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철새 이동경로에 대해 세계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댔다.
환경부는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EAAFP : East Asian-Australasian Flyway Partnership) 사무국’과 함께 세계에서 처음으로 10월 17∼20일간 서산시 한서대학교에서 ‘세계 철새이동경로 워크숍(Global Waterbird Flyways Workshop)’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EAAFP’는 2006년 대한민국 환경부와 인천광역시가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EAAF) 상의 철새 및 그 서식지 보전을 위해 설립된 파트너십으로 한국과 중국, 일본, 호주 등 동아시아-대양주에 위치한 14개국 정부, 람사르 협약(Ramsar Convention) 등과 같은 국제기구 3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등 비정부기구 12개가 참여하고 있다.
이번 워크숍은 작년 2월 열린 제4차 EAAFP 파트너십 총회의 제안으로 열리게 됐으며, 9개 철새이동경로상 정부 대표, 람사르 협약의 Nick Daavidson 부사무총장, 이동성야생동물보호협약(CMS: Convention on Migratory Sepecies) 사무국 관계자 등 국제기구 및 이동성 물새 관련 전문가 30여명을 포함해 100여명이 참여한다.
워크숍에서는 철새 이동 경로에 대한 전 세계적 협력을 강화하는 것과 이동성 물새 보전방안에 대한 심도깊은 논의가 이뤄진다.
이번 회의 결과는 올해 11월 노르웨이에서 열리는 제11차 CMS 당사국총회에 공식 보고되고, 내년 제주에서 열리는 WCC 총회, 람사르 협약, 아프리카-유럽 물새 협정 (AEWA) 등 다양한 국제협력의 기본 의제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