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9 (토)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자원/생태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 백두대간 생태체험 참가자 신청

청소년·청년 대상으로 생태체험 과정은 당일형과 1박2일형 등 2가지 유형으로 다양한 체험형 과정 운영

[환경포커스=수도권]  청소년 및 청년을 대상으로 백두대간의 의미와 가치를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 ‘국립공원 백두대간 생태체험(이하 생태체험)’ 과정 참가자를 8월 4일부터 모집한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생태체험 과정은 태백산국립공원(8월 6일)을 시작으로 8개 국립공원에서 설악산(2회), 오대산(3회), 태백산(3회), 월악산(3회), 속리산(3회), 덕유산(2회), 지리산(5회), 소백산(2회) 등 23회에 걸쳐 운영되며, 참가비는 전액 무료이고, 참가인원은 체험과정별 20명씩 총 460명이 참가할 수 있다.

 

생태체험 과정은 당일형과 1박2일형 등 2가지 유형으로 준비되었다.  당일형은 국립공원의 시기별 자연생태 특징과 대표적인 자연자원을 고려하여 다양한 체험 중심으로 운영되며, 속리산국립공원 등 5곳의 국립공원 사무소에서 3회씩 운영한다.

< 국립공원 백두대간 생태체험 과정 안내 당일형 >

 

운영사무소

운영일자

생태체험 주요내용

태백산

86,

13, 20

백두대간 식생 및 지질 이야기

한강의 발원지 검룡소 체험

지리산

823,

25, 26

자연의 소리 듣기, 곤충체험

백두대간 생태전시관 견학

오대산

826,

921, 28

진고개 생태통로 탐사

발왕산 자연체험 및 전망대 견학

월악산

914,

21, 28

하늘재 고갯길 걷기

산양 이야기 및 기념품 만들기 체험

속리산

917, 24

101

세조길 생태체험

보현재 훼손지 복원현장

 

1박 2일형은 국립공원 대피소 또는 덕유산: 향적봉 대피소(전북 무주), 지리산: 지리산생태탐방원(전남 구례),소백산: 소백산생태탐방원(경북 영주), 설악산: 설악산생태탐방원(강원 인제) 등 생태탐방원에서 1박 2일간 머물면서 백두대간을 오롯이 느낄 수 있는 과정으로 덕유산국립공원 등 4곳에서 2회씩 운영한다.

 

< 국립공원 백두대간 생태체험 과정 안내 12일형 >

 

운영사무소

운영일자

생태체험 주요내용

덕유산

81516,

912

향적봉과 중봉의 생태 이야기

별자리 관측체험 별이 빛나는 밤에

지리산

82930,

101415

노고단 야생화 탐사 생태체험

야생 반달가슴곰 체험

소백산

956,

78

연화봉 ~ 비로봉 걷기

여우 생태학습장 견학

설악산

1089,

2930

생태지도 만들기

산양 생태학습장 견학

밤빛 나들이

 

 

생태체험 과정에 참가를 희망하는 경우에는 해당 국립공원 사무소에 전화로 신청하여 참가할 수 있으며, 상세한 일정과 참여 방법은 8월 4일부터 국립공원공단 누리집(www.knps.or.kr)의 공지사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정정권 국립공원공단 탐방복지처장은 “이번 국립공원 백두대간 생태체험은 우리나라 자연생태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백두대간의 의미와 가치를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의미 있는 과정이다”라며, “온전히 보전된 백두대간을 즐겁게 탐방할 수 있도록 내실 있게 준비하겠다”라고 말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서울시, 지하철 이용 중 불편한 점 24시간 내내 AI 챗봇 <또타24> 이용해 접수하세요
[환경포커스=서울] 서울교통공사는 서울 지하철 1~8호선 이용 중 불편한 점이 발생했을 때 별도로 고객센터에 연락하지 않고도 24시간 내내 간편하게 민원을 접수할 수 있는 창구인 AI 챗봇 ‘또타24’를 소개했다. 공사는 지하철 이용 시민들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지난해 1월부터 본격적으로 24시간 AI 기반 챗봇 민원 상담 서비스 ‘또타24’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작년 한 해만 43만 건이 넘는 민원을 챗봇으로 처리했다. 특히 냉‧난방 민원과 같은 간단한 민원의 경우, ‘또타24’를 활용하면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접수할 수 있어 많은 시민이 이용하고 있다. 챗봇 채팅창에 “더워요” 또는 “추워요”를 입력하면, 민원 접수 화면으로 이동한다. 이후 호선과 탑승 중인 열차의 칸 번호를 입력하는 간단한 절차만으로 민원이 자동 접수된다. 실제로 작년 한 해 공사에 접수된 전체 냉난방 민원의 38%에 달하는 36만 건의 냉‧난방 민원이 챗봇을 통해 접수됐다. 챗봇을 통해 민원이 처리되는 만큼 고객센터 직원들은 응급환자 발생‧소란자 발생 등 긴급한 민원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올해도 1월에서 5월까지 ‘또타24’는 126,747건의 민원을 처리했다. 이 중 냉‧난

정책

더보기

종합뉴스

더보기
부산시,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접근성 놉이기 위한 <저상버스 탑승 체험 및 실태조사> 하반기 활동 돌입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이용률과 접근성을 높이고자,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과 홍보단(서포터즈)이 함께 시민추진단을 구성해 저상버스에 직접 탑승하는 '저상버스 탑승 체험 및 실태조사' 상반기 활동을 마무리하고 하반기 활동에 돌입한다고 전했다. 시는 지난 3월 20일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 부산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 부산뇌병변복지관과 「2025년 저상버스 이용의 날(버스랑 배프 데이)」 운영사업 공동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시민추진단을 통해 ‘저상버스 탑승 체험 및 실태조사’를 하고 있다. 시민추진단은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총 65회에 걸쳐 부산 시내를 운행하는 저상버스를 타고 탑승 환경에 대한 실태 조사를 했으며, 하반기에는 100회 이상 저상버스 탑승 체험을 할 계획이다. 시민추진단은 휠체어 이용 장애인과 홍보단(서포터즈) 26명으로 구성되고, 4인이 한 조로 저상버스를 체험하며 운전기사와 승객들에게 교통약자의 이동권에 관한 관심을 유도한다. 조사 내용으로 ▲버스정류장 내 운행 시간표상 저상버스 운행 표시 여부 ▲버스정류장 앞 보도 연석 높이와 보도 폭 ▲휠체어 탑승 후 저상버스 출발 시간까지 걸리는 시간 ▲운전기사와 승객 태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