성은 물론 인류의 삶 전반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친다는 인식 아래 기업이 자연자본의 가치와 의존성을 명확히 파악하고 이를 투명하게 공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2021년 6월 설립된 ‘자연 관련 재무정보 공개협의체(TNFD)’는 국제사회의 자연자본공시 체계를 주도하고 있으며, 기후공시에 이어 자연자본공시가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공시 체계에 새로운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기업의 자연자본공시 확산과 참여 확대, 이해관계자 대상 전문성 강화, 국제사회와의 연대강화를 위해 지난 3월 한국 자연자본공시 지원연합을 결성했다. 국립생물자원관과 대한상공회의소가 공동으로 운영을 맡고 있으며, 현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겨울철 한파로 인한 수도계량기 동파 예방 위해 <수도계량기 동파대책> 본격 시행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겨울철 한파로 인한 수도계량기 동파 예방을 위해 11월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 ‘수도계량기 동파대책’을 본격 시행한다고 전했다. 지난 겨울, 동파 발생을 전년 대비 33% 줄인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는 ‘보온 강화’와 ‘시민 참여’ 두 축으로 이중 예방체계를 구축해 동파 피해 최소화에 나선다. 시는 지난 겨울 발생한 수도계량기 동파 2,046건 중 97%가 보온 미비나 장기 부재 가구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올해 △동파 취약지역 8,300곳의 계량기함 보온덮개 두께를 8mm로 두껍게 보강하고, △동파에 강한 디지털계량기 1만개를 확보하는 등 맞춤형 보온 대책을 강화할 계획이다. 올해부터 보온성능이 우수하나 분리배출이 불가한 발포형(PE) 보온덮개를 대체하기 위해 분리배출이 가능하며 가격 경쟁력이 높은 에어캡형(8mm) 보온덮개 8,300개를 시험 설치하여 보온성능을 검증할 예정이다. 디지털계량기는 계량기 지시부에 물이 차지 않아 일반 계량기에 비해 동파발생률이 낮은 계량기로 동파가 발생하였거나 취약지역에 설치할 계획이다. 특히 복도식 공동주택 등 수도계량기 동파 취약지역에는 수도계량기함 보온재와 보온덮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