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서울시, '26년까지 종량제폐기물 감축을 목표로 하는 450톤/일의 약 42% 달성

올해 1~8월 사업장폐기물 처리 강화, 봉제원단‧폐비닐 등 재활용으로 일 190톤↓
'26년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앞두고 감축 절실… 사업장폐기물 136톤/일 감축
재활용 가능자원 분리배출로 52톤↓… ‘제로웨이스트’ 올해 일회용컵 685만개 감량
시 “종량제폐기물 감축 위한 손에 잡히는 노력 필요한 시점… 적극적인 참여 당부”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올해 1~8월 ▴사업장폐기물 자체처리 강화(136톤/일) ▴봉제원단․커피박 등 재활용가능자원 분리배출 확대(52.2톤/일) 등을 통해 종량제폐기물 약 190톤/일을 감축했다고 전했다.

 

시는 서울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 3,052톤/일('22년 기준)의 약 30% 수준인 850톤/일을 매립해 왔으나 오는 '26년 ‘수도권지역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직면해 있어 종량제폐기물 감축이 절실한 상황이다.

 

직매립 금지를 앞두고 매립시설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폐기물의 안정적인 처리를 위해 지금까지 매립됐던 종량제폐기물은 소각한 다음 소각재 등 불연성폐기물만 매립할 수 있게 '21년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이 개정됐다.

 

시는 올해 1~8월 ‘사업장 폐기물 자체처리 강화’와 불연성폐기물 재활용 확대로 하루 총 136톤을 감축하는 성과를 거뒀다.

 

시․구 합동 점검을 통해 사업장을 추가 발굴, 그동안 공공 처리했던 폐기물을 자체 처리로 전환하면서 ‘종량제폐기물’ 91톤/일 감축했다.

 

하루 300kg 이상 폐기물을 배출하는 사업장은 자체 처리가 원칙이나 시는 야간 배출 특성상 종량제봉투 배출․공공 소각처리 등 관리 사각지대에 있었던 업장 332개를 올해 추가로 발굴했다.

 

또 도자기․판유리․타일 등 하루 67톤 매립되었던 불연성폐기물 중 약 45톤/일을 재활용업체 위탁처리로 전환, ‘불연성폐기물 재활용’도 확대했다.

 

불연성폐기물은 '23년 기준으로 하루 215톤이 배출돼 이 중 69%(148톤)는 재활용되고, 나머지 31%(67톤)은 매립됐다.

 

분리수거 대상 품목이지만 지난해 발생량 84톤/일 중 61%(52톤)가 종량제봉투에 배출되어 소각․매립된 ‘봉제원단’도 일일 소각․매립량(52톤/일)의 99%에 이르는 51톤/일을 재활용으로 전환했다.

 

이를 위해 지난 7월부터 서울 시내 4개 자원회수시설과 수도권매립지에서 ‘봉제원단 반입’을 금지, 자치구와 봉제원단폐기물 재활용 협약을 맺고 재활용을 확대해 왔다.

 

또 8월에는 중랑물재생센터 내 하루 250톤의 봉제원단폐기물 수용이 가능한 ‘공공집하장(면적 300㎡)’을 조성하는 등 재활용 기반을 마련해 처리 중으로 현재 참여 중인 광진․노원․마포구 등 3개 자치구에 이어 향후 다른 자치구로도 참여를 확대할 계획이다.

 

그간 재활용 가능하지만 수거체계가 없어 종량제봉투에 버려졌던 ‘커피박’ 재활용도 전년 대비 약 1.2톤/일 증가('24년 8월 기준)했다.

 

올해 중구․송파구 등 6개 자치구에 커피박 수거체계가 구축됐으며 참여매장도 전년('23년 2,798개소) 대비 34% 증가, 올해 8월 현재 3,754개소가 참여 중이다.

 

올해 7월부터 폐비닐을 다량 배출하는 상가를 대상으로 새롭게 시행한 ‘종량제봉투 내 폐비닐 분리배출 활성화’ 사업도 탄력을 받고 있다. 시는 자원화할 수 있지만 하루 406톤 가량 종량제봉투에 버려져 소각․매립('22년 기준)됐던 ‘폐비닐 재활용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 중이다.

