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포커스=국회] <국정감사>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설 훈의원은 18일 열린 환경부 종합국감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초기 대응에 실패한 것 아닌가?"라고 질의했다.
이어 “철원 연천 등 집돼지는 농식품부 이지만 멧돼지는 환경부 소관인데 초기 대응이 안 되어 사태를 키운 것 이라고 생각한다”하면서 “초기에 농리부 국방부 등 멧돼지가 넘어와 전파가 안된다고 하며 안일하게 한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 작년에 멧돼지 폐사체가 4건 인데 금년 6월에 급격이 늘어났다”고 덧붙였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야생멧돼지를 담당하는 것은 사실이고 당시 파주 근처에서 멧돼지 흔적을 발견하지 못해서 없었다고 말 한 것인데 보도는 환경부가 멧돼지가 매개체가 아니라고 말한 것으로 되고 있다”고 답했다.
설 훈 의원은 “북한에서 내려오기에 막는 방법은 적극적인 자세로 논의를 해야 가능하지 않는가”라고 하며 “유럽의 경우는 잔반에서 문제가 있다고 생각 잔반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고 이어가면 “본 의원도 법안을 발의한 상태이니 법안을 환경부가 적극적으로 자세로 임해야 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환경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과 관련해 멧돼지 관련 여러 가지 방역과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이미 발생한 북한의 바이러스가 접경지역을 통해 유입될 가능성에 대비해 민통선 내 하천과 토양에 대한 조사를 실시 중에 있으며, 현재 3차 조사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1차 조사는 임진강, 한탄강 본류 및 한강하구(하천 20개), 2차 조사는 추가적으로 경기서북부 민통선 내의 북한에서 유입되는 지천(하천 34, 토양 41)을 조사하였고, 3차 조사(10.17~10.22)는 남방한계선 철책 전체를 대상으로 남한으로 유입되는 소하천과 임진강, 한탄강, 한강 하구 등의 하천수와 토양 등 전체적인 조사를 수행 중에 있다고 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검출된 양돈농가 및 멧돼지 폐사체 발견지점 등 감염 우려지역에 대한 멧돼지 서식, 분변, 토양, 하천, 소형동물, 곤충류 등에 전파원인 분석을 위해 다양한 조사도 이루어지고 있다고도 했다.
한편 국립환경과학원, 농림축산검역본부, 국립생물자원관 및 민간전문가가 참여하는 역학조사반을 통해 바이러스의 감염 및 전파요인을 조사하고 바이러스가 검출된 폐사체 발견지역(감염지역)에 대한 토양오염 등의 존속 여부를 정기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라고도 했다.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표준매뉴얼 상 폐사체 발견지점과 매몰지에 대해 철저히 소독 조치토록만 되어있으나, 과학원에서는 감염지역 토양과 매몰지 주변 오염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