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이하 연구원)은 올해 4월부터 12월까지 부산 지역 내 소규모 도시 텃밭의 토양 안전성 조사를 실시한다고 전했다.
연구원은 시민들이 안심하고 경작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매년 부산 지역 내 소규모 도시 텃밭의 토양 안전성 조사를 하고 있다.
조사를 통해 토양환경보전법상 농작물 경작에 적합한 기준(토양오염우려기준 1 지역 적용) 농도 이내 여부를 확인한다.
조사 항목은 토양 중금속 8항목이며, 조사 대상은 유치원, 어린이집 등을 포함해 신규로 조성되거나 시민 생활과 밀접한 텃밭 64개 지점(구·군별 4지점씩)을 선정했다.
중금속 8항목은 ▲아연 ▲니켈 ▲비소 ▲카드뮴 ▲구리 ▲납 ▲6가크롬 ▲수은이다. 도시 텃밭 조사 대상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유치원·어린이집(52퍼센트(%)) ▲복지시설(16퍼센트(%)) ▲학교(8퍼센트(%)) 등이다.
또한, 지난해 도시 텃밭 토양 안전성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기준을 초과한 텃밭 6개 지점의 토양을 지속해서 조사하며, 이 텃밭 농작물의 중금속 조사를 추가로 실시할 예정이다.
지난해 조사 결과, ‘토양오염우려기준 1 지역’ 기준을 초과한 항목은 아연이었으며, 나머지 항목은 모두 기준을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을 초과한 토양에서의 농작물은 ▲카드뮴 ▲납 ▲아연을 포함한 3항목에 대해 중금속 조사를 할 예정이다.
연구원은 조사 결과 기준을 초과한 경우, 빠른 시일 내 해당 구·군에 통보해 텃밭 토양 교체와 재배작물의 식용 금지를 안내할 예정이다.
소규모 텃밭의 경우 유치원과 어린이집, 경로당 등 복지시설에서 주로 조성해 경작하는 만큼,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한 텃밭에서 자란 재배 작물을 섭취하지 않도록 결과를 빠르게 통보할 계획이다.
이용주 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대중적 관심과 여가 활동의 증가로 도시 텃밭을 가꾸는 시민들이 많이 늘고 있는 추세”라며, “텃밭에 사용되는 토양의 안전성을 확보해 시민들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친환경 농산물 생산 분위기를 조성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