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년에 비한 적은 강우량, 강우시 영양염류 다량 유입, 일조량 증가에 따른 수온상승 등 조류 성장요건 형성-수질모니터링 강화, 정수처리 및 상류 오염원 지도?단속 강화한강유역환경청(청장 오종극)은 팔당호의 조류가 과다 번식함에 따라 8.19일자로 “조류주의보’를 발령한다고 밝혔다.최근 5년간 팔당호의 조류주의보 이상 발령은 ‘13년을 제외한 4번째이며,이번 발령은 지난 2주간 조류 농도 분석결과, 북한강 수계 삼봉지점에서 클로로필-a 및 남조류 세포수가 각각 29.4mg/㎥, 4,221cells/㎖, 팔당댐앞은 55.8mg/㎥, 27,860cells/㎖로 조류주의보 기준을 초과함에 따른 것이다.팔당호 조류경보제 운영결과지 점 명삼봉(북한강)팔당댐2(댐 앞)팔당댐3(월계사 앞)측정항목조사일조사일조사일8.10(월)8.17(월)8.10(월)8.17(월)8.10(월)8.17(월)클로로필-a(㎎/㎥)16.929.451.055.877.027.4남조류세포
전기혜택 못 받는 아시아지역에 1만개 태양광 전등 지원 달성!- 8월22일 광화문 중앙광장에서 다양한 태양광 체험부스 운영…누구나 참여가능- 태양광 에너지 공작실, 에너지 실험실, 햇빛영화관, 대형 순다르반 일러스트 만들기 등 환경재단(www.greenfund.org,대표 최열)은 오는 8월 22일 에너지의 날을 맞아 친환경 에너지인 태양광을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행사를 광화문 중앙광장에서 진행한다.이번 에너지의 날 행사는 전기혜택을 받지 못하고 사는 아시아지역에 태양광 전등을 보급하는 1만개 태양을 나누다 프로젝트 달성 기념보고도 겸해 더욱 눈길을 끈다.1만개 태양을 나누다 프로젝트는 2012년부터 시작해 네팔, 미얀마, 캄보디아, 방글라데시 등 다양한 아시아지역에 친환경 에너지인 태양광 전등을 보급함으로써 삶의 변화를 이끌었으며, 지난 6월 방글라데시 순다르
- 주영순의원, 과태료처분없이 고작 1개월 인증취소에 그쳐 -대형마트나 인터넷에서 판매중인 수도꼭지에서 발암물질과 중금속이 기준을 초과했지만, 제품의 리콜은 커녕 과태료 등과 같은 행정처분도 하지 않아 논란이 일고 있다.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주영순의원은 18일,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시판품의 위생안전기준 현황을 분석한 결과 38개의 시판품 중 6개 제품에서 최대 4.2배에 이르는 발암물질과 중금속이 검출되었다고 밝혔다.현재 수도법에 따라 수도시설 중 물에 접촉하는 수도용 자재나 제품을 제조 또는 수입하는 자는 위생안전기준 인증을 받아야만 판매가 가능하다. 인증제 도입이후 현재까지 1,622개 제품이 인증을 받았지만 시판품 조사는 겨우 2.3%인 38개 제품을 처음 조사했을 뿐이다.더 큰 문제는 시판품조사를 통해 발암물질과 중금속이
-한려해상국립공원 홍도의 수중은 나팔고둥, 둔한진총산호, 해송 등 5종의 멸종위기종이 서식하는 생태계의 보고-홍도주변 해역에 대한 해중특별보호구 지정 등 서식지 보호 예정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박보환)는 한려해상국립공원 홍도에서 멸종위기종 야생생물 Ⅰ급인 나팔고둥(Charonia saulidae)이 불가사리를 잡아먹는 영상을 국내 최초로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이 영상은 국립공원연구원 해양연구센터가 한려해상국립공원 홍도에서 지난 5월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조사’를 수행하던 중 수심 20m에서 길이 19cm, 폭 8cm 정도의 나팔고둥이 불가사리를 포식하는 순간을 촬영한 것이다.일반적으로 불가사리는 고둥과 조개종류를 먹이로 하는데 나팔고둥만은 오히려 불가사리를 먹이로 한다. 나팔고둥이 서식하는 자연생태계 현장에서 불가사리를 잡아 먹는 모습이 영상
-환경부 2014년도 지하수 중 자연방사성물질 조사결과를 보면101개 시·군·구 604곳 마을상수도 조사한 결과 우라늄 19곳, 라돈 95곳, 전알파 4곳 등이 미국의 먹는물 수질기준 또는 제안치 초과하였고 초과 검출지역에 대해 상수도 우선보급, 자연방사성물질 저감장치 설치, 대체 수원 개발 등 추진한다고 발표하였다.환경부(장관 윤성규)가 2014년부터 1월부터 12월까지 진행한 지하수 중 자연방사성물질 함유 실태를 조사한 결과, 전국 101개 시·군·구 내 지하수를 원수로 사용하는 마을 상수도 604곳 중 101곳에서 우라늄, 라돈, 전알파 등의 수치가 미국의 먹는물 수질기준 또는 제안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101곳의 마을상수도 중 미국의 우라늄 먹는물 수질기준 30g/L를 초과한 곳은 19곳(3.1%), 미국의 라돈 제안치 148Bq/L를 초과한 곳은 95곳(15.7%), 미국의 전알파 먹는물 수질기
