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수)

  • 흐림동두천 10.8℃
  • 구름많음강릉 12.8℃
  • 흐림서울 10.5℃
  • 흐림대전 13.1℃
  • 구름많음대구 17.9℃
  • 구름많음울산 11.5℃
  • 흐림광주 11.5℃
  • 맑음부산 13.6℃
  • 흐림고창 9.4℃
  • 맑음제주 16.6℃
  • 흐림강화 7.4℃
  • 흐림보은 14.4℃
  • 흐림금산 12.2℃
  • 구름많음강진군 13.7℃
  • 맑음경주시 15.7℃
  • 맑음거제 13.7℃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저소득층 현실 반영하지 않는 국민연금공단 무분별 가입

  

[환경포커스=국회] 최근 국민연금 고갈 시점에 대한 논란으로 가입 및 탈퇴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은 가운데, 국민연금공단이 소득이나 근로환경에 대한 고려없이 무분별하게 국민연금 미가입자에 대한 직권가입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장정숙 의원(비례대표)이 국민연금공단(이하 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공단은 2013년부터 올해 8월까지 약 252,716명의 미가입자를 직권가입시켰다.  [1] 참조.

 

특히, 2013(1,371)과 비교하면 2017(112,717) 직권가입자는 무려 82배나 급증하였다.

 

[1] 연도별 사유별 직권가입 현황

(단위 : )

구 분

가입자 수

252,716

20131~ 12

1,371

20141~ 12

1,744

20151~ 12

32,397

20161~ 12

67,426

20171~ 12

112,717

20181~ 8

37,012

자료 : 국민연금공단(2018.9), 자격취득일 기준


문제는 직권가입 대상의 대부분이 소득이 낮거나 근로환경이 안정되지 못해 가입을 계속 유지하기 힘들다는 점이다.

 

실제로 직권자입자의 절반 이상(전체 대비 60%, 143,005)은 가입 후 2개월 내 탈퇴 또는 자격을 상실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2] 참조  특히, 20%(48,426)은 가입 1개월 내 탈퇴하였고, 5년 이상 가입을 유지한 직권 가입자는 단 9명에 불과했다.

 

[2] 가입기간구간별 직권가입자 탈퇴 및 자격상실 현황

(단위 : )

구 분

상실자 수

1개월내

1개월~

2개월내

2개월~

3개월내

3개월~

6개월내

6개월~

1년내

1~

2년내

2~

3년내

3~

5년내

5

이상

236,458

48,426

94,579

15,512

34,933

25,645

13,789

3,293

292

9

2013

364

53

65

50

130

66

-

-

-

-

2014

451

92

82

49

155

93

-

-

-

-

2015

11,685

4,180

5,189

870

888

356

202

-

-

-

2016

60,767

14,440

26,923

4,952

7,943

5,201

1,209

99

-

-

2017

83,666

22,590

29,532

4,810

12,129

7,376

6,479

590

160

-

2018.8

79,525

7,071

32,788

4,781

13,688

12,553

5,899

2,604

132

9

자료 : 국민연금공단(2018.9), 자격상실일 기준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탈퇴사유는 퇴직(사용관계 종료)이 전체의 98%(232,096)에 달했다. [3] 참조.

 

[3] 탈퇴사유별 직권가입자 탈퇴 및 자격상실 현황

(단위 : )

구 분

상실자 수

사용관계

종료

근로자제외(60시간 미만, 무보수대표 등)

60세도달 상실

다른 공적 연금 가입

사망상실

노령연금

수급자취득

국적상실, 국외이주

236,458

232,096

2,862

1,317

71

61

35

16

2013

364

339

4

17

2

-

2

-

2014

451

419

9

18

 

1

4

-

2015

11,685

11,445

170

57

2

5

6

-

2016

60,767

59,796

629

299

18

12

10

3

2017

83,666

82,171

914

514

21

29

12

5

2018

79,525

77,926

1,136

412

28

14

1

8

자료 : 국민연금공단(2018.9), 자격상실일 기준

 

소득수준의 경우, 월 소득 100만원 미만이 96,923명으로 가장 많았고, 200만원 미만이 96,747명 순으로 나타났다. [4] 참조.

 

[4] 소득분위별 직권가입 현황

(단위 : )

구 분

가입자 수

100만원 미만

100만원 ~ 200만원 미만

200만원 ~ 300만원 미만

300만원 ~ 400만원 미만

400만원 이상

252,667

96,923

96,747

37,906

12,931

8,160

2013

1,371

480

600

177

114

-

2014

1,744

817

642

151

102

32

2015

32,397

11,268

14,495

4,818

1,115

701

2016

67,426

26,748

25,891

9,854

3,201

1,732

2017

112,717

41,445

41,871

18,107

6,719

4,575

2018

37,012

16,165

13,248

4,799

1,680

1,120

자료 : 국민연금공단(2018.9), 자격취득일 기준

 

이에 대해 공단은 미가입자를 최대한 연금 제도권 내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입유지기간이 짧을 것으로 예상되더라도 일단 직권으로 가입시키고 있다고 해명했다고 한다.

