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포커스) 부산광역시과학협회는 ‘2018 블록체인엑스포’가 7월 26~27일 양일간 부산항 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한국해양대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단과 블록체인엑스포위원회가 주최하며, 부산테크노파크, 부산광역시과학협회, 프로비즈가 주관한다. 삼성전자, 한국자산관리공사, 캠코, 한국정보기술연구원, 한국스마트인증, 부산정보산업진흥원, 금호석유화학, LS산전, SM엔터테인먼트, 한국저작권보호원, KT 경제경영연구소, 동아대학교, 동서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 태국, 베트남, 뉴질랜드, 중국 등 대기업뿐만 아니라 정부기관 및 기업, 개인, 대학교에서도 사전참관신청을 하고 있다. 부대행사 컨퍼런스에서는 부산테크노파크 최승욱 부장의 ‘블록체인 기술과 기술이전 및 거래’, 정병홍 박사의 ‘블록체인 기술 국제특허법률’, 한국항공대 박종서 교수의 ‘4차 산업혁명과 블록체인 기술’, 동남권발전 정책연구원 장일동 원장의 ‘4차 산업혁명과 블록체인 미래 전망’ 등이 발표된다. 아울러 이번행사에서는 국내 최초로 블록체인을 활용한 ‘스마트시티’ 체험 행사가 이루어 진다. 사전참관객 또는 현장등록자에게는 BCEK 행사장에서
(환경포커스) 스타-팬 SNS ‘피퍼’를 운영중인 스타트업 태글이 사명을 ‘피퍼’로 변경했다고 지난 4일 밝혔다. 태글은 자사가 보유한 특허 기술인 #해시태그 기반 사진 갤러리 서비스 기술을 바탕으로 한류, K-POP 스타와 팬을 연결하는 SNS 플랫폼 앱 ‘피퍼’를 개발 및 운영해 온 글로벌 스타트업이다. 피퍼는 K-POP과 한류에 관심이 높은 50개국 이상의 다양한 글로벌 사용자를 확보하여 서비스를 운영해 왔다. 피퍼는 사용자의 80% 이상이 해외 사용자로써 주요 사용자 국가는 한국과 중국을 비롯해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의 동남아시아와 일본, 미국, 남미, 중동, 유럽 등 다양하다고 밝혔다. 피퍼는 그 동안의 글로벌 사용자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7월 중순 이후부터 스타-팬 SNS로의 전면적인 서비스 개편 오픈을 통해 본격적으로 국내 및 해외 시장에서의 빠른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피퍼의 최현재 대표는 “주력 서비스 브랜드에 집중하고자 사명을 변경했다”며 “스타와 팬이 쌍방향으로 더 가깝게 소통하는 SNS 플랫폼 앱을 새롭게 선보여,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사명 변경 이유를 밝혔다. 한편 피퍼는 7월
(환경포커스) SK텔레콤 인공지능 서비스 ‘누구’가 24시간 편의점 ‘CU’에 배치돼, 매장 근무자 ‘도우미’로 활용된다. 지금까지 집안과 차안에서 주로 사용되던 SK텔레콤 AI서비스 ‘누구’가 집밖으로 나와 ‘편의점’이라는 기업 서비스 영역에 첫 적용되는 셈이다. SK텔레콤과 BGF리테일은 CU 전국 100개 매장에 ‘누구’를 도입, 매장 운영에 활용한다고 4일 밝혔다. ‘누구’는 편의점 CU 계산대 옆에 배치돼, 근무자들이 묻는 매장 운영 관련 약 200여가지의 질문에 대답하게 된다. 지금까지 매장 근무자가 편의점 운영 과정에서 궁금한 사항이 발생하면 본사에 직접 문의하거나 컴퓨터에서 찾아봐야 했지만, 이제는 근무자가 ‘누구’에게 질문하고 ‘누구’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적의 정보를 찾아 답변하게 된다. 이번 서비스 적용으로 ‘누구’는 하루에도 3번 이상 편의점을 찾아오는 냉장·냉동·주류 물류차량의 위치 확인은 물론, 본사가 보내는 공지사항부터 조작 매뉴얼에 대한 문의까지 총 200여 가지 질문에 대답하게 된다. 도시락 재고가 떨어진 걸 확인한 매장 근무자가 “아리아, CU 배송차량 위치 알려줘?”라고 물으면 “현재 저온 배송 차
(환경포커스) KT가 지난달 2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공인전자문서중계자로 지정받아 올해 하반기부터 공공기관의 모바일통지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4일 밝혔다. 기존 공공기관에서 국민들에게 보내기 위해 사용하던 종이우편 형태의 고지서, 통지서 등을 모바일 기반의 전자문서 형태로 전환하기로 한 것이다. 그동안 공공기관에서는 관련 법령에 따라 국민 개개인에게 보내는 고지서, 통지서 등을 종이우편으로 전달했다. 우편발송 방식의 경우 비용에 비해 실질적인 전달·수령 효과가 크지 않을 뿐 아니라 대안으로 도입된 모바일앱 서비스도 이용을 위해 앱을 설치하고 가입해야 하는 등 불편이 많아 확산되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KT는 공공기관에서 국민에게 보내는 고지서, 통지서를 모바일 메시지로 보내는 사업을 기획해 지난해 11월부터 국민연금공단과 함께 시범서비스를 운영했다. 시범서비스를 이용한 고객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80% 이상이 서비스에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신속한 전달’에 가장 높은 점수를 줬다. KT는 국민연금공단과의 성공적인 시범서비스 경험을 바탕으로, 이를 다른 공공기관에까지 확산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
