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 구름조금동두천 16.9℃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상하수도

서울시, <아낄수록 아리수로> 캠페인 참여 건수 지난해 대비 두배 이상 늘어난 22만 건

아리수 먹는 모습 인스타그램 업로드, 캠페인 누리집 댓글 달기 등 온라인 참여 활발
찾아가는 체험공간 ‘아리수WOW카’에서 아리수 직접 먹어보고 맛과 가치 느껴
아리수 축제, 서울어린이대공원 아리수나라서 가족 대상 행사 등 시민 참여의 장 마련
대학생·가족 서포터즈 및 인플루언서, 환경단체 협업 등 다양한 시민과 함께 캠페인 추진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올해 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진행한 ‘아낄수록 아리수로’ 캠페인 참여 건수가 지난해 추진했던 캠페인 참여 건수인 10만 건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난 22만 건을 기록하는 등 많은 시민이 참여했다고 전했다. 

 

‘아낄수록 아리수로’ 캠페인은 아리수를 먹는 물로 이용함으로써 환경과 건강을 지키고, 가정 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민 참여 캠페인이다.

 

아리수를 먹는 물로 이용하면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일 수 있고, 탄소 배출량은 수돗물은 성인 하루 2ℓ 섭취를 기준으로 평균 0.496g CO₂으로 정수기의 378배(187.4g CO₂), 먹는 샘물의 615배(305.0g CO₂) 적다.

 

아리수는 ‘24년 기준으로 352항목에 달하는 철저한 수질관리를 하고 있으며, 1ℓ당 39.6 ㎎의 풍부한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다. 아리수는 2ℓ당 1.16원으로 먹는샘물보다 1,482배 저렴하다.

 

서울시는 ‘아낄수록 아리수로’ 캠페인 누리집과 인스타그램, 포털사이트 다음(Daum)‧카카오톡 등 온라인 캠페인과 함께 찾아가는 아리수 체험공간 ‘아리수와우(WOW)카’를 활용한 현장 홍보, 서포터즈 및 단체 협업 등 전방위적인 홍보를 펼쳤다.

 

온라인에서는 인스타그램에 아리수로 환경, 건강, 경제를 아끼는 모습 인증 이벤트와 캠페인송 댄스 챌린지, 캠페인 누리집 댓글 달기를 통해 총 13만여 건 참여를 기록했다. 또한, 시는 포털사이트 다음(Daum)·카카오톡과 함께하는 공익캠페인을 지난 8월 12일부터 9월 8일까지 진행해 9만여 명의 시민 참여했다고 밝혔다.

 

또한, 지난 4월부터 11월까지 서울 소재 학교, 시·구 주최 행사에 찾아가는 체험공간 ‘아리수와우카’를 활용한 아리수데이를 60회 운영했다. 행사 참여 시민을 대상으로 지참한 텀블러 또는 다회용컵에 시원한 아리수와 아리수로 만든 음료를 제공해 쓰레기를 줄이는 행사에 기여했다. 더불어 아리수에 대한 퀴즈와 게임 등을 진행하면서 캠페인 참여를 독려했다.

 

‘아리수와우카’는 전년 대비 약 2배 많은 총 60회를 운영했으며, 총 34,745명의 시민을 만나 아리수의 맛과 가치를 홍보했다.

 

학교로 찾아가는 수돗물 이야기 강사 ‘아리수 스토리텔러’ 강의는 올해 총 318회 실시해 24,554명의 학생에게 교육을 진행하고 ‘아낄수록 아리수로’ 캠페인을 소개했다.

 

지난 5월 4일 서울어린이대공원 내 아리수나라에서 개최된 ‘아낄수록 아리수로’ 캠페인 가족 대상 행사와 지난 9월 5일 청계광장에서 열린 ‘My Soul Water 아리수 축제’에서도 시민들과 직접 만나 ‘아낄수록 아리수로’ 캠페인을 적극 홍보했다.

 

지난 5월부터 활동을 시작한 아리수 가족‧대학생 서포터즈 71명은 10월까지 6개월간 소셜미디어와 가정, 학교, 캠퍼스 등 일상 속에서 아리수 먹는 문화 확산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대학생 연합 광고동아리 ‘애드컬리지’와 협업해 10개 팀 70여 명이 직접 20대를 대상으로한 ‘먹는 물 아리수’ 홍보 아이디어를 기획하고 실행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했다.

 

‘아낄수록 아리수로’ 캠페인에는 환경운동가이자 서울시 홍보대사 배우 박진희, 방송인 줄리안도 앞장서서 참여했다. ‘환경재단’, ‘동물권행동 카라’가 주최하는 시민 행사에 아리수 식수 부스를 운영했고, 지난 9월 1일에는 와이퍼스와 함께 한강에서 ‘아낄수록 아리수로’ 플로깅을 진행하기도 했다. ‘기후위기 인간’ 웹툰 작가 구희와 함께 환경과 건강, 경제를 아낄 수 있는 캠페인 인스타툰을 제작, 홍보했다.

