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서울시, 식품안전 전문가가 직접 찾아가 식중독 예방법 알려주는 <감염제로 조리환경 컨설팅> 추진

3.27.(목)부터 서울시 누리집에서 ‘감염제로 조리환경 컨설팅’ 신청, 선착순 모집
식품안전관리 전문가 업소에 방문, 맞춤형 식중독 관리 방안 제시하는 무료 컨설팅
’24년 서울 154개 일반·휴게음식점, 집단급식시설 컨설팅…“감염병 관리 도움” 호응
서울시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위험요인 평가 해외저널 게재, 올해 컨설팅 활용

[환경포커스=서울] 최근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환자가 증가하는 가운데, 서울시는 식당, 급식소에 식품안전 전문가가 직접 찾아가 식중독 예방법을 알려주는 ‘감염제로 조리환경 컨설팅’을 본격 추진한다고 전했다.

 

올해 컨설팅에 참여를 원하는 업소는 3.27.(목) 10시부터 서울시 누리집(https://news.seoul.go.kr/welfare/), 또는 서울시 감염병관리지원포털(http://sidrec.go.kr)을 통해 QR이나 e-메일로 신청하면 된다.

 

'서울형 감염제로 조리환경 컨설팅’에 참여하는 음식점, 집단급식시설은 식품안전관리 전문가가 직접 방문해 업소 환경에 맞춰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등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의 관리 방안을 제시해 주는 무료 컨설팅을 받을 수 있다.

 

2024년 컨설팅에는 146개 일반·휴게음식점, 8개 급식시설 총 154개 업소가 참여했다. 서울시는 참여 업소에 위생장갑, 식중독 관리 체크리스트, 교육 홍보물 등을 제공하고,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종사자들이 감염병 관리 인식을 높이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지난해 컨설팅에 참여한 미슐랭 식당 ‘온지음’ 셰프는 “위생관리 항목을 점검하고, 식품매개 감염병 관리에 관한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어 도움이 됐다. 기회가 된다면 ’25년에도 참여하고 싶다.”고 밝혔다.

 

관악구 강원인재원 급식소의 영양사는 “컨설팅에서 제시된 타 업장의 우수사례가 유용했다. 위생관리뿐 아니라, 시설 관리 전반에 대한 전문가의 조언이 도움됐다.”고 전했다.

 

서초구 ‘최고의 한우 명우’ 대표는 “컨설팅 시간을 업장 사정에 맞게 맞출 수 있어 관리자와 직원이 함께 참여할 수 있었다. 식품안전 전반을 살펴보는 좋은 기회였다.”고 말했다.

 

올해 시는 ’24년 ‘서울시 음식점의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관리 현황’ 조사 결과를 반영해 컨설팅을 강화한다. 업소에 ‘조리종사자 건강관리 지침’을 보급하고, ‘바로 먹는 음식’(ready-to-eat food)의 맨손 취급 금지, 위생장갑 올바른 사용 교육과 홍보도 진행할 예정이다.

 

시는 400개 음식점 대상으로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위험요인 현황을 조사했으며, 조리종사자 건강관리 지침 보유율 등 주요 결과를 담은 ‘Assessing risk factors for foodborne illness in restaurants in Seoul’ 논문을 국제학술지 ‘One Health’(IF 4.1)에 발표했다.

 

김태희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서울시는 ‘감염제로 조리환경 컨설팅’을 통해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방지에 노력하겠다”며 “서울시 음식점, 급식시설 어디든 식품안전 전문가가 찾아가 맞춤형 무료 컨설팅을 해드릴 예정이니, 업소는 적극 신청하고 참여하시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서울시, 지하철 이용 중 불편한 점 24시간 내내 AI 챗봇 <또타24> 이용해 접수하세요
[환경포커스=서울] 서울교통공사는 서울 지하철 1~8호선 이용 중 불편한 점이 발생했을 때 별도로 고객센터에 연락하지 않고도 24시간 내내 간편하게 민원을 접수할 수 있는 창구인 AI 챗봇 ‘또타24’를 소개했다. 공사는 지하철 이용 시민들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지난해 1월부터 본격적으로 24시간 AI 기반 챗봇 민원 상담 서비스 ‘또타24’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작년 한 해만 43만 건이 넘는 민원을 챗봇으로 처리했다. 특히 냉‧난방 민원과 같은 간단한 민원의 경우, ‘또타24’를 활용하면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접수할 수 있어 많은 시민이 이용하고 있다. 챗봇 채팅창에 “더워요” 또는 “추워요”를 입력하면, 민원 접수 화면으로 이동한다. 이후 호선과 탑승 중인 열차의 칸 번호를 입력하는 간단한 절차만으로 민원이 자동 접수된다. 실제로 작년 한 해 공사에 접수된 전체 냉난방 민원의 38%에 달하는 36만 건의 냉‧난방 민원이 챗봇을 통해 접수됐다. 챗봇을 통해 민원이 처리되는 만큼 고객센터 직원들은 응급환자 발생‧소란자 발생 등 긴급한 민원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올해도 1월에서 5월까지 ‘또타24’는 126,747건의 민원을 처리했다. 이 중 냉‧난

정책

더보기

종합뉴스

더보기
부산시,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접근성 놉이기 위한 <저상버스 탑승 체험 및 실태조사> 하반기 활동 돌입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이용률과 접근성을 높이고자,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과 홍보단(서포터즈)이 함께 시민추진단을 구성해 저상버스에 직접 탑승하는 '저상버스 탑승 체험 및 실태조사' 상반기 활동을 마무리하고 하반기 활동에 돌입한다고 전했다. 시는 지난 3월 20일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 부산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 부산뇌병변복지관과 「2025년 저상버스 이용의 날(버스랑 배프 데이)」 운영사업 공동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시민추진단을 통해 ‘저상버스 탑승 체험 및 실태조사’를 하고 있다. 시민추진단은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총 65회에 걸쳐 부산 시내를 운행하는 저상버스를 타고 탑승 환경에 대한 실태 조사를 했으며, 하반기에는 100회 이상 저상버스 탑승 체험을 할 계획이다. 시민추진단은 휠체어 이용 장애인과 홍보단(서포터즈) 26명으로 구성되고, 4인이 한 조로 저상버스를 체험하며 운전기사와 승객들에게 교통약자의 이동권에 관한 관심을 유도한다. 조사 내용으로 ▲버스정류장 내 운행 시간표상 저상버스 운행 표시 여부 ▲버스정류장 앞 보도 연석 높이와 보도 폭 ▲휠체어 탑승 후 저상버스 출발 시간까지 걸리는 시간 ▲운전기사와 승객 태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