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외 수질검사 항목 250개의 물질 특성, 관리 현황 등을 수록한 「K-water가 알려주는 건강한 수돗물 수질항목 250」발간
K-water(사장 최계운)는 수질 오염원 다변화와 먹는 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짐에 따라, 국내·외 수질검사 항목 250개의 물질 특성과 관리 현황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K-water가 알려주는 건강한 수돗물 수질항목 250」을 발간했다.
K-water가 알려주는 건강한 수돗물 수질항목 250」은 수질검사 항목의 물질특성, 배출원, 관리현황, 인체 위해성 등을 물 관련 종사자뿐 아니라 일반인도 알기 쉽게 정리하여, 그동안 정보가 적어 확인하기 어려웠던 내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수질검사 항목에 대한 DB를 구축·공개하여 수질사고가 발생할 경우, 지자체 등 수도시설 운영기관이 신속·정확하게 대응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예를들면 상수원보호구역내 유조차가 전복되어 상수원 오염사고시 벤젠 등에 대한 인체 위해성(백혈구 감소, 암 유발 등)과 수처리 방법(활성탄 처리 등) 정보를 활용, 신속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상주에서 발생한 농약 음료수 사건의 주원인 성분인 메소밀(Methomyl)은 맹독성 살충제로 구토, 호흡곤란, 폐부종 등 인체 위해성이 있는데, 상수원에 누출되었을 경우 활성탄을 사용하여 정수처리가 가능한 물질인지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K-water는 2002년부터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수질검사 항목 보다 훨씬 강화된 250개 항목의 수질검사를 실시해 오고 있었는데 250개 항목은 법정 수질항목인 먹는 물 수질기준(59개)과 감시항목(26개) 외에도 검출현황, 위해성 등을 고려하여 미네랄, 농약류, 의약물질, 내분비계 장애물질 등의 자체감시항목(165개)으로 구성되어 있다.
K-water는 공공정보를 적극적으로 개방·공유하도록 한 ‘정부 3.0’ 취지에 맞춰「K-water가 알려주는 건강한 수돗물 수질항목 250」이 두루 활용될 수 있도록 정부기관, 지자체, 대학교 등 400여개 기관에 배포할 계획이다.
또한, 국민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K-water 홈페이지(www.kwater.or.kr)에 게시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K-water 수질연구분석센터(042-629-2021)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