(환경포커스) Qormino® 제품군의 첫 번째 프로토 타입 출시 2년 만에 Teledyne e2v가 차세대 컴퓨팅 모듈인 QLS1046-4GB를 발표했다. Qormino®의 개념은 플러그 앤 플레이 프로세서와 메모리 모듈을 소형 폼 팩터에 제공함으로써 시스템 설계자가 개발에서 시장에 출시하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다양한 시스템 설계에서 쉽게 채택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 제품 대비 최대 35%의 PCB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차세대 Qormino® 모듈은 Arm® Cortex A72 프로세서 갖춘 NXP사의 QorlQ® LS1046를 사용한다. 이 프로세서와 함께 8bits ECC를 갖춘 4GB DDR4 메모리, 군용 및 그 이상의 온도 검증의 경험을 가지고 있는 Teledyne e2v, Real Time Operating Systems 역할이 가능하다는 점들이 결합되어 QLS1046-4GB는 가장 높은 성능을 요구하는 Hi-Rel 애플리케이션용 COTS 프로세싱 솔루션으로 효용 가치가 높다. 알타프 후세인 NXP Semiconductors 유통 마케팅 부장은 “Teledyne e2v는 수년간 우리 회사의 상용 프로세서를 High-Reliabilit
(환경포커스) ‘3D펜’ 브랜드 ‘쓰리두들러’가 7월 4일 신제품 쓰리두들러 크리에이트 플러스의 국내 판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세계 최초로 3D프린팅펜을 개발하고 출시 이후 140만대의 판매량을 올리면서 ‘3D펜’이라는 신조어를 탄생시킨 3Doodler는 이번 출시되는 신제품에 혁신적인 기능 향상이 있다고 밝혔다. 이번 신제품 3Doodler Create+는 3D프린터에서 사용되는 ‘듀얼 드라이브 시스템’을 3D펜에 세계 최초로 접목시켰을 뿐만 아니라 독자적인 방법을 통해 안정적인 압출이 가능하도록 개선하여 미국에서 선출시 직후 외신들과 소비자들의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 3Doodler의 공동창립자 맥스웰 보그는 “이제는 3D프린터와 3D펜 모두 좀 더 높은 수준의 제품을 만들어내야 할 때이며, 초기 제품들은 더는 사용자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다”고 신제품 Create+에 대한 자신감을 표했다. 3Doodler Create+는 듀얼 드라이브 시스템 외에도 새로운 가열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PLA, ABS, FLEXY 등 필라멘트의 종류와 관계없이 균일한 압출이 가능하도록 제작되었으며, 원터치 방식으로 2단계의 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환경포커스) SIGMA 공식 수입사인 세기P&C가 여름시즌을 맞아 시그마 글로벌비전 렌즈 대상으로 정품등록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본격적인 여름 바캉스 시즌을 맞이하여 진행되는 이번 이벤트는 총 27종의 글로벌비전 렌즈를 대상으로 제품 구입 후 정품 등록 시 A/S 기간 추가 2년 혜택과 시그마 텀블러를 사은품으로 증정하며, 2018년 7월 2일부터 8월 5일까지 행사 기간 내 제품 구해 후 8월 10일까지 정품 등록을 마치면 자동으로 응모된다. 나날이 갈수록 좋은 성능의 평판을 얻고있는 ART 렌즈를 비롯하여 미러리스 DN 렌즈 및 장망원 렌즈까지 다양한 화각대의 제품을 선정하여 고객들로 하여금 선택의 폭이 다양해진 이벤트다. 단 세기피앤씨 홈페이지 ID 한 개당 하나의 렌즈 기준으로 사은품이 증정되며, 동일 렌즈에 대해 중복 제공되지 않는다. 시그마는 2년전에도 고객에게 많은 성원을 받았던 시그마 텀블러를 다시 한번 선물로 드릴 수 있는 기회가 찾아왔다며, 사은품과 더불어 A/S 기간 연장이라는 혜택을 많은 분들이 받으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올해 처음으로 실시하는 A/S기간 연장 이벤트로 행사 제품은 온라인/오프라인 구분 없이
