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수)

  • 흐림동두천 10.8℃
  • 구름많음강릉 12.8℃
  • 흐림서울 10.5℃
  • 흐림대전 13.1℃
  • 구름많음대구 17.9℃
  • 구름많음울산 11.5℃
  • 흐림광주 11.5℃
  • 맑음부산 13.6℃
  • 흐림고창 9.4℃
  • 맑음제주 16.6℃
  • 흐림강화 7.4℃
  • 흐림보은 14.4℃
  • 흐림금산 12.2℃
  • 구름많음강진군 13.7℃
  • 맑음경주시 15.7℃
  • 맑음거제 13.7℃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해양 사고 원인의 90%가 인적과실 방지 절실

 

[국정감사=국회] 해양 사고 원인의 90%가 인적과실로 나타나면서 해양 사고 예방을 위한 선박 종사자들의 대한 교육 지원과 해양 안전관련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오영훈 의원실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2013~ 2017년까지 사고유형별 해양사고 현황‘2014~2017년 선박용도별 해양사고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인적과실로 발생한 충돌 접촉 좌초 안전 저해인 부유물 감김 등의 사고가 매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4년에서 2015년에는 사이 선박용도별 해양사고와 인적과실로 발생한 사고 모두 큰 폭 상승했다.

 

아래 [-1]을 살펴보면 2014년에서 2015, 비어선과 어선의 해양사고는 각각 38.2%57.5%로 최근 4년간 가장 큰 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2]를 보면 인적과실로 해당되는 해양사고 역시 2015년 같은 해 5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종사자의 인적과실로 발생하는 해양사고에 대한 해양수산부의 공동노력이 필요한 대목으로 꼽힌다.

 

[-1] 2014~ 2017년 선박용도별 해양사고 현황

구분

비어선

어선(증감률)

합계

여객선

화물선

예인선

기타

소계(증감률)

2014

51

111

102

272

536( - )

1,029( - )

1,565

2015

66

115

94

466

741(38.2%)

1,621(57.5%)

2,362

2016

65

116

77

497

755(1.8%)

1,794(10.4%)

2,549

2017

46

127

91

679

943(24.9%)

1,939(8%)

2,882

합계

228

469

364

1,914

2,975

6,383

9,358

(출처: 해양수산부, 단위 : )

 

[-2] 2013~ 2017년 사고유형별 해양사고 현황

구분

충돌

접촉

좌초

전복

화재

폭발

기관

손상

인명

사상

부유물 감김

침몰

기타

합계

2013

175

23

91

32

79

290

45

191

21

146

1,093

( - )

2014

180

19

96

35

97

339

113

205

19

227

1,330

(21%)

2015

235

28

84

32

100

703

144

331

31

413

2,101

(58%)

2016

209

23

137

49

113

755

131

390

27

473

2,307

(10%)

2017

258

25

149

65

96

838

160

442

29

520

2,582

(12%)

합계

1,057

118

557

213

485

2,925

593

1,559

127

1,779

9,413

(출처: 해양수산부, 기타: 시설물손상, 조타장치손상 등)

해양수산부는 매년 안전한 해상교통 환경을 확보하기 위해 해양사고 예방활동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기능별 세부 결산 내역을 살펴보면 어선·비어선의 해양 사고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017, 2018인적과실 예방 사업의 예산이 이월·불용되었거나, 불용이 예상되며 2019년 예산()에 따르면 2018년에 비해 2억 정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3] 해양사고 예방활동 지원 사업(인적과실 예방사업) 예산 현황

구분

2017

이월액

불용액

2018

불용액

2019()

예산

1,230

183

55

1,230

13

1,030

(단위: 백만원)

 