 

시는 전 자치구 25만 개 상가에 폐비닐 전용봉투 750만 매(개소당 30매)를 배포하여 동참을 유도하고 있으며 상가가 밀집한 시장․번화가․역세권 등을 ‘폐비닐 중점관리구역’으로 정하고 배출 실태점검, 폐비닐 분리배출 요령안내 등 인식개선도 병행 중이다.

 

사업 초기임에도 불구하고 올해 8월 기준 ‘폐비닐 재활용량’은 전년 동기 대비 22톤('23년 279톤/일→'24년 301톤/일, 7.8%↑) 증가했으며, 올 연말까지 44톤/일 정도로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서울시는 '21년부터 카페, 식당 등에서 컵이나 배달용기 같은 일회용 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한 ‘제로웨이스트 서울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 1~8월 ‘개인 컵 사용의 날’ 캠페인(총 24회)을 비롯, 개인컵 사용 지원 사업 다각화(서울페이+일반결제+QR코드) 및 소상공인 카페․대학․공공기관․기업체 등에 다회용 컵 등 지원을 통해 개인컵 사용 문화를 확산하여 일회용 컵 약 685만 개를 감량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이 많은 장례식장, 야구장, 행사․축제 등에서도 다회용기 보급을 통해 일회용 용기 567만 개 사용을 줄였다.

 

지난해 서울의료원 장례식장에 다회용기 보급 이후 올해 동부병원, 보라매병원 등 다른 시립 병원으로 확대했으며, 지난 7월 상급 종합병원 최초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에서도 다회용기를 도입하는 등 참여를 통해 일회용 용기 328만 개를 감량했다.

 

배달용 다회용기 서비스 지역을 지난해 용산구 등 10개 자치구에서 올해 강서․영등포 등 15개 자치구로 확대하고, 뚝섬 한강공원 내 ‘배달 다회용기 반납함’을 설치 등을 통해 지난 9월까지 일회용 배달용기 22만 개를 감량하는 효과를 거두기도 했다.

 

잠실야구장 내 다회용기 사용이 가능한 식음료 매장 38개소 참여 와 전광판 표출, SNS 이벤트 등을 통해 일회용 용기 57만 개를 줄였으며 내년에는 고척스타디움에도 다회용기를 도입할 계획이다.

 

그밖에 한강공원, 대학 등 142개 축제․행사 시 푸드트럭에도 다회용기를 도입한 결과, 다회용기 160만 개가 사용됐고 올해 9월부터는 일 1천 명 이상 행사에서 일회용품 사용을 전면 금지하고 폐기물 감량계획 수립도 의무화하고 있다.

 

여장권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시행이 1년여 앞으로 다가온 만큼 종량제폐기물 감축을 위한 손에 잡히는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라며 “생활폐기물로 인한 피해로부터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으므로 종량제폐기물 감축을 위한 시민 여러분의 실질적인 실천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부산시,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각종 대회 운영에 자원봉사자들이 혼신의 힘 다해 노력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지난 10월 17일부터 시 전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제106회 전국체육대회」에서 각종 대회 운영에 자원봉사자들이 혼신의 힘을 다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자원봉사자들은 지난 9월 23일 개최된 전국(장애인)체전 사전경기를 시작으로 대회 운영지원에 참여하고 있으며, 오는 11월 5일에 마치는 전국장애인체전까지 활동할 예정이다. 이번 대회에는 총 4,247명의 자원봉사자가 참여하며, 부산 전역 110개 경기장에서 ▲경기 운영지원 ▲개폐회식 지원 ▲종합상황실 운영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중이다. 주요 활동 분야는 ▲경기 운영지원(경기장 안내, 질서유지, 주차동선 안내, 의료·방역 지원, 도핑검사 지원, 경기 운영지원) ▲개폐회식 지원(의전지원, 입장 안내 및 기념품 배부, 출연진 안내 및 연출시설 통제,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내부 질서유지, 경기장 동선 안내, 선수단 입퇴장 지원) ▲환영행사 지원(해외동포선수단 환영만찬 지원, 선수단 환영행사 지원) ▲종합상황실 운영(대회 종합상황 유지·관리 및 안내소 운영) ▲홍보지원(언론보도 지원, 홍보관 운영지원) 등이다. 자원봉사자들은 투철한 봉사 정신과 책임감을 바탕으로 경기장을 찾은 관

정책

더보기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