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성규 환경부 장관이 경기도 광주정수장을 방문하였는데 노철래 새누리당 광주시 국회의원과 조억동 광주시장, 최병만 한국수자원공사 수도권본부장이 함께 하였으며 지방 정수장 운영 현장을 방문,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정수장 운영체계 점검 및 상수도 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것이라고 한다.
이날 모두에 윤성규 장관은 “수돗물도 없는 시대에서 지금은 고급 수돗물이 나와야 하는 충족이 되며 상수도사업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며 지오스민과 녹조 발생시 시민들이 걱정을 빠른 시일에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현재 지방정수장은 495개소(2011년) 중 20년 이상 노후화된 시설이 48%(236개소)로 오존과 활성탄 등 고도화 시설은 6%(31개소)로 미미한 실정으로 원 수질과 환경 여건 변화 등으로 현재 시설로 운영시 애로점이 있다고 한다
경기도는 광주시 등 22개 정수장 고도화하기 위해서 국고 지원을 2012년에 요구한 상태로 이를 통해 지방 정수장의 기존의 모래여과 방식을 오존과 활성탄을 사용하는 고도화 사업 추진하기 위함으로 정수장의 현대화 ․ 고도화를 하면 운영 효율화은 물론 시설개선을 추진할 수 있으며 향후 수계내 조류 발생시 분말 활성탄을 사전(20일분)에 확보하여 민원을 해소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윤 장관이 그간의 행정경험을 살려 찾아가는 행정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행정을 직접 실전하는 것으로 봄철 갈수기를 앞두고 지난해 대규모 조류발생으로 수돗물 악취 발생을 사전 점검을 통한 것이기도 하며 지방정수장의 운영 현장을 찾아서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정책 효과성을 직접 듣고 개선하는 행정을 을 펼치는 것으로 특히, 단순 모래여과 시설을 오존과 활성탄의 고도화 시설로 설치토록 국고 지원 등의 정책 방향 전환을 검토하라고 지시하기도 하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