 

특히, 최근에는 일용직 근로자의 직권가입 기준을 기존 한달 내 20일 이상 근무에서 8일로 단축시키면서도, 가입자격 판별기준에 최저 소득기준은 마련하지 않았다.

 

문제는 연금 수령이 가능한 최소가입기준이 10년에 달하는 점을 고려했을 때, 근로환경이 안정되지 않은 저소득층의 생활여건을 감안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강제 가입시켜 보험료 납부를 강요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장정숙 의원은 가입자의 여건에 대한 심도있는 고민없이 단순 근무일수만으로 대상을 선정해 직권가입시키는 것은 탁상행정의 전형이라고 지적하며, “직권가입 대상의 판별기준에 최저 소득기준과 가입유지 가능성 등이 고려될 수 있도록 제도가 개선되어야 한다고 밝힘. 아울러 가입실적을 성과에 반영하여 무분별한 가입을 유도하는 공단의 잘못된 관행에 대해서도 반드시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서울시, 외로운 시민에게 대화와 도움 제공하는 원스톱 콜센터 <외로움안녕120> 시범 운영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4월 1일 화요일 오전 9시부터 「외로움안녕120」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고 전했다. 전문 상담원과 이야기를 나누며 정서적 지지를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한 서비스 연계와 지원도 도와준다. 서울시는 지난해 10월 전국 최초로 외로움 예방부터 고립은둔 가구 지원, 재고립․재은둔까지 막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외로움․고립은둔 종합대책 ‘외로움 없는 서울(약칭 외·없·서)’을 발표했다. 시범운영에 들어가는 ‘외로움안녕120’은 외로움과 관련된 서비스를 비롯해 상담,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대표 창구로서, ‘외로움 없는 서울’ 대책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게 된다. 24시간 365일 서비스가 제공되는 외로움안녕120은 외로움을 느끼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다산콜센터(☎02-120) 전화 후 음성 안내에 따라 5번(외로움안녕)을 누르면 상담사와 연결된다. 사회복지사 또는 상담 관련 자격을 갖춘 전문 상담원 14명이 24시간 교대로 근무하며 대화를 원하는 시민의 전화를 받아 가벼운 상담을 통한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상담사 보호를 위해 매뉴얼에 따라 폭언․욕설 등으로 상담을 이어가기 곤란할 경우에는 상

정책

더보기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녹색 창업의 꿈, 환경창업대전 응모하기
[환경포커스=서울]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녹색산업 유망 창업 아이템을 발굴하기 위한 ‘2025 환경창업대전’ 참가팀을 4월 1일부터 5월 2일까지 모집한다. 2018년에 시작해 올해로 8번째를 맞는 이 행사는 오염물질 또는 온실가스의 배출을 최소화하고 에너지와 자원의 효율을 높여 환경을 개선하는 시설‧장치‧서비스 등으로 탄소중립을 이루고 녹색성장을 촉진하는 녹색산업 분야* 예창업자와 창업기업(업력 7년 이내)을 모집 대상으로 하며, 환경창업 저변 확대 및 녹색산업 창업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최종 25개 수상팀(예비창업자 부문 12개 팀, 창업기업 부문 13개 팀)을 선발하여, 총 1억 800만 원의 상금과 함께 환경부 장관상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상을 수여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녹색산업 분야에 특화된 창업기획자(액셀러레이터)와 협업하여 환경창업대전의 접수에서부터 시상식 개최까지 유망 창업 아이템을 찾아내 육성 및 투자유치 활동 등 보다 전문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 창업 교육, 1:1 전문가 자문, 시장 검증, 모의 투자설명회 개최 등 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형 창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또한, 상위 수상팀에게는 후속 연계 지원으로 내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불법 전단지의 대포폰 번호 무력화 시키는 <대포킬러> 효과 입증
[환경포커스=서울] 길거리, 공중화장실은 물론 최근에는 학교 인근까지 무분별하게 살포되고 있는 불법 전단지로부터 시민 피해를 막기위해 서울시가 도입한 ‘대포킬러’가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2017년 10월,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개발한 ‘대포킬러’는 청소년 유해매체‧불법 대부업 전단 등에 적힌 ‘대포폰 번호’로 2~3초 마다 계속 전화를 걸어 통화 중인 상태를 만드는 전용시스템이다. 계속 통화 중인 상태로 만들어 업자와 시민간 통화를 원천 차단하는 원리다. 업자가 대포킬러로부터 걸려온 전화번호를 차단하면 자동으로 다른 번호로 전화를 다시 걸어 수요자를 특정하게 어렵게 만들어 사실상 불법행위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만약 대포킬러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불법 전단지 배포자 등이 받으면, 이 번호는 불법 영업행위를 하고 있다는 안내가 나온다. 특히 올해 1월부터는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대포킬러 효과가 더 막강해졌다. 기존 1년 420여 개의 일반전화 회선을 사용하던 데서 ‘변작(번호조작)’ 기술을 본격 도입해 전화 회선을 1주에 2,500여 개로 확대해 차단 효과가 더욱 높아 진 것이다. 또 불법 전단지 사진을 스마트폰 앱에 올리면 실시간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