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물/토양

[PRNewswire] The Raoul Wallenberg Institute, 안전한 물 확보에 주목해

 

-- RWI, 모두를 위한 삶의 존엄성을 보장하는 근본적인 요소로 안전한 식수에 대한 대중의 인식 고취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2021년 4월 28일 PRNewswire=연합뉴스) 동남아시아에서는 공해, 남용, 기후 변화로 인한 가뭄, 수중 생태계 저하, 댐 및 오염 등으로 인해 1억 명 이상이 안전한 물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Raoul Wallenberg Institute of Human Rights and Humanitarian Law(RWI), China Dialogue 및 인도네시아 보고르 Ibnu Khaldun 대학 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동남아시아의 안전한 물 권리(The Right to Safe Water in Southeast Asia)'[ https://rwi.or.id/publications/post/right-safe-water-southeast-asia ]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안전한 물 권리를 존중, 실현 및 보호하는 국가가 물 공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더 좋은 위치에 있으며, 모든 인권의 온전한 향유를 보장한다고 한다.

 

 

 

RWI 인권 & 환경 전문 프로그램 임원 Victor Bernard는 "이 보고서는 ASEAN 국가들이 안전한 식수 권리가 다른 여러 국제 인권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이를 위한 기초라고 마침내 인정하는 데 있어 중대한 조처를 했다고 강조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안전한 식수 권리, 독자적인 권리이자 건강한 환경 권리의 일부

 

ASEAN 국가에서는 '안전한 식수와 위생', 그리고 '안전하고 깨끗하며 지속가능한 환경'에 대한 권리야말로 2012 ASEAN 인권 선언에 언급된 적절한 생활 수준 권리를 실현하는 전제조건이라고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ASEAN에서는 이 권리를 지지하기 위한 전용 조약이나 법적 도구가 마련되지 않은 상태다.

 

'안전한 물 권리' 보고서 저자들은 ASEAN 국가에 다음과 같은 사안을 제안하고 있다.

 

- 안전한 물 권리를 다른 인권과 동등하게 인정하며, 이를 헌법과 입법 차원에서 보호한다.

 

- 안전한 물 권리를 위협하는 물 오염물질, 산업 화학물질 및 살충제 오염물질에 대한 강력한 법적 건강 기준을 구축하고 시행한다.

 

- 물 오염, 위생 및 물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에 대한 전적인 대중 참여와 접근성을 지원한다.

 

- 위생 서비스와 보편적인 커버리지에 대한 지원을 높인다.

 

- 시골 지역사회와 서비스가 부족한 지역사회를 위해 지역사회가 주도하는 총체적인 위생 시스템 같은 최고 위생 관행을 도모한다.

 

- 비용을 줄이고, 더욱 통합적인 물 정책을 세울 수 있는 공공 또는 시 차원의 물 규정을 마련한다.

 

'동남아시아의 안전한 물 권리' 보고서는 여기[ https://rwi.or.id/publications/post/right-safe-water-southeast-asia ]에서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문의:

 

Yudha Pratama

yudha.pratama@rwi.lu.se

+6227092823

 

Victor Bernard

victor.bernard@rwi.lu.se

+6227092823

 

웹사이트:

http://www.rwi.or.id/

 

출처: Raoul Wallenberg Institute

 

[편집자 주] 본고는 자료 제공사에서 제공한 것으로,  내용에 대해 어떠한 편집도 하지 않았음을 밝혀 드립니다.

 

출처 : PRNewswire 보도자료


환경뉴스

더보기
인천시, 5월부터 올해 출산한 취약계층 가정을 대상으로 영유아용품 지원
[환경포커스=인천] 인천광역시는 5월부터 올해 출산한 취약계층 가정을 대상으로 영유아용품을 지원한다고 전했다. 이번 사업은 지난 2월, 하나금융그룹이 저출생 극복과 지역사회 상생을 위해 인천시에 기부금을 전달한 데 따른 것으로, 인천시와 인천사회복지공동모금회, 세이브더칠드런 경인지역본부가 협력해 추진한다. 지원 대상은 인천시에 거주하면서 올해 자녀를 출산해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해산급여를 지급받은 가정이다. 지원 물품은 영유아 양육에 필요한 다양한 용품으로 구성된 ‘출산 축하 꾸러미’이며, 해당 물품은 대상자 주소지로 배송될 예정이다. 신청은 거주지 관할 읍·면사무소, 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출생신고 및 해산급여 신청 시 함께 접수하면 된다. 용품은 해산급여를 받은 달의 다음 달에 지원되며, 올해 1월부터 4월 사이에 출산해 해산급여를 이미 지급받은 경우에도 소급 지원이 가능하다. 해당 가정은 지금 신청하면 5월 중 물품을 받을 수 있다. 이번 사업은 2025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며, 연말까지 진행될 예정이나 사업비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다. 시현정 시 여성가족국장은 “상대적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시민들의 출산과 육아에 작으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

정책

더보기
기후위기 특별위원회, 소위원회 구성 및 업무보고 실시
[환경포커스=국회] 국회 기후위기 특별위원회(위원장 한정애)는 4월 30일(수) 오전 10시 전체회의를 열어 법률안 및 기후예산 등을 심사할 소위원회를 구성하고,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에 대한 업무보고를 실시하였다. 먼저, 기후위기 특별위원회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및 기후대응기금 등을 효율적으로 심사하기 위하여 2개의 소위원회를 구성하였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을 심사하는 탄소중립기본법 심사 소위원회는 10인으로 구성하고, 더불어민주당 이소영 간사를 위원장으로 선출하였다.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및 기후예산 등을 심사하는 배출권거래법 및 기후예산 심사 소위원회는 11인으로 구성하고, 국민의힘 임이자 간사를 위원장으로 선출하였다. 업무보고에서는 ▲ 정의로운 전환과 지역·노동자 보호, ▲ 배출권 거래제의 실효성 제고, ▲ 2030 NDC 이행전략과 국제감축의 한계, ▲ 에너지 전환 전략과 재생에너지 목표 이행, ▲ 지자체 특성을 고려한 기후적응 정책 마련, ▲ 적극적인 기후재정의 역할, ▲ 탄소중립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