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맑음동두천 0.0℃
  • 맑음강릉 5.8℃
  • 맑음서울 2.4℃
  • 맑음대전 2.8℃
  • 구름많음대구 6.1℃
  • 구름많음울산 7.6℃
  • 구름많음광주 6.4℃
  • 구름많음부산 8.7℃
  • 흐림고창 6.3℃
  • 흐림제주 10.4℃
  • 맑음강화 1.0℃
  • 맑음보은 1.8℃
  • 구름조금금산 3.0℃
  • 흐림강진군 7.0℃
  • 흐림경주시 7.1℃
  • 구름많음거제 9.4℃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병원 무리한 비급여 청구,10명 중 3명 과다징수

[국정감사=국회]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후에 내가 낸 급여진료비 중 전액본인부담금, 비급여 진료비가 생각보다 과도하게 청구되었다고 생각됐을 때, 국민건강보험법48조에 명시된 권리에 따라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에 진료비 확인신청제도를 이용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장정숙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이하 심평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진료비확인 청구에 의한 환불건율을 분석한 결과, 병원의 무리한 비급여 청구로, 환자 10명 중 3명에게 과다징수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1) 병원의 무리한 비급여 청구, 환자 10명 중 3명에게 과다징수

 

진료비확인서비스 전체 처리 건수 대비 환불 결정 건수의 비율 (이하 환불건율)은 최근 5년간 평균 34.4%를 기록해 신청자 10명 중 3명 이상이 환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1 참조]

 

[1] 최근 5년간 진료비확인 청구에 의한 환불건율

(단위: , 천원, %)

연도별

요양기관 종별

처리 현황

신청처리건수

환불건수

환불건율

환불금액

소계

133,402

45,892

34.4%

12,902,941

총계

 

(2013

~

2018.8)

상급종합병원

37,591

13,819

36.7%

4,645,681

종합병원

34,858

12,357

35.4%

3,073,934

병원

36,399

11,271

30.9%

2,828,383

의원

24,413

8,221

33.6%

2,354,746

기타

141

11

7.8%

197

(출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장정숙 의원실 재구성)

 

(2) 진료비 확인신청 지난 5년간 13만건! 확인된 환불금액만 129억 원 넘어!

 

진료비 확인신청 건수는 133,402, 환불금액은 약 129억원으로 나타남. 특히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환불금액비율은 36%, 23.8%로 종합병원 이상에서 59.8%를 차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2 참조]

 

[2]최근 5년간 진료비확인 요양기관 종별 처리 현황

(단위: , 천원, %)

연도별

요양기관 종별

처리 현황

신청처리건수

정당 및 취하

기타

환불건수

환불금액

금액 비율

총계

 

(2013

~

2018.8)

상급종합

37,591

19,958

3,811

13,822

(36.7%)

4,645,681

36.0

종합

34,858

19,083

3,421

12,354

(35.4%)

3,073,934

23.8

병원

36,399

22,375

2,691

11,333

(30.9%

2,828,383

21.9

의원

24,413

13,470

2,571

8,372

(33.6%)

2,354,746

18.2

기타

141

50

80

11

197

0.0

소계

133,402

74,936

12,574

45,892

(34.4%)

12,902,941

100.0

 

(출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장정숙 의원실 재구성)

 

(3) 상급종합병원의 환불건율 최근 5년간 평균 36.7%로 종별의료기관 중에 최고! 분석한 결과, 환불건율 62.5%을 기록한 병원도 있어!

 

43개 상급종합병원의 전체 평균 환불건율은 36.7%. 최저 환불건율은 17.8% 최대 환불건율은 63.0%로 나타났으며 최근 5년간 환불건율이 높은 상위 5개 기관은 52.1%~63.0%의 결과를 보여 43개 상급종합병원 전체 평균 환불건율 36.7%에 대비하여 약 1.4 ~ 1.7배 정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한다.[3 참조]

 

[3] 2017년 상급종합병원 환불건율 상위 5개 기관 현황

기관명

환불건율

A기관

63.0

B기관

56.8

C기관

54.7

D기관

54.1

E기관

52.1

(출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장정숙 의원실 재구성)

 

 

(4) 환불 유형 살펴보니 대부분이 무리한 과다징수

 

