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수)

  • 흐림동두천 10.8℃
  • 구름많음강릉 12.8℃
  • 흐림서울 10.5℃
  • 흐림대전 13.1℃
  • 구름많음대구 17.9℃
  • 구름많음울산 11.5℃
  • 흐림광주 11.5℃
  • 맑음부산 13.6℃
  • 흐림고창 9.4℃
  • 맑음제주 16.6℃
  • 흐림강화 7.4℃
  • 흐림보은 14.4℃
  • 흐림금산 12.2℃
  • 구름많음강진군 13.7℃
  • 맑음경주시 15.7℃
  • 맑음거제 13.7℃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대도시 이외 전기차 충전기 고장 울릉도 최고

  

[국정감사=국회] 기차 충전기 고장율이 지역별로 크게 차이나는 것으로 확인됐. 시도별로 전기차 충전기 중 사용 불가한 충전기 비율은 울릉도가 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송옥주 의원이 환경부가 운영하는 전기차 충전소 모니터링 사이트(https://www.ev.or.kr)에서 올해 928일 저녁 9시를 기준으로 시도별 전기충전기(완속, 급속 모두 포함)의 오류·고장 현황을 실시간 확인한 결과, 사용 불가한 충전기가 가장 많은 지역은 울릉도(85%)였고, 전라북도(37%), 울산광역시(26%), 경기도와 광주광역시(24%)가 뒤를 이었다. (표 참고)

의원은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지역별로 크게 차이나선 안 된다. 전기차 운전자가 국 어디서든 차질없이 충전할 수 있어야 안정적인 전기차 시대를 맞이할 수 있다 강조하며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사업은 환경부가 한국자동차환경협회에만 위탁하고 느슨하게 관리할 게 아니라, 차세대 국가 교통 인프라 구축 사업인 만큼 고장난 충전기가 신속하게 수리되도록 해야 한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송 의원은 특히 환경부 지침에 따른 ‘3시간 이내 수리가 가능하려면 지역별로 위탁수리 전문업체를 선정해서 고장 및 오류 정보가 수리를 담당하는 주체에 바로 전달되도록 체계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시도별 전기충전기 상태 현황표 (18.9.28 21:00)

구분

총계

사용 가능

사용 불가능

시범

운영

충전중

(A)

충전가능

(B)

소계

(A+B)

점검중/

운영중지

(C)

상태미확인

(오류)

(D)

소계

(C+D)

서울특별시

949

41 (4%)

768 (81%)

809 (85%)

46 (5%)

94 (10%)

140 (15%)

0 (0%)

부산광역시

280

16 (6%)

215 (77%)

231 (83%)

17 (6%)

32 (11%)

49 (17%)

0 (0%)

대구광역시

474

78 (17%)

286 (60%)

364 (77%)

9 (2%)

101 (21%)

110 (23%)

0 (0%)

울산광역시

137

2 (1%)

100 (73%)

102 (74%)

7 (5%)

28 (21%)

35 (26%)

0 (0%)

광주광역시

223

21 (9%)

146 (66%)

167 (75%)

18 (8%)

36 (16%)

54 (24%)

2 (1%)

대전광역시

125

6 (5%)

96 (77%)

102 (82%)

4 (3%)

19 (15%)

22 (18%)

0 (0%)

인천광역시

239

11 (4%)

188 (79%)

199 (83%)

7 (3%)

33 (14%)

40 (17%)

0 (0%)

세종특별자치시

44

5 (11%)

32 (73%)

37 (84%)

2 (5%)

5 (11%)

7 (16%)

0 (0%)

제주특별자치시

730

103 (14%)

508 (70%)

611 (84%)

25 (3%)

92 (13%)

117 (16%)

2 (0%)

경기도

1,456

68 (5%)

1,041 (71%)

1,109 (76%)

51 (4%)

292 (20%)

343 (24%)

4 (0%)

강원도

450

17 (4%)

367 (81%)

384 (85%)

22 (5%)

30 (7%)

52 (12%)

14 (3%)

충청남도

285

10 (4%)

234 (82%)

244 (86%)

12 (4%)

18 (6%)

30 (10%)

11 (4%)

충청북도

291

12 (4%)

241 (83%)

253 (87%)

11 (4%)

23 (8%)

34 (12%)

4 (1%)

전라북도

270

5 (2%)

163 (61%)

168 (63%)

28 (10%)

73 (27%)

101 (37%)

1 (0%)

전라남도

394

15 (4%)

326 (83%)

341 (87%)

23 (6%)

27 (7%)

50 (13%)

3 (0%)

경상북도

452

18 (4%)

