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서울시, 비어있던 대형 창고 헌책 보물창고로 변신 <서울책보고>

국내 최초 공공 헌책방이자 서울 유일 독립출판물 도서관… 총 13만2,730여 권 소장
1,465㎡ 대형 공간에 ‘책벌레’ 형상화 철제서가 눈길… 도시재생+헌책방 활성화
기존 헌책방-독자 연결 ‘홍보‧판매 플랫폼’ 25개 책방 보유 12만 권 위탁판매
도서관에서 접하기 어려운 독립출판물, 명사의 기증도서 1만여 권도 열람 가능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비어있던 신천유수지 내 옛 암웨이 창고(송파구 오금로 1)를 전국 최초의 공공 헌책방 <서울책보고>로 리모델링하여 27일 개관식을 시작으로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고 전했다. 1,465㎡ 규모(지상 1층)의 초대형 헌책방이자, 기존 도서관에서는 접하기 어려운 독립출판물과 명사의 기증도서 컬렉션까지 총 13만여 권의 책을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책 문화공간’으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개관식은 박원순 시장, 참여 헌책방 대표 및 독립서점 대표, 책 기증자인 한상진 서울대 명예교수, 심영희 한양대 석좌교수 부부 등 1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다.

 

<서울책보고>는 단순한 헌책 판매처가 아니다. 헌책의 가치를 묵묵히 지켜왔지만 대형서점과 온라인 중고서점의 등장으로 점차 설 곳을 잃어가는 우리 주변의 영세 헌책방들과 연대해 기존 헌책방과 독자를 연결하는 ‘헌책방 홍보‧구매 플랫폼’ 역할을 한다. 오래된 보물을 품은 금고이자 살아있는 생활유산인 헌책방들은 보존하고, 헌책 마니아들과 시민들은 여러 헌책방의 소장도서를 한 곳에서 보고 구매할 수 있다.

 

<서울책보고>에는 헌책방의 살아있는 역사인 청계천 헌책방 거리를 지켜온 동아서점, 동신서림 등 25개 헌책방이 참여한다. 개관과 함께 이들이 보유한 헌책 12만여 권이 새 주인을 기다린다. 수십 년의 헌책방 운영 노하우를 그대로 옮겨오기 위해 25개 헌책방별로 서가가 꾸며졌다. 향후 참여 희망 헌책방 유무에 따라 헌책방 수와 보유 도서는 더 확대될 전망이다.

 

시는 기존 헌책방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청계천 헌책방, 전국 유일의 헌책방 협동조합인 ‘전국책방협동조합’ 등 헌책방 운영자들과 지속적으로 협의, 25개 헌책방이 동참하게 됐다. 이곳에서 위탁 판매될 헌책 종류와 가격은 모두 각 헌책방 운영자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해 확정됐다. 10%대의 수수료(카드‧위탁)를 제외한 나머지는 헌책방에 돌아간다. 특히, 시중 대형 중고서점보다 수수료가 낮은 만큼 참여 헌책방의 운영에는 도움이 되고, 독자들은 양질의 책을 더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책보고> 내부는 주출입구를 기준으로 왼 편에 ▴헌책 판매 및 열람 공간(12만여 권)이 있다. ‘책벌레’를 형상화한 구불구불한 긴 통로를 따라 양옆으로 연결된 철제서가 32개가 배치된다. 오른 편에는 ▴독립출판물 열람공간(2,130여 권) ▴명사의 기증도서 전시공간(10,600여 권) ▴공연, 토크, 마켓 등이 열리는 아카데미 공간과 북카페가 있다.

 

독립출판물 열람공간은 이미 절판된 도서부터 최신 도서까지 총 2,130여권(개관일 기준)의 독립출판물을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는 ‘서울 유일의 독립출판물 도서관’으로 운영된다.

 

대형 출판사가 아닌 개인이나 소수가 기획부터 판매까지 직접하는 독립출판물 특성상 재발행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기존 도서관에서 접하기 어려운 다양한 책을 한 곳에서 만날 수 있어 더 의미가 있다. 서울시는 독립서점들과 협업해 매년 400여 권의 책을 추가로 구입, 지속적으로 규모를 확대해나간다는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바로 옆 아카데미 공간에서 ‘작가와의 토크콘서트’, ‘독립출판물 제작 아카데미’, ‘독립출판물 마켓’ 같은 다양한 이벤트를 개최해 서울의 독립서점을 홍보하고 독립출판 시장 활성화도 이끈다는 목표다.

