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포커스]
지난 1월 20일 열린 한정애 환경부장관 후보자에 대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노웅래 의원 (민주·서울 마포구갑)과 김웅 의원(국민의힘·서울 송파구갑)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수도권매립지 대체매 립지 공모가 무산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하며, 오는 2025년 인천 서구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시 발생할 수 있는 수도권 쓰레기대란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를 물었다. 이에 당시 한정애 후보자는 대체매립지 공 모가 늦어진 것은 맞지만 공모 진행중으로 사전에 비관적인 답변을 할 수는 없다면서 공모에 참여하는 지 자체에게 여러 혜택을 줘 참여를 유도하겠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설계에 2년, 공사에 3년 정도 소요되는 것을 감안하면 올해 매립지 조성을 위한 행정절차에 착수해 야 한다. 대체 매립지가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수도권매립지 사용연장이 이뤄지지 못한다면 ‘쓰레기 재 앙’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그래서 대안을 찾고자‘ 쓰레기 다이어트’관련 현장을 찾았다. <편집자 주> |
한국형 폐기물 감량화와 고품질 자원화로
생활폐기물(종량제봉투, 선별장 잔재폐기물 등) 속 재활용가능자원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오염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분리 및 선별하여 폐비닐 등을 고품질자원으로 회수할 수 있는 차별화된 한국형 생활폐기물 전처리설비 기술을 정부연구과제로 진행해 폐기물을 반으로 줄이고 깨끗한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한국형 폐비닐 일체형 파쇄 선별 시스템’을 주식회사 씨아이에코텍(대표 조일호)에서 개발했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생활패턴의 변화와 수도권 및 일부 지역에서의 수익성 악화로 인해 폐비닐 수거 거부에 따른 국민 생활 편의 불편이 발생하고 있다. 좁은 국토, 한정된 자원 등 국내상황에 적합한 폐기물 처리 방안의 강구는 필수이다.
쓰레기가 재활용 자원이 되려면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데 기존 기술로는 이물질 제거가 불가능해 전량 소각하거나 매립해 왔다. 특히 생활폐기물 직매립 제로화를 통해 소각 매립량도 줄이고 자원도 재활용하는 기술로 아파트 재활용 선별장의 폐비닐은 물론 종량제봉투 속 이물질까지 제거해 주차 블록과 수목 지주대 등과 같은 재활용 자원으로 탄생하고 있다.
한국형 재활용 시스템 구축은 빛을 보지 못하다가 2016년 폐기물 발생을 억제하고 발생한 폐기물을 적정하게 재활용하는 ‘자원순환기본법’이 제정되며 세상으로 나왔다. 또한, 환경부가 2018년부터 생활폐기물 ‘직접매립제로화’를 위해 전처리시설 설치 시범사업에 나서며 재활용사업 환경에 또 다른 전환점이 되었다.
재활용가능자원을 최대한 회수 및 자원화 추진해
서울과 인천, 경기 등 수도권에서 배출되는 쓰레기를 처리하는 수도권매립지 사용 연장을 놓고 환경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매립지가 위치한 인천시가 2025년 사용 종료를 발표한 뒤 자체 매립장 공모에 나서면서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물질이 다량으로 혼입되어 재활용이 어려운생활계 폐기물을 혁신적인 선별기술인 강력한 연속 타격을 통해 전량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이 적용된다.
재활용선별 시스템과의 차이를 살펴보면 현재는 유가물(有價物) 회수 후 전량 폐기물로 처리하는데 ‘한국형 폐비닐 일체형 파쇄 선별 시스템’은 이물질 제거 후 전량 재활용가능자원으로 처리한다는 점이 다르다.
◀ 좌측은 씨아이에코텍 선별된 재활용 상태
우측은 지자체 분리배출된 상태
▶생활폐기물에서 밸브 보호통으로 변신된 완제품
단순 매립소각 폐기물을 대상으로 혁신적인 이물질 제거를 통해 재활용가능자원을 최대한 회수 및 자원화를 추진해 소각이나 매립을 줄임으로 직매립제로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하며 기존 시설을 활용할 수 있어 지역사회 갈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현재 지자체가 소각장 등 직매립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프라가 부족해 매립량을 감축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는 것도 현실이다. 환경부는 생활폐기물을 초과 반입한 지자체에 대해 반입량 감축과 반입 정지기간 확대 등의 페널티를 강화한다.
이에 조일호 대표는 ‘한국형 폐비닐 일체형 파쇄 선별 시스템’을 본격적으로 알리기 위해 경기도 포천에 시범사업장을 가동해 폐기물 처리의 전 과정을 직접 보여 주고 있으며 의성군 방치폐기물 선별·처리 용역을 계약 체결하는 등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