심평원은 2013년부터 환불 유형별로 관리하고 있고 최근 5년간 환불유영별 현황에 따르면 과다하게 산정하고 있는 항목이 전체 환불금액 중 96.7%를 차지하며. 또한, 비급여 항목이 89.4%를 차지하는 등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4 참조]

 

[4] 최근 5년간 환불유형별 현황

연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8

합계

비율

환불유형

급여대상진료비

비급여처리

1,118,499

1,253,458

1,235,094

1,034,867

979,612

637,133

6,258,663

49.9%

별도산정불가항목 비급여 처리

1,217,773

758,931

609,042

606,598

519,407

461,426

4,173,177

32.2%

선택진료비 과다징수

204,798

133,222

81,930

75,609

53,940

25,998

575,497

4%

상급병실료 과다징수

50,428

89,375

98,661

70,004

52,562

50,196

411,226

3.3%

신의료기술 등 임의비급여

399,865

341,673

112,915

147,271

41,251

39,268

1,082,243

7.3%

제출된 관련자료에 의한 정산처리

51,428

81,555

41,042

16,239

45,981

29,873

266,118

2%

기타(청구착오,계산착오)

11,569

56,395

17,871

8,095

33,556

8,531

136,017

1%

3,054,359

2,714,608

2,196,556

1,958,683

1,726,310

1,252,424

12,902,940

100%

(출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장정숙 의원실 재구성)

 

장정숙 의원은 심평원의


환경뉴스

더보기

정책

더보기
자연자본공시 이행기반 마련과 역량 제고를 위한 논의 본격화
[환경포커스=수도권] 기후에너지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유호)은 대한상공회의소와 함께 11월 10일 오후 2시부터 대한상공회의소(서울시 중구 소재)에서 국내 기업의 자연자본공시 확산과 역량 강화를 위한 ‘제1차 자연자본공시 지원연합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자연자본공시’는 기업이 자연과 관련된 위험과 기회를 평가 분석하여 투자자, 시민사회 등에 공개하는 제도다. 국제사회는 생물다양성 감소와 생태계서비스 손실이 경제와 금융 안정성은 물론 인류의 삶 전반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친다는 인식 아래 기업이 자연자본의 가치와 의존성을 명확히 파악하고 이를 투명하게 공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2021년 6월 설립된 ‘자연 관련 재무정보 공개협의체(TNFD)’는 국제사회의 자연자본공시 체계를 주도하고 있으며, 기후공시에 이어 자연자본공시가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공시 체계에 새로운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기업의 자연자본공시 확산과 참여 확대, 이해관계자 대상 전문성 강화, 국제사회와의 연대강화를 위해 지난 3월 한국 자연자본공시 지원연합을 결성했다. 국립생물자원관과 대한상공회의소가 공동으로 운영을 맡고 있으며, 현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겨울철 한파로 인한 수도계량기 동파 예방 위해 <수도계량기 동파대책> 본격 시행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겨울철 한파로 인한 수도계량기 동파 예방을 위해 11월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 ‘수도계량기 동파대책’을 본격 시행한다고 전했다. 지난 겨울, 동파 발생을 전년 대비 33% 줄인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는 ‘보온 강화’와 ‘시민 참여’ 두 축으로 이중 예방체계를 구축해 동파 피해 최소화에 나선다. 시는 지난 겨울 발생한 수도계량기 동파 2,046건 중 97%가 보온 미비나 장기 부재 가구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올해 △동파 취약지역 8,300곳의 계량기함 보온덮개 두께를 8mm로 두껍게 보강하고, △동파에 강한 디지털계량기 1만개를 확보하는 등 맞춤형 보온 대책을 강화할 계획이다. 올해부터 보온성능이 우수하나 분리배출이 불가한 발포형(PE) 보온덮개를 대체하기 위해 분리배출이 가능하며 가격 경쟁력이 높은 에어캡형(8mm) 보온덮개 8,300개를 시험 설치하여 보온성능을 검증할 예정이다. 디지털계량기는 계량기 지시부에 물이 차지 않아 일반 계량기에 비해 동파발생률이 낮은 계량기로 동파가 발생하였거나 취약지역에 설치할 계획이다. 특히 복도식 공동주택 등 수도계량기 동파 취약지역에는 수도계량기함 보온재와 보온덮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