356 (79%)

374 (83%)

19 (4%)

51 (11%)

70 (15%)

8 (2%)

경상남도

439

15 (3%)

362 (83%)

377 (86%)

15 (3%)

42 (10%)

57 (13%)

5 (1%)

울릉도

26

0 (%)

4 (15%)

4 (15%)

0 (0%)

22 (85%)

22 (85%)

0 (0%)

 

 


환경뉴스

더보기
서울시, 외로운 시민에게 대화와 도움 제공하는 원스톱 콜센터 <외로움안녕120> 시범 운영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4월 1일 화요일 오전 9시부터 「외로움안녕120」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고 전했다. 전문 상담원과 이야기를 나누며 정서적 지지를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한 서비스 연계와 지원도 도와준다. 서울시는 지난해 10월 전국 최초로 외로움 예방부터 고립은둔 가구 지원, 재고립․재은둔까지 막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외로움․고립은둔 종합대책 ‘외로움 없는 서울(약칭 외·없·서)’을 발표했다. 시범운영에 들어가는 ‘외로움안녕120’은 외로움과 관련된 서비스를 비롯해 상담,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대표 창구로서, ‘외로움 없는 서울’ 대책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게 된다. 24시간 365일 서비스가 제공되는 외로움안녕120은 외로움을 느끼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다산콜센터(☎02-120) 전화 후 음성 안내에 따라 5번(외로움안녕)을 누르면 상담사와 연결된다. 사회복지사 또는 상담 관련 자격을 갖춘 전문 상담원 14명이 24시간 교대로 근무하며 대화를 원하는 시민의 전화를 받아 가벼운 상담을 통한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상담사 보호를 위해 매뉴얼에 따라 폭언․욕설 등으로 상담을 이어가기 곤란할 경우에는 상

정책

더보기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녹색 창업의 꿈, 환경창업대전 응모하기
[환경포커스=서울]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녹색산업 유망 창업 아이템을 발굴하기 위한 ‘2025 환경창업대전’ 참가팀을 4월 1일부터 5월 2일까지 모집한다. 2018년에 시작해 올해로 8번째를 맞는 이 행사는 오염물질 또는 온실가스의 배출을 최소화하고 에너지와 자원의 효율을 높여 환경을 개선하는 시설‧장치‧서비스 등으로 탄소중립을 이루고 녹색성장을 촉진하는 녹색산업 분야* 예창업자와 창업기업(업력 7년 이내)을 모집 대상으로 하며, 환경창업 저변 확대 및 녹색산업 창업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최종 25개 수상팀(예비창업자 부문 12개 팀, 창업기업 부문 13개 팀)을 선발하여, 총 1억 800만 원의 상금과 함께 환경부 장관상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상을 수여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녹색산업 분야에 특화된 창업기획자(액셀러레이터)와 협업하여 환경창업대전의 접수에서부터 시상식 개최까지 유망 창업 아이템을 찾아내 육성 및 투자유치 활동 등 보다 전문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 창업 교육, 1:1 전문가 자문, 시장 검증, 모의 투자설명회 개최 등 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형 창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또한, 상위 수상팀에게는 후속 연계 지원으로 내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불법 전단지의 대포폰 번호 무력화 시키는 <대포킬러> 효과 입증
[환경포커스=서울] 길거리, 공중화장실은 물론 최근에는 학교 인근까지 무분별하게 살포되고 있는 불법 전단지로부터 시민 피해를 막기위해 서울시가 도입한 ‘대포킬러’가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2017년 10월,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개발한 ‘대포킬러’는 청소년 유해매체‧불법 대부업 전단 등에 적힌 ‘대포폰 번호’로 2~3초 마다 계속 전화를 걸어 통화 중인 상태를 만드는 전용시스템이다. 계속 통화 중인 상태로 만들어 업자와 시민간 통화를 원천 차단하는 원리다. 업자가 대포킬러로부터 걸려온 전화번호를 차단하면 자동으로 다른 번호로 전화를 다시 걸어 수요자를 특정하게 어렵게 만들어 사실상 불법행위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만약 대포킬러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불법 전단지 배포자 등이 받으면, 이 번호는 불법 영업행위를 하고 있다는 안내가 나온다. 특히 올해 1월부터는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대포킬러 효과가 더 막강해졌다. 기존 1년 420여 개의 일반전화 회선을 사용하던 데서 ‘변작(번호조작)’ 기술을 본격 도입해 전화 회선을 1주에 2,500여 개로 확대해 차단 효과가 더욱 높아 진 것이다. 또 불법 전단지 사진을 스마트폰 앱에 올리면 실시간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