-가축분뇨 오 · 폐수 배출시설 95곳 일제 단속 중간결과, 가축분뇨 폐기물 불법처리 및 오수 불법배출 등 19곳(20건) 적발(적발률 20%)했다. 지원금도 챙기고 불법 배출한 곳 단속일부 가축분뇨 자원화시설 업체가 퇴비·액비 등을 처리하는 개선사업 지원금을 받으면서도 뒤로는 몰래 관련 오폐수 및 폐기물을 하천, 농지 등에 불법으로 배출하다가 적발됐다.환경부(장관 윤성규)가 여름철을 맞아 7월 27일부터 31일까지 가축분뇨 오폐수 특별단속을 실시한 결과, 총 95개 업체 중 19개 업체(20건)를 적발(적발률 20%)했다. 환경부는 이중 5건은 검찰에 고발하고 상대적으로 경미한 15건은 과태료 등 행정처분을 의뢰했다.이번 특별단속은 국정과제인 ‘건강한 물 환경 조성 및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 물 공급 확대’와 함께 녹조의 생성에 영향을 주는 가축분뇨의 인 성분이 계곡, 하천
- 양양군, 케이블카 탑승률 2.03% 올려, 총수입 400억 원 부풀려- 총수입 400억 원 조차 너무 높아진 총수입 감추기 위해서 조작- 양양군, 총비용은 분석방법 제시하지 않아 검증 불가능 - 감사원, 경제성 조작 감사해야 심상정 정의당 국회의원 (환경노동위원회)은 양양군이 2015년도 7월 환경부에 제출한 “설악산 국립공원 오색삭도 설치사업 경제성 검증”(이하 ‘2015년 경제성 보고서’)을 분석한 결과 양양군이 ’2015년 경제성분석 보고서‘를 조작했음을 확인하였다. 양양군은 ‘케이블카 탑승객 추정방법 B’ 의 ‘탑승률’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이 제시한 6.65%보다 2.03% 높은 8.68%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총수입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이 추정한 3,908억원 보다 400억 원 많은 4,308억 원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총수입도 높은 탑승률 사용에 따른 높은 총수입을 감추
- 국내?외 수질검사 항목 250개의 물질 특성, 관리 현황 등을 수록한 「K-water가 알려주는 건강한 수돗물 수질항목 250」발간K-water(사장 최계운)는 수질 오염원 다변화와 먹는 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짐에 따라, 국내·외 수질검사 항목 250개의 물질 특성과 관리 현황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K-water가 알려주는 건강한 수돗물 수질항목 250」을 발간했다. K-water가 알려주는 건강한 수돗물 수질항목 250」은 수질검사 항목의 물질특성, 배출원, 관리현황, 인체 위해성 등을 물 관련 종사자뿐 아니라 일반인도 알기 쉽게 정리하여, 그동안 정보가 적어 확인하기 어려웠던 내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수질검사 항목에 대한 DB를 구축·공개하여 수질사고가 발생할 경우, 지자체 등 수도시설 운영기관이 신속·정확하게 대응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예를들
-수질개선 사회간접자본시설 하수도 사업에 총 559억원 편성-환경기초시설 조기완공,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 기대정부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수질개선을 동시에 달성하도록 하수도 사회간접자본시설 사업에 총 559억원(하수관거정비사업 486억원, 농어촌마을하수도정비사업 73억원)의 추경예산을 편성했다고 밝혔다.이번 추경예산은 연내 집행의 가능성을 고려해 편성했으며 추경예산 투입으로 환경기초시설의 조기 완공과 함께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도 기대된다.공공하수도 시설이 조기에 완공될 경우 수질이 개선되고 소외지역에 대한 하수도의 공급이 확대되는데 하수도 공사는 소규모 건설사업으로 진행되며 지방 중소 건설업체의 참여도(지역업체 하도급율 60~70%)가 높아 메르스 등으로 침체된 지역경제에 직접적인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부(장관 윤성규)가 환경영향평가제도의 실효성과 합리성을 높이기 위한 환경영향평가법 시행령과 시행규칙 개정안을 5일 입법예고한다.이번 환경영향평가법 하위법령 개정안은 사업자가 명의를 달리하거나 토지를 평가대상 규모 기준인 5,000㎡ 미만으로 분할하여 소규모환경영향평가를 피해가는 행위가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같은 사업자’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규정했다.예컨대, A법인이 2만 4,000㎡의 전원주택단지를 조성하면서 친·인척의 명의를 도용해 평가대상 규모 기준인 5,000㎡ 미만으로 나눠서 다른 사업자인 것처럼 꾸미면 환경영향평가를 받지 않고 개발행위를 할 수 있었다.대부분의 전원주택이 자연경관이 수려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심각하게 환경을 훼손하는 문제가 있음에도 법망을 교묘하게 빠져나갈 수 있는 법의 사각지대가 있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