(환경포커스) 3D 가상현실분야 전문개발기업인 한국가상현실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공모한 ‘2018 가상현실 콘텐츠 프런티어 프로젝트’에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 ‘2018 가상현실 콘텐츠 프런티어 프로젝트’는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협업을 통한 중대형 콘텐츠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기획-제작-유통’ 전단계를 원스톱으로 지원하여 가상현실 콘텐츠의 성공사업모델을 창출하는 사업이다. 이번 지원사업을 통해 개발될 한국가상현실의 프런티어 프로젝트는 ‘내 손안의 가상공간 디자인’이라는 주제로 VR기술을 활용하여 가상으로 주거문화, 상용문화공간을 디자인하고, 가구/마감재/소품 등으로 구성된 VR, AR콘텐츠를 배치하여 PC, 모바일, HMD 등을 통해 가상의 공간을 현실처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VR, AR 체험 플랫폼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협업기능을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한 공간을 같이 디자인하거나 전문가의 컨설팅을 받아 설계를 완성할 수도 있으며, 완성된 작품은 SNS를 통해 공유하고 감상이 가능하게 개발된다. 특히 함께 제공될 예정인 다양한 예술작품, 액자 등의 VR, AR콘텐츠들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상상으로만
(환경포커스)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는 7월 휴가를 다녀오면 핸드폰과 카메라에는 수많은 추억들이 기록된 사진과 동영상이 쌓인다. 이 데이터들을 손실없이 오랫동안 즐기길 원한다면, 영구적으로 안전한 보존이 가능한 외장 ODD를 구매해보는 것이 어떨까. 저장 장치 전문 브랜드 라이트온의 공식 파트너인 태진금속이 ODD 유통 파트너 이선디지탈과 함께 라이트온 외장형 ODD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여름 휴가 기간을 더욱 신나게 즐길 수 있도록 ‘Holiday, Lite-On day’ 경품 이벤트를 진행한다. 지난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이벤트는 외장 ODD eBAU108와 ES-1를 대상으로 한다. eBAU108 구매자에게는 간편한 휴대를 위한 외장 ODD 전용 파우치를, ES-1 구매자에게는 외장 ODD 전용 파우치와 여행길을 좀 더 편안하게 해줄 자동차용 목베개를 함께 증정한다. eBAU108은 블랙과 화이트 두 가지 컬러로 구매가 가능한 제품으로, 220g의 초경량과 13.5mm의 초슬림 외관이 특징이다. USB 메모리나 외장 HDD와 같이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인 Link 2TV 기능을 도입했기에 USB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T
(환경포커스) 아이리스코인뱅크는 ‘다면분할 홍채인식’을 선보일 첫 번째 밋업을 7월 7일 오후 2시에 개최한다. 이번 밋업이 아이리스코인뱅크의 첫 번째 밋업인 만큼 주의별 대표와 실제 H/W 개발자인 장진만 프로젝트매니저가 각각 25분 정도의 발표를 통해 기술력과 시장성을 구체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최근 국내외 크고 작은 거래소의 연이은 해킹사건으로 암호화폐 투자자들의 피해와 불안감은 점점 더 가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온라인 해킹 방지책으로 주목 받고 있는 대안 중 하나가 ‘생체인증 기술’이다. 바로 편의성과 보안성 때문이다. ‘생체인증’은 사람의 신체적, 행동적 특징을 자동화된 장치로 추출하여 개인을 식별하는 기술이다. 시장조사업체 AMI는 전 세계 생체인증 시장 규모가 2020년 346억달러까지 확대되어 전 세계 인구 50%가 생체인식 기술을 사용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개화기인 국내 시장의 경우 2016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국내 생체인식기술 시장 규모를 지난 2014년 2310억원에서 매년 14.6%씩 성장하여 2020년에는 5634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생체인증’ 정보 역시 복제가 가능하여 여전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