이에, 더불어민주당 오영훈 의원은 “‘해양 사고 예방활동 지원사업의 2017년 예산 집행률(97.5%)이 높은 건 해양수산부가 잘 한 일이지만 세월호사고 이후 더 이상 인적과실로 인한 비극적인 사고가 발생해서는 안 된다는 절실한 교훈을 얻은 만큼 인적과실 예방사업 다각화하여 확대·운영해야 하며, 종사자와 해양수산부의 공동 노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오 의원은 국내에서 발생되는 해양 사고 원인의 90%인적과실이라는 결과에 정부와 국회 모두 깊은 반성이 있어야 할 것이며, 이를 반드시 반면교사 삼아 해양 사고는 자칫 대형사고, 인명 사상까지 직결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서울시, 외로운 시민에게 대화와 도움 제공하는 원스톱 콜센터 <외로움안녕120> 시범 운영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4월 1일 화요일 오전 9시부터 「외로움안녕120」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고 전했다. 전문 상담원과 이야기를 나누며 정서적 지지를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한 서비스 연계와 지원도 도와준다. 서울시는 지난해 10월 전국 최초로 외로움 예방부터 고립은둔 가구 지원, 재고립․재은둔까지 막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외로움․고립은둔 종합대책 ‘외로움 없는 서울(약칭 외·없·서)’을 발표했다. 시범운영에 들어가는 ‘외로움안녕120’은 외로움과 관련된 서비스를 비롯해 상담,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대표 창구로서, ‘외로움 없는 서울’ 대책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게 된다. 24시간 365일 서비스가 제공되는 외로움안녕120은 외로움을 느끼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다산콜센터(☎02-120) 전화 후 음성 안내에 따라 5번(외로움안녕)을 누르면 상담사와 연결된다. 사회복지사 또는 상담 관련 자격을 갖춘 전문 상담원 14명이 24시간 교대로 근무하며 대화를 원하는 시민의 전화를 받아 가벼운 상담을 통한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상담사 보호를 위해 매뉴얼에 따라 폭언․욕설 등으로 상담을 이어가기 곤란할 경우에는 상

정책

더보기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녹색 창업의 꿈, 환경창업대전 응모하기
[환경포커스=서울]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녹색산업 유망 창업 아이템을 발굴하기 위한 ‘2025 환경창업대전’ 참가팀을 4월 1일부터 5월 2일까지 모집한다. 2018년에 시작해 올해로 8번째를 맞는 이 행사는 오염물질 또는 온실가스의 배출을 최소화하고 에너지와 자원의 효율을 높여 환경을 개선하는 시설‧장치‧서비스 등으로 탄소중립을 이루고 녹색성장을 촉진하는 녹색산업 분야* 예창업자와 창업기업(업력 7년 이내)을 모집 대상으로 하며, 환경창업 저변 확대 및 녹색산업 창업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최종 25개 수상팀(예비창업자 부문 12개 팀, 창업기업 부문 13개 팀)을 선발하여, 총 1억 800만 원의 상금과 함께 환경부 장관상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상을 수여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녹색산업 분야에 특화된 창업기획자(액셀러레이터)와 협업하여 환경창업대전의 접수에서부터 시상식 개최까지 유망 창업 아이템을 찾아내 육성 및 투자유치 활동 등 보다 전문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 창업 교육, 1:1 전문가 자문, 시장 검증, 모의 투자설명회 개최 등 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형 창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또한, 상위 수상팀에게는 후속 연계 지원으로 내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불법 전단지의 대포폰 번호 무력화 시키는 <대포킬러> 효과 입증
[환경포커스=서울] 길거리, 공중화장실은 물론 최근에는 학교 인근까지 무분별하게 살포되고 있는 불법 전단지로부터 시민 피해를 막기위해 서울시가 도입한 ‘대포킬러’가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2017년 10월,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개발한 ‘대포킬러’는 청소년 유해매체‧불법 대부업 전단 등에 적힌 ‘대포폰 번호’로 2~3초 마다 계속 전화를 걸어 통화 중인 상태를 만드는 전용시스템이다. 계속 통화 중인 상태로 만들어 업자와 시민간 통화를 원천 차단하는 원리다. 업자가 대포킬러로부터 걸려온 전화번호를 차단하면 자동으로 다른 번호로 전화를 다시 걸어 수요자를 특정하게 어렵게 만들어 사실상 불법행위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만약 대포킬러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불법 전단지 배포자 등이 받으면, 이 번호는 불법 영업행위를 하고 있다는 안내가 나온다. 특히 올해 1월부터는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대포킬러 효과가 더 막강해졌다. 기존 1년 420여 개의 일반전화 회선을 사용하던 데서 ‘변작(번호조작)’ 기술을 본격 도입해 전화 회선을 1주에 2,500여 개로 확대해 차단 효과가 더욱 높아 진 것이다. 또 불법 전단지 사진을 스마트폰 앱에 올리면 실시간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