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2 (토)

  • 맑음동두천 17.3℃
  • 맑음강릉 20.3℃
  • 연무서울 15.7℃
  • 맑음대전 18.7℃
  • 맑음대구 19.8℃
  • 맑음울산 22.4℃
  • 연무광주 16.3℃
  • 맑음부산 18.9℃
  • 맑음고창 17.3℃
  • 맑음제주 20.8℃
  • 맑음강화 13.5℃
  • 맑음보은 17.4℃
  • 맑음금산 20.5℃
  • 맑음강진군 18.5℃
  • 맑음경주시 23.0℃
  • 맑음거제 18.9℃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환경일반

엘프, 비욘드 블록 2018 행사 참여

비욘드 블록 2018, 암호화폐 투자로 유명한 마이크 노보그라츠 등 참여해 성황리에 마쳐
마이크 노보그라츠 “엘프는 아시아에서 최초로 투자한 프로젝트”
엘프 “투자자는 곧 미래의 사용자 '꾸준한 소통’이 중요”

(환경포커스) 2017년 한 해 64억달러의 ICO 자금이 블록체인 기업에 몰렸다. 2018년 상반기에는 이미 작년 ICO 모금액을 넘어선 상태다. ICO 투자를 통해 높은 수익을 올린 투자자가 많은 반면 약 80% 이상의 프로젝트가 실패하거나 사라져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은 실정이다.

지난 17일~18일 이틀간 열린 비욘드 블록 행사는 aelf 등 ICO를 통해 자금을 모으고 운영하는 프로젝트와 투자자가 모여 ICO에 대해 토론을 벌였다.

발표자로 참석한 갤럭시 디지털의 CEO 마이크 노보그라츠는 아시아에도 ICO에 투자한 프로젝트가 있느냐는 질문에 “첫 번째로 아시아에 투자한 프로젝트가 엘프며 굉장히 성공적인 투자였다”고 말했다. 마이크 노보그라츠는 전 포트리스 소속 최고의 헤지펀드 매니저이자 암호화폐 투자로 유명한 투자자이다.

엘프의 주링첸 공동대표는 바람직한 ICO가 어떤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ICO가 “단순히 자금을 모으는 활동에 그쳐서는 안된다”며 “글로벌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투자받고 이것이 바탕이 되어 글로벌 커뮤니티가 꾸준히 운영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각국의 글로벌 인재를 영입해 팀을 이루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엘프는 작년부터 한국에 팀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 투자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7월부터 한국어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옥외광고를 통해 일반 소비자들에게까지 홍보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주링첸 대표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있어서 투자자는 곧 잠재 소비자다”며 “때문에 엘프에 투자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이들의 커뮤니티가 다양해진다는 것은 프로젝트의 미래 사용자가 많아진다는 의미이다”고 말했다.

엘프는 지금도 투자자와 커뮤니티 구성원에게 프로젝트를 완성해가는 전 과정을 끊임없이 공개하고 소통하고 있다. 특히 로드맵에 맞추어 진행사항을 공유하고 독자적인 마케팅을 통해 영향력을 확대하는 점을 꾸준히 공개하고 있다.

한편 엘프는 투자자뿐만 아니라 개발자, 다른 사업 분야 파트너까지 커뮤니티의 영역을 넓히고 있다. 20일~21일 이틀간 제주도에서 열리는 GROUND X포럼에서는 엘프의 기술력을 공유할 예정이다.

환경뉴스

더보기

정책

더보기
우원식 의장, 국가 기후위기 적응포럼 연속토론회 참석
[환경포커스=국회] 우원식 국회의장은 17일 오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기후위기 물 재난·생물다양성·식량위기·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국가 기후위기 적응포럼 연속토론회’에 참석했다. 우 의장은 이 자리에서 “기후위기 대응이라고 하면 온실가스 감축을 먼저 떠올리게 되지만, 한번 배출된 온실가스는 수십 년, 길게는 수백 년까지 대기 중에 남아 있다는 점에서 이미 진행된 기후 위기 상태에 어떻게 ‘적응’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본격적 논의가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우 의장은 “농업, 산림, 수산, 해양, 생태, 보건 등 많은 영역에서 기후변화로 인해 국민의 건강과 생명, 생업에 이르기까지 우리 삶의 기반이 위협받고 있다”며 “농축수산업 종사자들의 피해가 밥상 물가 폭등, 기업 활동의 어려움으로 이어지면서 민생과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기상 관측 이래 113년 만에 가장 더웠던 작년 여름과 같은 폭염, 폭우는 취약계층에게 더 혹독했다”고 말했다. 우 의장은 이어 “그래서 기후위기 대응, 특히 적응 정책은 민생과 닿아 있고 국민의 일상을 지키는 일”이라며 “기후 위기로 발생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 대안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특별한 관심을 갖고 국회에서 뒷받침

종합뉴스

더보기
부산시, 교통약자 이동권 향상을 위한 <2025년 저상버스 이용의 날> 운영사업 공동협력 협약 체결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20일 오전 10시 시청 국제의전실에서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 부산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 부산뇌병변복지관과 교통약자 이동권 향상을 위한 「2025년 저상버스 이용의 날(버스랑 배프 데이)」 운영사업 공동협력 협약을 체결한다고 전했다. 협약식에는 정태기 시 사회복지국장, 박선욱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무처장, 성현도 부산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 이주은 부산뇌병변복지관장이 참석해 이번 사업의 취지와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협약서에 서명할 예정이다. 「2025년 저상버스 이용의 날(버스랑 배프 데이)」 운영사업은 휠체어 장애인 등 교통약자와 홍보단(서포터즈)으로 구성된 시민추진단이 매주 화요일에 저상버스 탑승 여건을 체험하는 사업으로, 오는 4월부터 본격 추진된다. 시는 저상버스 도입률을 높이기에 앞서,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탑승 여건을 개선하고 이들에 대한 사회적 배려 분위기를 조성해 휠체어 장애인 등이 자연스럽게 저상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이번 협약을 마련했다.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시 전체 버스의 60퍼센트(%)인 1천534대가 저상버스지만, 정작 휠체어 장애인 등 교통약자가 이용하는 교통수단 중 저상버스 탑승 비율은