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5 (토)

  • 맑음동두천 2.7℃
  • 맑음강릉 7.1℃
  • 맑음서울 6.8℃
  • 맑음대전 5.6℃
  • 맑음대구 6.2℃
  • 맑음울산 9.0℃
  • 구름조금광주 8.3℃
  • 맑음부산 11.1℃
  • 흐림고창 4.6℃
  • 맑음제주 11.0℃
  • 맑음강화 3.1℃
  • 맑음보은 2.0℃
  • 구름조금금산 3.0℃
  • 구름조금강진군 9.7℃
  • 맑음경주시 4.7℃
  • 맑음거제 9.2℃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상하수도

서울시, 한국환경산업기술원으로부터 6개 정수센터에서 생산한 수돗물 아리수에 대해 환경성적표지 취득

서울시, 6개 정수센터에서 생산한 아리수에 대해 ‘환경성적표지’ 인증 취득
아리수의 탄소배출량은 먹는샘물보다 639배, 정수기보다 393배 낮아
국내 최초로 수돗물 취수부터 정수처리 및 각 가정에 공급되는 전체 과정에 대해 적용
시, “환경친화적인 아리수의 우수성을 알리고 수돗물 먹는 문화 확산할 것”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지난달 26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으로부터 6개 정수센터에서 생산한 수돗물 아리수에 대해 환경성적표지를 취득했다고 전했다.

 

아리수 1m3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은 6개 정수센터 평균 0.240kgCO2/m3로, 이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먹는샘물보다 639배(153kgCO2/m3), 정수기보다 393배(94.2kgCO2/m3)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플라스틱병을 주로 사용하는 먹는 샘물은 제조 및 운송, 폐기 과정에서 탄소 배출량이 많이 발생하고, 정수기는 제조 및 폐기뿐 아니라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수돗물에 비해 탄소 배출량이 많다.

 

6개 정수센터 각각의 탄소 배출량 심사 결과는 광암 0.182kgCO2/m3, 암사 0.268kgCO2/m3, 구의 0.236kgCO2/m3, 뚝도 0.268kgCO2/m3, 영등포 0.249kgCO2/m3, 강북 0.235kgCO2/m3이다.

 

강북아리수정수센터의 신규 인증값은 0.235kgCO2/m3로 2011년 인증 결과인 0.169kgCO2/m3과 비교해 0.066kgCO2/m3 높다.

 

2011년 인증값에 비해 2024년 인증값이 높은 이유는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으로 인한 영향과 2011년과 달리 배수지 이후 수도꼭지까지 전 과정에 대한 전력 사용량을 포함했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이번 환경성적표지 인증은 정수센터에서 수돗물을 생산해 각 가정에 수돗물이 공급되기까지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포함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아리수 1m3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원발자국은 6개 정수센터 평균 0.00152kgSb/m3으로, 먹는 샘물보다 4473배(6.80kgSb/m3) 낮았고, 물발자국은 0.592m3H2O/m3으로 먹는 샘물보다 8배(5.05m3H2O/m3) 낮아 탄소 배출량뿐 아니라 다른 환경영향 범주에서도 수돗물의 환경적 우수성이 입증됐다고 밝혔다.

 

자원발자국은 광물 및 화석연료 등 개발 및 소비로 인한 전 지구적 영향, 물발자국은 인간 활동이 수질, 수량 등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이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 2011년 강북아리수정수센터에서 생산한 아리수에 대해 탄소성적표지 인증을 취득한 바 있다. 이번 환경성적표지 인증은 6개 정수센터 전체로 확대했으며 고도정수처리 도입 등으로 인한 수돗물 생산 공정 변화를 반영해 최신 인증을 추진했다.

 

환경성적표지는 환경부가 환경성 제고를 위해 제품 및 서비스의 원료채취, 생산, 수송유통, 사용, 폐기 등 전 과정에 대한 환경성 정보를 계량적으로 표시하는 제도이다. 환경성적표지는 탄소발자국, 물발자국, 오존층영향, 산성비, 부영양화, 광화학스모그, 자원발자국 7가지 영향범주로 정확히 산정해 부여한다.

 

환경부는 ’01년 2월부터 환경성적표지 제도를 시행했으며, ’09년 2월 환경성적표지 제도에 근거한 탄소성적표지 제도를 도입하고, ’16년 7월부터 환경성적탄소성적표지를 환경성적표지로 통합시행 중이다.

 

환경성적표지 인증제품은 기업이 자발적으로 제품의 환경성 정보를 공개한 환경 신뢰성이 우수한 제품이며 소비자들이 환경친화적인 제품을 선택하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이회승 서울아리수본부장은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통해 아리수를 먹는 물로 이용하는 것이 환경에 이롭다는 것이 공식적으로 확인되었다”라면서 “아리수의 환경적 가치를 많은 시민이 공감하고, 일상 속에서 아리수를 먹는 물로 적극 이용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정책

더보기
자연자본공시 이행기반 마련과 역량 제고를 위한 논의 본격화
[환경포커스=수도권] 기후에너지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유호)은 대한상공회의소와 함께 11월 10일 오후 2시부터 대한상공회의소(서울시 중구 소재)에서 국내 기업의 자연자본공시 확산과 역량 강화를 위한 ‘제1차 자연자본공시 지원연합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자연자본공시’는 기업이 자연과 관련된 위험과 기회를 평가 분석하여 투자자, 시민사회 등에 공개하는 제도다. 국제사회는 생물다양성 감소와 생태계서비스 손실이 경제와 금융 안정성은 물론 인류의 삶 전반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친다는 인식 아래 기업이 자연자본의 가치와 의존성을 명확히 파악하고 이를 투명하게 공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2021년 6월 설립된 ‘자연 관련 재무정보 공개협의체(TNFD)’는 국제사회의 자연자본공시 체계를 주도하고 있으며, 기후공시에 이어 자연자본공시가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공시 체계에 새로운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기업의 자연자본공시 확산과 참여 확대, 이해관계자 대상 전문성 강화, 국제사회와의 연대강화를 위해 지난 3월 한국 자연자본공시 지원연합을 결성했다. 국립생물자원관과 대한상공회의소가 공동으로 운영을 맡고 있으며, 현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겨울철 한파로 인한 수도계량기 동파 예방 위해 <수도계량기 동파대책> 본격 시행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겨울철 한파로 인한 수도계량기 동파 예방을 위해 11월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 ‘수도계량기 동파대책’을 본격 시행한다고 전했다. 지난 겨울, 동파 발생을 전년 대비 33% 줄인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는 ‘보온 강화’와 ‘시민 참여’ 두 축으로 이중 예방체계를 구축해 동파 피해 최소화에 나선다. 시는 지난 겨울 발생한 수도계량기 동파 2,046건 중 97%가 보온 미비나 장기 부재 가구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올해 △동파 취약지역 8,300곳의 계량기함 보온덮개 두께를 8mm로 두껍게 보강하고, △동파에 강한 디지털계량기 1만개를 확보하는 등 맞춤형 보온 대책을 강화할 계획이다. 올해부터 보온성능이 우수하나 분리배출이 불가한 발포형(PE) 보온덮개를 대체하기 위해 분리배출이 가능하며 가격 경쟁력이 높은 에어캡형(8mm) 보온덮개 8,300개를 시험 설치하여 보온성능을 검증할 예정이다. 디지털계량기는 계량기 지시부에 물이 차지 않아 일반 계량기에 비해 동파발생률이 낮은 계량기로 동파가 발생하였거나 취약지역에 설치할 계획이다. 특히 복도식 공동주택 등 수도계량기 동파 취약지역에는 수도계량기함 보온재와 보온덮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