 

명사의 기증도서 공간에서는 한상진 서울대 명예교수와 심영희 한양대 석좌교수 부부가 서울도서관에 기증한 10,600여 권의 도서를 만날 수 있다. 두 학자가 자신들의 지식을 시민들과 함께 공유하고 사회에 돌려주고자 하는 마음을 담은 공간이다. 이 기증도서들은 두 교수가 직접 밑줄 긋고, 귀퉁이에 메모한 손때 묻은 장서들로 여성학, 사회문제, 범죄학 등에 관한 전문도서이다.

 

이 공간은 앞으로도 작가, 아티스트, 학자 등 다양한 명사들의 기증도서를 전시‧열람하는 공간으로 꾸며지며, 기증자의 책을 활용한 토크콘서트, 강연 같은 다양한 이벤트도 열릴 예정이다.

 

아카데미 공간은 ‘책’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 지역주민들을 위한 지역연계 프로그램, 개인‧가족 단위 독서 프로그램이 연중 열리는 시민참여형 공간으로 책 문화 프로그램, 지역연계 프로그램, 독서 프로그램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한편, 개관식은 오전 10시30분부터 약 1시간 동안 헌책에 관한 책 구절 낭독, 퍼포먼스, 토크콘서트, 공간투어 등으로 진행된다.

 

서울아츠스트링앙상블이 연주하는 퓨전국악에 맞춰 성우 문선희 씨가 헌책에 관한 책 구절을 낭독하고, <서울책보고>의 책이 꽃처럼 피어남을 표현하는 퍼포먼스가 이어진다. 박원순 시장,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의 윤성근 대표, 작가 김금희 씨는 ‘책, 꽃, 봄’을 주제로 인터뷰 토크를 연다.

 

개관기념 특별전시도 열린다. 참여 헌책방에서 위탁받은 ‘1950년대 교과서, 초판본 및 저자 사인본, <서울책보고>에서만 볼 수 있는 책 특별전시’, ‘<서울책보고> 서가를 형상화한 작품, 책가도 등 ‘책을 펼치다, 봄을 그리다’ 주제의 특별전시’, ‘헌책과 헌책방 그리고 그것들이 만들어 가는 만남과 이야기를 헌책 큐레이션을 통해 전시하는 ‘헌책 책보고(冊寶庫)싶다 전시’ 등이 진행된다.

 

<서울책보고>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서울책보고 공식 홈페이지(www.seoulbookbo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타 사항은 서울도서관 지식문화과(☎02-2133-0206, 0207)로 문의하면 된다.

 

박원순 시장은 “기존 헌책방들과 함께 오래된 책에 새로운 가치를 입히는 <서울책보고>는 ‘책’이 보물이 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헌책부터 기존 도서관에서는 접하기 어려운 독립출판물까지 다양한 책을 향유하는 국내 어디에도 없던 새로운 공간이 될 것”이라며 “책 읽기 좋은 계절, 많은 시민들이 헌책의 가치를 발견하고 다양한 독서문화 프로그램을 통해 책과 함께 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서울책보고>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서울시, 늘어나는 따릉이 정비수요 대응과 골목상권 활성화 위해 따릉이포 80여개소 모집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민들의 발로 가성비에 교통 연결성까지 갖춘 공공자전거 ‘따릉이’의 지난해 총 이용 건수가 4천400만 건(일평균 12만건) 달하는 가운데, 서울시설공단(이사장 한국영)은 늘어나는 따릉이 정비수요 대응과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따릉이포(따릉이+동네 점포) 80여 개소를 모집한다고 전했다. 따릉이 이용건수가 증가하면서 정비수요도 크게 증가해 지난해에는 약 27만 건의 정비를 진행했다. 서울시에서는 공공자전거 따릉이 수리업무를 지원할 민간 자전거 점포 일명, ‘따릉이포(따릉이+동네 점포)’를 2019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시정철학인 ‘약자와의 동행’의 하나로 저소득층의 자활을 돕기 위해 공공자전거 ‘따릉이’ 정비처에 영등포지역자활센터, 중랑유린지역자활센터 등 지역자활센터 2곳을 추가했으며, 올해도 동일하게 ‘정비 협업 업무협약’을 맺고 운영할 계획이다. 시는 지난해 자전거 관련 자활사업을 진행하는 센터 중 정비 물량과 환경 등을 고려해 강남과 강북에 1곳씩을 선정했다. 따릉이 점포 지원 자격은 자전거 수리를 취급하는 서울소재 점포 운영 개인 사업자로 자전거 점포 운영기간이 3년 이상이어야 하며, 정비능력과 정비 환경기준(작업공간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