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8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노후 석탄발전소 가동중단 초미세먼지 저감효과

[환경포커스=세종]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올해 3~6월 가동을 중단했던 전국 5기 노후 석탄발전소(충남 2기, 경남 2기, 강원 1기)의 대기질 영향을 분석한 결과, 충남지역에서 초미세먼지(PM2.5) 농도 개선 효과가 컸다고 발표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이 충남(27곳)에서 초미세먼지 농도를 실측한 결과, 이번 가동 중단기간의 충남지역 초미세먼지 농도가 2015년과 2016년 3~6월 평균치 비해 24.1%인 7㎍/㎥가 감소(29 → 22㎍/㎥)한 것으로 나타났다.

 

석탄발전소 가동 중단에 따른 초미세먼지 농도 저감효과는 충남지역 최대 영향지점인 보령에서 6.2%인 1.4㎍/㎥(22.5 → 21.1㎍/㎥)으로 감소했다.

 

이 지역의 단기간 가동중단에 따른 초미세먼지의 감소 효과는 일 최대 18.7%(7.1㎍/㎥), 시간 최대 15.7%(25.7㎍/㎥) 감소로 나타났다.

 

< 배출량 저감 >

 

노후석탄 화력발전소 가동 중단으로 저감된 초미세먼지는 충남 487톤, 경남 474톤, 강원 94톤으로, 총 1,055톤의 초미세먼지가 줄었다.

 

또한, 2016년 발전량당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온실가스 5,315톤이 저감된 것으로 분석됐다.

 

배출량 저감으로 인한 사회적비용 감소 효과는 초미세먼지 2,922억 원*, 온실가스 2,232억 원** 등 총 5,154억 원으로 추정된다.

 

< 노후석탄화력 가동중단(`18.3~6월)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 저감량 >

 

(단위 : 톤, 천톤/CO2e)

 

 

PM2.51)

(1+2)

 

 

 

온실가스

총먼지(TSP)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합 계

1,055

109

1,909

4,089

5,315

충남/보령2

487

37

967

1,615

2,414

경남/삼천포2

474

61

846

1,793

2,474

강원/영동1

94

11

96

681

427

1) 총먼지 66%, 황산화물 34.5%, 질소산화물 7.9%가 초미세먼지(PM2.5)로 전환

 

배출량 저감량은 가동 중지된 5기 노후 석탄발전소(충남 보령 1‧2호기, 경남 삼천포1‧2호기, 강원 영동 2호기)의 국가 배출량 자료와 실시간 굴뚝원격감시시스템(TMS)의 측정 자료를 활용하여 산정됐다.

 

직접 배출되는 초미세먼지와 2차 생성 초미세먼지를 유발하는 생성물질(황산화물, 질소산화물)을 동시에 분석했다.

 

< 농도 측정결과 >

 

대기 농도는 충남, 경남, 강원 지역 56개 지점*에서 실측된 결과, 초미세먼지 농도가 2015년, 2016년 3~6월 평균 대비 충남 7㎍/m3(29 → 22㎍/m3), 경남 5㎍/m3(27 → 22㎍/m3), 강원 4㎍/m3(29 → 25㎍/m3) 감소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올해 3~6월의 경우, 전년대비 강수일수, 강수량이 급증하여 초미세먼지 농도의 개선에 유리한 기상여건 형성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미세먼지로 하늘이 없다<자료사진 =환경포커스>

 

< 모델링 결과 >

 

모델링 결과, 노후발전소 가동중단에 따른 충남 최대영향지점(보령)의 초미세먼지 평균농도의 개선효과는 1.4㎍/㎥(6.2%↓)이었다.

 

단기간의 효과는 평균농도 개선효과 보다 큰 시간최대 25.7㎍/㎥(15.7%↓), 일 최대 7.1㎍/㎥(18.7%↓) 감소로 분석되었다.

 

경남지역 농도는 최대영향지점(고성군 등)에서 평균 0.3㎍/㎥(1.6%↓), 일 최대 1.7㎍/㎥(10.3%↓), 시간 최대 4.7㎍/㎥(11.1%↓) 감소했으며, 강원지역은 최대영향지점(강릉)에서 평균 0.2㎍/㎥(1.1%↓), 일 최대 2.3㎍/㎥(4.2%↓), 시간 최대 7.1㎍/㎥(10.2%↓) 감소효과가 있었다.

 

< 가동중지에 따른 최대영향지점 3~6월 모델링 결과 >

 

구분

중단 전

중단 후

감소량(감소율)

충남

(보령시)

평균

22.5

21.1

1.4(6.2%)

일 최대

38.0

30.9

7.1(18.7%)

시간 최대

163.3

137.6

25.7(15.7%)

 

한편, 전년도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가동중단 효과와 비교한 결과, 충남 최대영향지점에서 동기간(6월 한달) 농도 개선효과가 시간최대 2017년 9.5㎍/m3(14.1%↓)에서 2018년 16.0㎍/m3(20.9%↓)로 증가했다.

 

이는 2017년부터 시행된 미세먼지 대책에 따른 누적 배출 삭감량 증가*와 유리한 기상여건 조성** 등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 충남 최대영향지점 초미세먼지 개선효과 비교 >

구분

‘17.6(’15~’16년 대비)

‘18.6(’15~’16년 대비)

중단 전

중단 후

감소량

중단 전

중단 후

감소량

시간 최대

67.5

58.0

9.5(14.1%)

76.4

60.4

16.0(20.9%)

일 최대

39.6

36.2

3.4(8.6%)

38.0

30.9

7.1(18.7%)

평균

24.5

23.7

0.8(3.3%)

20.2

18.5

1.7(8.4%)

 

김정수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은 “이번 조사는 최대영향지점의 초미세먼지 개선효과를 분석한 결과며, 지난해에 이어 노후 석탄화력발전의 가동중단은 미세먼지의 단기간 고농도 사례를 관리하는데 특히 효과적임을 재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라며,

 

“초미세먼지 개선을 위해서는 발전소를 비롯한 모든 배출원의 배출량을 감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부산시,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각종 대회 운영에 자원봉사자들이 혼신의 힘 다해 노력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지난 10월 17일부터 시 전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제106회 전국체육대회」에서 각종 대회 운영에 자원봉사자들이 혼신의 힘을 다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자원봉사자들은 지난 9월 23일 개최된 전국(장애인)체전 사전경기를 시작으로 대회 운영지원에 참여하고 있으며, 오는 11월 5일에 마치는 전국장애인체전까지 활동할 예정이다. 이번 대회에는 총 4,247명의 자원봉사자가 참여하며, 부산 전역 110개 경기장에서 ▲경기 운영지원 ▲개폐회식 지원 ▲종합상황실 운영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중이다. 주요 활동 분야는 ▲경기 운영지원(경기장 안내, 질서유지, 주차동선 안내, 의료·방역 지원, 도핑검사 지원, 경기 운영지원) ▲개폐회식 지원(의전지원, 입장 안내 및 기념품 배부, 출연진 안내 및 연출시설 통제,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내부 질서유지, 경기장 동선 안내, 선수단 입퇴장 지원) ▲환영행사 지원(해외동포선수단 환영만찬 지원, 선수단 환영행사 지원) ▲종합상황실 운영(대회 종합상황 유지·관리 및 안내소 운영) ▲홍보지원(언론보도 지원, 홍보관 운영지원) 등이다. 자원봉사자들은 투철한 봉사 정신과 책임감을 바탕으로 경기장을 찾은 관

정책

더보기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