 

한편, 지난달 29일에는 ‘아낄수록 아리수로’ 캠페인이 한국공공브랜드진흥원이 주최하는 ‘제2회 공공브랜드대상’에서 공공기관 시민 참여 부문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한영희 서울아리수본부장은 “아리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하고 깨끗한 먹는 물”이라며 “환경과 건강, 경제를 아낄 수 있는 아리수의 가치를 많은 시민이 공감하여 일상 속에서 먹는 물로 이용해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서울시, 또래 관계 형성에 어려움 겪는 청소년 위한 <행복동행학교> 참여자 모집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또래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을 위해 ‘행복동행학교’를 2025년부터 서울 전역 4개 권역으로 확대하고, 3일 목요일부터 참여자를 모집한다고 전했다. 이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이 놀이와 체험활동을 통해 건강한 관계를 맺고 심리·정서적 안정을 찾도록 돕는다. 서울시는 지난해 친구 관계에 어려움이 있거나, 우울․고립감을 경험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다양한 놀이와 체험을 통해 건강한 관계 형성과 심리․정서적 안정을 지원하는「행복동행학교」를 시범운영하였으며, 1년간 241명의 청소년과 50명의 보호자가 참여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다. 서울시 고립·은둔 청년 실태조사에 따르면, 고립 청년 중 21%가 10대에 이미 고립 생활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이 시기에 적절한 개입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고립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한다. 이에 서울시는 청소년들이 자연스럽게 또래 관계를 맺고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행복동행학교」를 운영해 왔다. 여성가족부가 2025년 3월 발표한 청소년 고립·은둔 실태조사에 따르면, 청소년 10명 중 3명이 사회적 관계 단절을 경험한 적이 있으며, 그 중 65.5%가 친구

정책

더보기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녹색 창업의 꿈, 환경창업대전 응모하기
[환경포커스=서울]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녹색산업 유망 창업 아이템을 발굴하기 위한 ‘2025 환경창업대전’ 참가팀을 4월 1일부터 5월 2일까지 모집한다. 2018년에 시작해 올해로 8번째를 맞는 이 행사는 오염물질 또는 온실가스의 배출을 최소화하고 에너지와 자원의 효율을 높여 환경을 개선하는 시설‧장치‧서비스 등으로 탄소중립을 이루고 녹색성장을 촉진하는 녹색산업 분야* 예창업자와 창업기업(업력 7년 이내)을 모집 대상으로 하며, 환경창업 저변 확대 및 녹색산업 창업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최종 25개 수상팀(예비창업자 부문 12개 팀, 창업기업 부문 13개 팀)을 선발하여, 총 1억 800만 원의 상금과 함께 환경부 장관상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상을 수여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녹색산업 분야에 특화된 창업기획자(액셀러레이터)와 협업하여 환경창업대전의 접수에서부터 시상식 개최까지 유망 창업 아이템을 찾아내 육성 및 투자유치 활동 등 보다 전문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 창업 교육, 1:1 전문가 자문, 시장 검증, 모의 투자설명회 개최 등 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형 창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또한, 상위 수상팀에게는 후속 연계 지원으로 내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돌봄 사각지대 해소와 돌봄의 질 높이기 위한 <좋은돌봄 인증기관> 찾는다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가 각종 지원과 인센티브를 통해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돌봄의 질은 높인다는 계획으로 양질의 돌봄서비스를 담당할 좋은돌봄 인증기관을 찾는다고 전했다. ‘서울형 좋은돌봄 인증제’는 노인 인권 보호, 시설 안정성과 재무 건전성 등의 요건을 충족한 장기요양기관을 서울시가 공인해 주는 제도로 2009년 도입됐다. 데이케어센터(주야간보호시설), 노인요양시설, 안심돌봄가정(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을 대상으로 하며 올해부터는 방문요양기관까지 대상을 확대한다. 현재 서울시내 장기요양기관 2,132개소 중 현재 256개소가 인증을 유지하고 있다. 인증기간은 3년이며, 3년간 운영보조금(1천6백~1억6천8백만원)등의 인센티브를 받는다. 우선 ‘데이케어센터’에는 야간 운영 인력 인건비와 프로그램 운영비를 총 100만원(’24년 2,800만원~3,800만원→’25년 2,900만원~3,900만원) 인상 지급한다. 센터당 대체인력 지원 일수도 연간 12일에서 16일로 확대, 종사자 휴가 등 인력 공백 발생도 막는다. ‘노인요양시설’은 1,600만원~3,60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하며, ‘안심돌봄가정’은 1,800만원~2,700만원을 지원한다. 아울러 두 시설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